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용어의 정리 7

국문초록 8

I. 緖論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선행연구의 고찰 13

1) 김시습의 내단사상 13

2) 정렴의 내단사상 17

3. 연구방법 22

4. 연구의 한계와 문제 제기 23

II. 조선시대 전후 내단사상의 배경 24

1. 조선시대 전후 한국의 선도사와 내단사상 24

2. 조선시대 25

1) 조선시대의 도교정책 25

2) 조선시대 도교의 체재양식 26

3) 혁파논쟁(革罷論爭)의 경과와 과의도교(科儀道敎) 27

3. 수련도교의 도맥 28

1) 『포박자』 28

2) 『참동계, 參同契』 29

4. 조선중기 수련도교 관련 저술 30

1) 한무외의 『해동전도록, 海東傳道錄』 30

2) 조여적의 『청학집, 靑鶴集』 32

3) 홍만종의 『해동이적, 海東異蹟』 34

4)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청학집(靑鶴集)』·『해동이적(海東異蹟)』 비교 검토 36

III. 권극중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38

1. 권극중(權克中)의 생애 38

1) 아동 및 청년기 38

2) 방랑 및 은둔기 39

2. 학맥으로 본 권극중의 학문 39

IV. 권극중의 내단사상 논의 43

1. 『참동계주해』 43

2. 참동계주해에 나타난 내단사상의 철학적 사유 44

1) 본체론 44

2) 인성론 50

3. 삼교합일의 배경 53

V. 結論 및 제언 58

참고 문헌 65

Abstract 69

초록보기

무병장수를 염원하는 인간의 의지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동북아시아에서는 이의 실천이 신선사상으로 형상화 되었다. 큰 틀에서 이 신선사상이 중국의 민족종교인 도교에 흡수되면서 불사의 신선상은 주로 종교적인 영역으로, 무병장수는 내단사상으로 분화되게 된다. 이 같은 신선사상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에서는 선도라는 개념으로 정립되어졌다. 중국 왕조의 부침 속에서도 도[교]는 유·불과 공존하며 이의 요소인 내단사상은 그 이론적 철학적 진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었다. 반면에 종교로서의 유·불이 이미 정착된 우리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도[교]는 물론이지만 그에 구성요소인 내단사상은 고려시대까지 크게 표면화되질 않았다.

유교가 조선왕조의 이념이 되고 국교로 책정되며 억불숭유 정책이 시행된다. 유교 이외에는 불교뿐만이 아니라 도교도 이단시 되던 때에 흥미롭게도 유사(儒士)들에 의한 내단사상이 연구됨과 동시에 중국과 차별화 하려는 주체적인 측면에서 '내단(內丹)'을 좀 더 포괄적 개념의 선도(仙道) 또는 조선단학(朝鮮丹學)이라는 이름으로 정비하려는 풍토가 조성되기 시작한다.

김시습은 역사적으로 이 중국에서 유입된 내단사상을 사상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접하고 연구한 첫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단학의 태두로도 불리 운다. 그런데 그가 이해하고 정리한 내단사상은 이론적으로 또 학문적으로 뛰어났음에도 그 목표인 신선(神仙)의 상징인 불사(不死)는 인정하지 않는 괴리를 남겨 놓는다. 김시습을 이어 정렴의 내단사상은 그가 유학뿐만이 아니라 잡학(천문, 지리, 의술, 복술 등)에 능한 배경이 작용한 듯 신선에 대해 믿음은 확실한 듯 보인다. 그런데 그가 정리한 내단서인 『용호비결』은 사상적 탐구로부터 오는 이해보다는 실천적인 수련 지침서 쪽으로 치우친 아쉬움을 남겨 놓는다. 권극중의 내단사상은 김시습과 정렴의 연구결과에 의해 정리된 각각의 제한점을 보완했을 뿐만이 아니라 원전인 참동계의 재해석이라는 참신하고 그러므로 발전적인 미래상을 열어놓았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새로운 이해는

첫째, 김시습이 조선에서 내단사상의 태두로 불리는 사상적 정리의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사에는 동조하지 못한 배경의 단편을 주희의 내단관에 기인함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정렴에 있어서는 그가 이해한 내단사상의 배경에는 성리학보다는 잡학(雜學)에 근거함을 추론해 보았다. 셋째, 권극중의 내단사상의 배경에는 그가 성리학의 기호학파, 그중 예학적 위치에 서 있었음을 주목해 보았다. 이 예는 고대시대에 하늘에 올리는 예에서 비롯됐다. 권극중은 유학이 배경이지만 이 예는 원시시대와 도교의 제천과도 연결될 수 있기에 유·불·도 삼교 포함의 내단사상 정립의 조건에 좀 저 다가선 인물이었음에 주목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