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1. 연구 배경 10

1.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12

1.3. 연구 목적 22

1.4. 연구 범위 및 방법 24

1.4.1. 연구 범위 24

1.4.2. 연구 방법 26

1.4.3. 논문의 구성 28

II. '낯설게 하기'의 이론적 고찰 30

2.1. '낯설게 하기'의 정의 30

2.2. 소설에 나타나는 '낯설게 하기' 33

2.2.1. 소설 '낯설게 하기'의 언어적 범위 33

2.2.2. '낯설게 하기'의 수단 및 양상 40

2.3. '낯설게 하기' 재현의 필요성 63

2.3.1. 문학번역의 본질적 특징 64

2.3.2. Chesterman의 번역 규범 67

2.4. '낯설게 하기' 번역의 가능성 74

III. 옌롄커 소설의 '낯설게 하기' 현상 고찰 87

3.1. 분석 텍스트 선정 87

3.1.1. 작가 옌롄커 소개 87

3.1.2. 옌롄커 소설의 번역 출판 현황 91

3.1.3. 연구 소설 개요 96

3.2. 옌롄커 소설의 '낯설게 하기' 고찰 101

3.2.1. 어휘적 '낯설게 하기' 103

3.2.2. 통사적 '낯설게 하기' 123

3.2.3. 텍스트적 '낯설게 하기' 137

3.3. 소결 151

IV. 옌롄커 소설의 '낯설게 하기' 번역 고찰 155

4.1. '낯설게 하기'의 번역 전략 155

4.2. 옌롄커 소설의 '낯설게 하기' 번역 방법 158

4.2.1. 어휘적 '낯설게 하기'의 번역 162

4.2.2. 통사적 '낯설게 하기'의 번역 187

4.2.3. 텍스트적 '낯설게 하기'의 번역 211

4.3. 소결 219

V. 결론 227

참고문헌 236

中文摘要 247

표목차

〈표 1〉 연구 범위의 설정 25

〈표 2〉 문학작품 '낯설게 하기'의 언어적 변형 수단 분류 50

〈표 3〉 옌롄커 소설의 영어 출판번역 현황 92

〈표 4〉 옌롄커 소설의 한국어 출판번역 현황 94

〈표 5〉 〈레닌의 키스〉의 '해설체' 방언 107

〈표 6〉 〈레닌의 키스〉의 '해설체' 개인어 109

〈표 7〉 임시어 '첨가'의 유형 113

〈표 8〉 임시어 '반복'의 유형 122

〈표 9〉 품사의 문법적 기능 대체 유형 136

〈표 10〉 Reiss의 텍스트 유형 분류 157

〈표 11〉 연합관계 사례 168

〈표 12〉 수식관계 사례 172

〈표 13〉 임시어 '반복'의 사례 및 번역 182

그림목차

〈그림 1〉 '옌롄커 소설'의 연도별 연구량 트렌드 17

〈그림 2〉 '옌롄커 소설'의 연구 주제 분포 18

〈그림 3〉 '옌롄커 소설' 연구의 학문 분야 분포 19

〈그림 4〉 '외국언어 문학' 항목의 연구 발표 트렌드 20

〈그림 5〉 소설 '낯설게 하기'의 언어적 범위 39

〈그림 6〉 루빈의 잔 44

〈그림 7〉 선택축 및 결합축 46

〈그림 8〉 소설 '낯설게 하기'의 언어적 범위 및 수단 51

〈그림 9〉 어휘적 '낯설게 하기'의 분류 58

〈그림 10〉 '문학작품', '문학성', '낯설게 하기'의 관계 65

〈그림 11〉 문학의 언어적, 형상적, 함의적 층위 102

〈그림 12〉 〈레닌의 키스〉의 '해설체' 방언 양식 107

〈그림 13〉 〈레닌의 키스〉의 목록 146

〈그림 14〉 번역 방법에 대한 주요 관점 158

〈그림 15〉 옌롄커 소설의 '낯설게 하기' 번역 분석 방법 161

〈그림 16〉 〈레닌의 키스〉의 '해설체' 번역 양식 164

〈그림 17〉 〈사서〉 언어 사용역 변환의 번역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