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8
A. 문제 제기와 대안 8
B. 연구 목적과 방법 9
II. 연구 동향 13
A. 할례와 세례의 관계에 대한 견해들 13
1. 동의설 13
2. 이의설 13
3. 대체설 15
B. "그리스도의 할례"에 대한 견해들 17
1. 에두아르드 로제(Eduard Lohse) 17
2. 데이비드 파오(David W. Pao) 18
3. 비슬리-머레이(G. R. Beasley-Murray) 18
4. 그레고리 빌(G. K. Beale) 19
5. 메러디스 클라인(Meredith G. Kline) 20
6. 루돌프 슈나켄버그(Rudolf Schnackenburg) 20
7. 피터 오브라이언(Peter T. O'Brien) 21
8. 더글러스 무(Douglas J. Moo) 21
9. 게르할더스 보스(Geerhardus Vos) 22
10. 니콜라스 토마스 라이트(N. T. Wright) 23
11. 헤르만 리델보스(H. N. Ridderbos) 24
III. 골로새서 2:11-12의 구조 28
A. 엔 호(ἐν ᾧ) 평행구조와 약점 28
B. 동사 중심 구조 33
IV. 할례 36
A. 엔 호('Eν ᾧ) 37
B. "손으로 하지 아니한" 할례(골 2:11a) 39
1. 구약 용례 39
2. 신약 용례 40
3. 바울서신의 용례 43
4. 초월적 할례의 종말론적 함의 46
C. "육의 몸을 벗음"(골 2:11b) 47
1. '몸'과 '육' 48
2. "육의 몸" 53
3. "벗음" 54
D. "그리스도의 할례"(골 2:11c) 64
1. 구약성경 64
2. 바울 서신 68
3. "그리스도" 72
4. 종말론적 함의 79
E. 종말론적 할례와 수사적 효과 80
V. 세례 84
A. '장사됨'과 부활 84
B. '믿음'과 "세례로"(ἐν ᾧ) 부활 89
C. 세례와 종말론 94
VI. 결론 : 할례와 세례 간의 종말론적 전환 98
약어표 104
참고문헌 105
Abstract 109
초록 111
이 논문은 골로새서 2장 11절의 할례와 12절의 세례의 관계를 연구한다. 논문은 골로새서 2장 11-12절을 읽는 방법이 각 구절의 난제들이 아니라 본문의 바탕에 흐르고 있는 종말론임을 주장한다.
바울은 종말론의 배경 위에서 할례의 의미를 다양하게 사용한다. 11절에서, 할례는 1차적으로 골로새의 거짓 교사들과 그의 헛된 철학과 행위를 겨냥한 언어이다. 이어서 곧바로 할례는 2차적 의미를 강조하는데,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의미한다. 11절은 그리스도와 연합한 골로새 교회의 성도들이 거짓 교사들과 그들이 유혹하는 철학과 행위들로부터 죽었다고 말한다. 골로새 교회의 대적자들과 관련된 모든 것은 옛 세대에 속한 것인데, 골로새 교회 성도들은 옛 세대에 대해 죽은 것이다. 게다가 11절은 '죽음'에서 끝나지 않는다. 귀납적인 주해로 발견한 "그리스도의 할례"에 함의 된 종말론적 의미는 12절의 세례와 종말론적 연결을 지향한다. 결국 11절에서 골로새의 성도들을 거짓 교사들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할례. 곧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은 12절에서 죽음의 완전성을 의미하는 장사됨에 수렴된다. 이후 12절은 11절의 모든 내용을 담은 장사됨과 부활로 성도의 영광스러운 종말 현실을 보여 준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골로새서 2장 11절의 할례와 12절의 세례 사이에서 로마서 6장 3-4절에 의존한 수평적 도식을 주장한다(죽음-장사됨-부활). 그러나 이 논문은 종말론의 배경 위에서 바울이 '할례' 언어를 다양하게 사용할 때에, 구약성경이 말하는 할례가 11절의 할례를 포함하는 더 큰 영역이 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11절의 틀을 이루는 구약의 할례 개념은 12절의 세례를 통해 그 연속성을 드러낸다. 동시에 부활의 언급은 성취의 관점에서 구약의 할례와 비연속성을 드러낸다. 이렇게 11절의 할례와 12절의 세례는 입체적인 종말론적인 전환을 나타낸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