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0
제1장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 목적 16
3. 용어의 정의 16
1) 혈당조절 프로토콜 16
2) 혈당조절 상태 17
3) 혈당 변동 정도 18
제2장 문헌고찰 20
1.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후 혈당조절 20
2. 혈당조절 프로토콜 22
제3장 연구방법 26
1. 연구 설계 26
2. 연구 대상 26
3. 혈당조절 프로토콜의 개발 및 적용 27
1) 혈당조절 프로토콜의 개발 27
2) 혈당조절 프로토콜의 적용 29
4. 연구 도구 32
5. 자료수집 방법 32
6. 윤리적 고려 33
7. 자료 분석 33
제4장 연구결과 34
1.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34
2. 대상자의 혈당조절 상태 비교 35
3. 대상자의 혈당 변동 정도 비교 38
제5장 논의 40
1. 혈당 조절 상태 40
2. 혈당 변동 정도 43
제6장 결론 및 제언 45
1. 결론 45
2. 제언 47
참고문헌 48
부록 59
ABSTRACT 60
Figure 1. Flow chart of the study 27
Figure 2. Glucose control protocol 32
Figure 3. Blood glucose variability of each group 39
심장 수술 직후 발생하는 고혈당 관리를 위해 목표 혈당을 유지하면서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혈당조절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심장 수술 직후 환자의 효과적인 혈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혈당조절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에 심장 수술 직후 입실하여 지속적 인슐린 정맥 주입 요법을 적용한 만 18세 이상인 환자 361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부터 2022년 8월까지 후향적으로 전자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혈당조절 상태 및 혈당 변동 정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슐린 투여를 시작한 측정 혈당값은 프로토콜을 적용한 적용군 251.17±47.25 mg/dL, 프로토콜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292.16±51.21 mg/d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7.72, p<.001), 중환자실 재원 기간 중 측정한 전체 혈당 평균은 적용군 178.25±21.90 mg/dL, 대조군 214.85±156.90 mg/d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45, p=.001).
인슐린 주입 시작 시점부터 목표 혈당 120-180 mg/dL범위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적용군 5.86±3.99시간, 대조군 11.7±20.61시간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12, p<.001).
허용되는 정상 혈당 범위 (80-119 mg/dL) 비율은 적용군 7.20±10.31%, 대조군 5.30±9.8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t=-1.72, p=.086), 목표 혈당 (120~180 mg/dL) 비율은 적용군 50.65±16.43%, 대조군 37.44±20.80%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69, p<.001). 고혈당(300mg/dL) 비율은 적용군 5.38±13.01%, 대조군 13.04±23.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4.040, p<.001), 저혈당(70mg/dL 미만) 비율은 적용군 0.05±0.67%, 대조군 0.27±1.03%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2.47, p=.001).
총 혈당 측정 건수는 적용군 31.15±38.03회, 대조군 25.62±30.03회이었고, 하루 평균 혈당 측정 건수는 적용군 12.90±1.65건, 대조군 13.26±3.43건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당 변동 정도를 살펴본 결과, 혈당 변동의 평균은 적용군 44.89±16.70 mg/dL, 대조군 57.99±22.49 mg/dL이었고(χ²=6.32, p<.001), 혈당 변동 정도는 두 군 모두 40 mg/dL<~≤60 mg/dL가 가장 많았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²=37.18, p<.001).
각 군에서 측정 혈당의 최대값은 적용군 280.30±61.95 mg/dL, 대조군 320.4±67.53 mg/dL이었고(t=5.76, p<.001), 혈당의 최소값은 적용군 110.24±25.22 mg/dL, 대조군 117.87±38.84 mg/dL이었으며(t=2.26, p=.024),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적용군 167.86±75.08 mg/dL, 대조군 202.35±82.61 mg/dL로 (t=4.07, p<.001) 적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혈당조절 프로토콜의 적용으로 심장 수술 직후인 환자의 혈당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 군간 혈당 측정 건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의 업무 부담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오히려 프로토콜 적용으로 혈당 조절과 관련된 의사와의 추가적인 의사소통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프로토콜을 적용한 혈당 관리로 간호사가 주체적으로 환자의 혈당 상태를 확인하고 주입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술 후 입실 환자의 혈당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체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혈당조절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혈당조절 상태 및 혈당 변동 정도와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와 혈당조절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간호사의 혈당조절과 프로토콜에 관련된 인식도, 업무 부담 정도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