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Abstract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8

Chapter 2. Methods 10

Chapter 3. Results 15

Chapter 4. Discussion 27

References 31

초록 34

Table 1. Baseline demographic data and ocular biometric values in IOL Master 500 group and IOL Master 700 group 16

Table 2. Preoperative keratometric values in IOL Master 500 group 18

Table 3. Preoperative keratometric values in IOL Master 700 group 19

Figure 1. An example of internal OPD map of wavefront aberrometer 12

Figure 2. An example of an online toric IOL back-calculator 13

Figure 3. Astigmatism axis of standard keratometry by IOL Master 500 and Galilei G4 in IOL Master 500 group (A) and IOL Master 700... 20

Figure 4. The AD and AAD of IOL Master 500 (K) and Galilei G4 (K, TK) in IOL Master 500 group. 22

Figure 5. AD and AAD of IOL Master 700 (K, TK) and Galilei G4 (K, TK) in IOL Master 700 group. 23

Figure 6. The AAD of IOL Master (500 or 700) and Galilei G4 in patients with steep axis difference over 10° between the devices. 25

초록보기

목적

백내장 수술 시 난시교정 인공수정체의 축을 결정할 때 안구 생체계측과 각막지형도의 비교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분결합간섭 기반 안구 생체계측(IOL Master 500),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 기반 안구 생체계측(IOL Master 700)과 샤임플러그 기반 각막지형도(Galilei G4) 사이의 축 정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백내장 수술 시 난시교정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44명의 환자, 66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각막 난시는 IOL Master (500 혹은 700)와 Galilei G4 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백내장 수술 한 달 후 온라인 토릭 역계산기를 이용해 난시교정 인공수정체의 이상적인 축을 계산하였다. 이상적인 축과 수술 전 측정된 축의 차이값(AD)과 축 차이값의 절대값(AAD)을 IOL Master와 Galilei G4에서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IOL Master 500으로 안구 생체계측을 시행한 군에서 IOL Master 500은 K AD 1.94 ± 10.78°, K AAD 7.74 ± 7.63°의 수치를 보였고, Galilei G4는 K AD -0.29 ± 11.88°, TK AD -0.74 ± 12.40°, K AAD 8.94 ± 7.67, TK AAD 9.39 ± 7.95 의 값을 보였다. IOL Master 700을 시행한 군에서는 IOL Master 700은 K AD -1.45 ± 10.72, TK AD -1.33 ± 10.14, K AAD 6.00 ± 7.30, TK AAD 6.36 ± 6.72 의 값을 보였고, Galilei G4 K AD -1.27 ± 11.36, TK AD -1.58 ± 12.21, K AAD 7.09 ± 7.38, TK AAD 8.24 ± 7.71 의 수치를 보였다. IOL Master에서의 AD, AAD 값은 Galilei G4의 AD, AAD 값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난시교정 인공수정체의 이상적인 축과의 일치도를 평가할 때 Galilei G4는 IOL Master와 견주어 비교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