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 동기와 목적 11

2. 연구 범위와 방법 12

II. 방짜유기의 일반적 고찰 14

1. 방짜유기의 특성 14

1.1. 방짜유기의 물리적 특성 14

1.2. 방짜유기의 살균 특성 18

1.3. 방짜유기의 심미적 특성 20

2. 방짜유기의 기법 24

2.1. 방짜유기의 전통 기법 24

2.2. 방짜유기의 현대식 기법 31

III. 작품 제작 연구 38

1. Vide-poche 38

2. 수반 41

3. 화기 45

4. 와인칠러 49

5. 윤슬플레이트 53

6. 테이블 55

7. 사이드 테이블 59

8. 조명 63

IV. 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1

표목차

[표 1] 구리-주석 합금의 평형반응과 변태 온도 17

[표 2] 석출되는 상의 구조 및 성질 17

도판목차

[도판 1] 주물 향로 15

[도판 2] 주물 촛대 15

[도판 3] 방짜 대야 15

[도판 4] 방짜 요강 15

[도판 5] 구리-주석 이원합금 상태도 16

[도판 6] 항균재료 및 스테인리스 소재의 항균 특성 비교 19

[도판 7] How long does the virus last? 20

[도판 8] 주석/구리 함량비에 따른 청동 합금의 색상(Hue)변화 21

[도판 9] 먼셀 색상환 22

[도판 10] Colors of gold-silver-copper alloys 22

[도판 11] 황동, 동, 인청동,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 (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23

[도판 12] 유기 색상 23

[도판 13] 전통 용해 24

[도판 14] 전통 네핌질 25

[도판 15] 전통 협도질 25

[도판 16] 전통 우김질 26

[도판 17] 전통 냄질 26

[도판 18] 전통 닥침질 27

[도판 19] 전통 제질 27

[도판 20] 다양한 형태의 제질 망치 28

[도판 21] 전통 담금질 28

[도판 22] 전통 벼름질 29

[도판 23] 전통 가질 29

[도판 24] 간수 처리 여부에 따른 담금질 했을 때 표면 및 피막을 벗긴 후 표면 차이 30

[도판 25] 표면의 기공 30

[도판 26] 표면의 자국 30

[도판 27] 공압식 해머 다이어그램 33

[도판 28] 네핌질 모루와 공이 33

[도판 29] 우김질 모루와 공이 33

[도판 30] 열간압연기 다이어그램 34

[도판 31] Metal Spinning Machine 다이어그램 35

[도판 32] 크랭크 프레스 36

[도판 33] cnc선반 37

[도판 34] BACCARAT에서 판매 중인 LOUXOR Vide-poche 38

[도판 35] Hermes에서 판매 중인 Vide-poche Mises et Relances 38

[도판 36] Vide-poche 무광(가운데), 유광(우측) 이미지 40

[도판 37] 소비자의 코로나 19전·후 반려식물 관심 변화 41

[도판 38] 한정용 作 42

[도판 39] 한수영 作 42

[도판 40] 〈제4의 자연〉 전시 사진 44

[도판 41] 실험 4일째 45

[도판 42] 실험 7일째 45

[도판 43] 실험 11일째 45

[도판 44] 연도별 와인 수입액 추이 49

[도판 45] 와인칠러 연출 모습 52

[도판 46] 이봉주 作 53

[도판 47] 윤슬 이미지 53

[도판 48] 윤슬 플레이트 질감 53

[도판 49] 하지훈 作 55

[도판 50] 박선영, 양웅걸 作 55

[도판 51] 〈놋상-선(線)〉 연출 모습 58

[도판 52] 박원민 作 59

[도판 53] 이시산 作 59

[도판 54] 박주형 作 63

[도판 55] 안대훈 作 63

[도판 56] 〈Moon light50〉 연출 모습 65

작품목차

[작품 1] 〈Vide-Poche〉, 유기, 150x150, 2021 39

[작품 2] 〈방짜 수반〉, 유기, 330x50,2020 43

[작품 3] 〈화기1〉, 유기, 130x80, 2020 46

[작품 4] 〈화기2〉, 유기, 130x80, 2020 47

[작품 5] 〈화기3〉, 유기, 250x200, 2022 48

[작품 6] 〈와인칠러2517〉, 유기, 250x170, 2021 50

[작품 7] 〈와인칠러2220〉, 유기, 220x205, 2021 51

[작품 8] 〈윤슬 플레이트 세트〉, 유기, 160x100x40, 200x120x40, 300x160x40, 400x200x40, 500x300x40, 2021 54

