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목적 16

3. 연구의 가설 16

4. 연구의 제한점 16

II. 이론적 배경 17

1. 산화질소 17

1) 산화질소(NO) 17

2) 운동과 산화질소(NO) 20

2. 아르기닌(L-Arginine) 23

III.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자 26

2. 연구기간 및 측정기구 27

3. 저항 운동프로그램 및 측정 방법 28

1) 연구설계 28

2) 저항 운동 방법 28

3) 측정 방법 30

4. 자료처리 34

IV. 연구결과 35

1. 혈압의 변화 35

1) 수축기 혈압의 변화 35

2) 이완기 혈압의 변화 37

2. 혈액변인의 변화 38

1)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의 변화 38

2) 중성지방(Triglyceride)의 변화 40

3) HDL(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41

4) LDL(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43

5) 골격근량의 변화 44

6) 최대근력의 변화 46

V. 논의 48

1. 혈압의 변화 48

2. 혈액변인의 변화 50

VI. 결론 52

1. 결론 52

참고문헌 54

ABSTRACT 63

표 1.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26

표 2. 연구절차 및 기간 27

표 3. 측정기구 27

표 4. 8주 저항 운동 프로그램 29

표 5.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수축기 혈압의 변화 36

표 6.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이완기 혈압의 변화 37

표 7.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 39

표 8.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중성지방의 변화 40

표 9.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HDL의 변화 42

표 10.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LDL의 변화 43

표 11.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골격근량의 변화 45

표 12. 아르기닌 섭취 전, 후 집단 간, 집단 내 최대근력의 변화 46

그림 1. Nitric Oxide Pathway 17

그림 2. Arginine structure 23

그림 3. Arginine Pathway 25

그림 4. 집단 간 수축기 혈압의 변화 36

그림 5. 집단 간 이완기 혈압의 변화 38

그림 6. 집단 간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 39

그림 7. 집단 간 중성지방의 변화 41

그림 8. 집단 간 HDL의 변화 42

그림 9. 집단 간 LDL의 변화 44

그림 10. 집단 간 골격근량의 변화 45

그림 11. 집단 간 최대근력의 변화 4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아르기닌 섭취집단(n=10)과 위약 집단(n=10)으로 구분하여, 8주간 3회/주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1일 2000mg의 아르기닌 섭취가 산화질소와 관련된 혈압과 혈액변인에 대한 변화를 검증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축기 혈압의 변화에서는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이 위약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p<.05),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이완기 혈압에서는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의 혈압이 68.8±1.59mm/Hg로 위약집단의 69.85±1.2mm/Hg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3.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에서는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 158.1±2.4mg/dl, 위약 집단 162.3±3.28mg/dl로 두 집단에서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4. 중성지방은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이 112.6±2.4mg/dl로 위약 집단 119.7±3.28mg/dl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5). 두 집단에서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5. HDL 콜레스테롤은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이 52.6±2.45mg/dl, 위약 집단 52.6±3.28mg/dl로 두 집단에서 모두 HDL 농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6. LDL의 변화에서는 섭취 후 아르기닌 섭취집단 81.1±2.4mg/dl, 위약 집단 80±3.28mg/dl로 두 집단에서 모두 LDL 농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러나, 집단 내에서 변화에서 두 집단에서 모두 경미한 감소가 나타났으나, 위약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저항운동에서 산화질소와 관련하여 아르기닌의 섭취는 혈압의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혈중지질 변인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저항운동 시 보충제로서의 기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