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초록 5
Ⅰ. 서론 6
1. 연구의 필요성 6
2.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1.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기술 9
2. 집단미술치료와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기술 10
Ⅲ. 연구 방법 14
1. 연구 대상 14
2. 연구 절차 및 설계 16
1) 연구 절차 16
2) 연구 설계 16
3. 연구 도구 17
1) 아동·청소년 또래관계기술 척도 (Peer Relational Skills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RS-AC) 17
2) 학교생활화 (Kinetic School Drawing: KSD) 18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18
5. 자료처리 21
Ⅳ. 연구 결과 22
1. 또래관계기술척도의 변화 22
1) 또래관계기술 총점의 변화 22
2) 또래관계기술의 하위영역별 변화 24
2. 학교생활화(KSD)의 변화 27
3. 회기별 반응 33
1) 초기 단계(1회기) 33
2) 중기I단계(2~4회기) 35
3) 중기II단계(5~10회기) 39
4) 종결단계(11~12회기) 46
Ⅴ. 논의 및 결론 50
참고문헌 54
Abstract 57
부록 59
부록 Ⅰ. 연구 참여 안내 및 동의서 60
부록 Ⅱ.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안내 62
그림 1. 또래관계기술 총점 사전·사후변화 23
그림 2. 또래관계기술 주도성 사전·사후 변화 25
그림 3. 또래관계기술 협동·공감 사전·사후 변화 26
그림 4. 아동A의 1회기 작품 33
그림 5. 아동B의 1회기 작품 34
그림 6. 아동A의 2회기 작품 35
그림 7. 아동C의 2회기 작품 36
그림 8. 아동E의 2회기 작품 36
그림 9. 아동D의 3회기 작품 37
그림 10. 아동E의 3회기 작품 38
그림 11. 아동C의 4회기 작품 38
그림 12. 아동F의 4회기 작품 39
그림 13. 아동A의 5회기 작품 40
그림 14. 아동A-E의 6회기 작품 41
그림 15. 아동B-F의 6회기 작품 41
그림 16. 아동C-D의 7회기 작품 42
그림 17. 아동B-F의 7회기 작품 42
그림 18. 8회기 작품활동사진 43
그림 19. 9회기 작품활동사진 44
그림 20. 10회기 작품활동사진 45
그림 21. 11회기 작품활동사진 47
그림 22. 12회기 작품활동사진 48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K시의 H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지역아동센터장의 추천과 부모 및 아동의 참여동의서를 받은 저학년 아동 1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11월 24일까지 주 1회, 매 회기 8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양윤란과 오경자(2005)의 또래관계척도(PRS-AC)를 정순택(2015)이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에 적합하게 재구성한 척도와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사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먼저, 실험·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비교로 맨-휘트니 U검정을, 집단 내 비교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교 생활화(KSD)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나타난 또래관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전체 회기의 녹음 및 촬영기록을 참고하여 회기별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관계기술척도 점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생활화(KSD)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나타내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