[작품 9] 윤슬 테이블, 유기, 350x100, 2022 56

[작품 10] 〈놋상-선(線)〉, 유기, 360x90, 2021 57

[작품 11] 〈사이드 테이블1〉, 유기, 280x550, 2022 61

[작품 12] 〈사이드 테이블2〉, 유기, 380x600, 2022 62

[작품 13] 〈Moon light 50〉, 유기, 500x80, 2021 64

초록보기

조선 후기 일상생활 전반에서 쓸 만큼 성행했던 방짜유기는 1960년대 이후 서구 문화의 급격한 유입 등의 이유로 그 자리를 잃어갔다. 1983년, 방짜유기장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그 우수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공방과 장인들 역시 전통 기법의 보전과 방짜유기의 현대화를 위해 노력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 기계화 설비를 활용한 식기 제작을 들 수 있다. 2000년 초, 방짜유기는 살균 효과와 더불어 과거 왕실에서 사용하던 고급스러운 이미지 덕분에, 식기로 큰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식기를 제외한 기물들은 여전히 전통문화라는 틀에 갇혀 오늘날의 생활양식에 어울리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연구자는 전통공예를 이어가는 방안의 하나로 방짜유기를 활용해 현대생활에서 쓰는 다양한 기물들을 제작하고자 했다.

구리-주석계 합금은 주석의 함량이 높을수록 가공하기가 어려워 주조용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구리 78%와 주석 22%의 고유한 합금 비율과 열간 단조, 담금질 등의 과정을 거쳐 제작하면, 강도가 높고 가공성도 뛰어난 방짜유기만의 특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방짜유기는 각종 식중독균뿐 아니라,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19(COVID-19) 바이러스에도 우수한 살균 특성을 보인다. 작업공정에서 발생하는 거친 망치 자국 위로, 고급스러운 황금빛을 띠는 심미적 특성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방짜유기의 매력이다.

방짜유기는 전통적으로 원재료를 만드는 용해 작업에서부터 성형과정을 거쳐 최종 기물이 완성되기까지 여럿이 분업·협업을 통해 효율적으로 작업해왔다. 현대화된 기법과 설비는 전통 기법의 원형을 기반으로 개량·발전된 것으로, 공압식 해머, 열간압연기 등의 도입으로 불량률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이어진 작품연구에서는 개량된 기법을 활용해 오늘날 주로 쓰는 기물들을 제작했다. 전통 기법인 수공예 방식으로의 생산을 고집한다면, 가격이 높아져 대중들의 접근이 어려울 것이며, 작품이 과거에 쓰이던 형태와 쓰임 그대로라면 이 역시 대중들의 외면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개량된 기법과 설비를 활용해 현대인의 생활양식과 주거 공간을 고려한 생활용품들을 제작하여, 대중성을 높이고 유기가 우리의 일상에 자리 잡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방짜유기가 가진 장점을 활용하여 금속공예 기물을 제작하는 것이었다. 실용성에 집중했다는 다소의 아쉬움도 남지만, 다양한 유기의 활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전통공예를 현대화하기 위한 과정 중의 하나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체계적인 전승 교육보다는 오랜 시간 경험을 통해 체득되는 경우가 더 많은 전통공예 분야이기 때문에, 향후 이 연구는 유기에 관심 있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유기를 소비하고, 누리는 사람이 많아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유기를 제작하는 사람도 늘어나 더욱 다양한 유기 기물들이 제작되었으면 한다. 더 나아가 방짜유기가 전통문화를 넘어 오늘의 문화가 되어 우리 문화가 더욱 풍요로워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