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國文抄錄 6

ABSTRACT 8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1

2) 선행연구 검토 13

2. 연구 방법과 내용 15

3. 연구의 기대효과와 제한점 16

II. 한용운·백용성의 불교개혁사상 18

1. 한용운의 유신 사상 19

1) 한용운의 생애 19

2) 개혁의 방향성 21

3) 수행자의 삶 22

2.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31

1) 백용성의 생애 31

2) 개혁의 방향성 34

3) 수행자의 삶 36

III. 소태산의 불교혁신사상 43

1. 소태산의 생애 43

2. 개혁의 방향성 45

3. 수행자의 삶 47

1) 수행 48

2) 결혼 52

3) 수행자의 경제활동 53

IV. 소태산의 불교혁신사상의 현대적 의미 57

1. 소태산과 백용성·한용운의 불교혁신사상 비교 57

2. 소태산의 불교혁신사상의 미래지향적 의미 60

V. 결론 64

참고문헌 66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같은 시대에 활동했던 한용운과 백용성의 불교개혁운동과 소태산의 불교혁신을 비교함으로써, 소태산의 불교혁신이 현대적으로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사람의 불교개혁사상 중 특히 수행자의 삶에 관련된 부분을 집중탐구하고,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용운은 불교의 연기설에 바탕한 평등사상을 통해 서구의 자유주의를 받아들였으며, 이를 불교 개혁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삼았다. 한용운은 여기에 입각하여 수행자의 대처식육(帶妻食肉)을 주장하였으며, 시주나 보시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 경제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기를 주장했다. 한편 수행적 부분에 있어서는 본질의 회복을 추구했다. 당대 많은 사찰들은 참선이나 염불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얻고 있었다. 때문에 수행이 돈벌이의 수단으로 변질되는 행태를 보였다. 한용운은 수행의 본질적 부분에 집중하고, 돈벌이를 위해 만들어진 허례허식들을 모두 폐지하기를 주장했다.

백용성은 내적으로는 전통 한국불교를, 외적으로는 근대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출가 수행자들에 대해서는 엄격히 계율을 준수하고, 대처식육을 금하며, 외부와 단절되어 화두를 참구하는데 집중하여 깨달음을 얻기를 추구하였다. 또한 선농불교를 통해 노동으로 수행자들이 자립하기를 주장하였다. 한편 외적으로는 경전의 번역, 참선의 대중화, 불교 의식의 간소화 및 찬불가의 채용 등을 통하여 불교 대중화에 힘썼다.

소태산은 불법승(佛法僧) 세 가지 방면에 있어서 과감한 개혁을 단행했다. 불상을 타파하고 일원상을 통한 법신불 신앙을 세웠으며, 경전과 수행의 과목을 모두 통합하여 일반 대중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전과 수행법을 제시했다. 또한 출가와 재가의 구분을 타파하여 수행과 생활에 구분이 없게 만들었다. 때문에 수행자의 결혼 역시 자유로 두었다. 경제활동에 있어서는 무시선(無時禪)과 영육쌍전(靈肉雙全)의 원리로써 경제활동과 생활이 둘이 아닌 공부를 주장하였다.

이렇게 세 사람은 각자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불교 개혁을 주장했다. 그러나 한용운은 주장했던 바를 현실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데 있어서 미흡함이 있었다. 백용성은 '대각교'를 통해 자신이 구상한 불교 개혁을 실제로 현실화했으나, 출가자와 재가 교도가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이 참된 불교의 공부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소태산은 기존 불교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과감한 혁신을 통해 개혁에 성공하여 지금까지 교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소태산의 불교혁신은 비록 시대적인 배경은 근대이지만, 현대의 종교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이 있다. 첫째, 인격신앙을 타파했다는 점이다. 둘째, 출가자와 재가자를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셋째, 시대화·생활화·대중화를 최우선으로 두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의 혁신점은 불교를 넘어 종교의 본질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소태산의 혁신은 부분적 혁신이 아닌 전체적 혁신이었으며, 전통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현대적인 변용이었다. 현대 사회는 어느 때보다도 급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과감한 혁신 정신을 계승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야 현대 사회에서 종교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