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제1장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12
1.2. 연구의 목적 13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4
2.1. 공간객체의 특성과 활용 14
2.2. 4D BIM을 활용한 안전관리 15
2.3. Design for safety(DfS) 17
2.4. 소결 18
제3장 잠재적 위험요인 예측을 위한 Space Model 구축 프로세스 20
3.1. Space Model for Latent Hazard Detection(SMLHD)구축 프로세스 제안 20
3.2. Space Model 작성 및 공간객체 ID 기입 22
3.3. 공간객체 기반 안전관리 요소 선정 23
3.4. 안전관리 요소에 따른 공간객체 분류 및 속성 입력 24
제4장 SMLHD를 통한 안전관리 계획 수립 26
4.1. 안전관리 속성을 통한 SMLHD의 활용 26
4.2. 잠재적 위험요인 발굴 및 안전관리계획 도출 프레임워크 30
4.3. 프레임워크 검증 33
제5장 결론 38
5.1. 연구의 결과 38
5.2. 연구의 차별성 39
5.3. 추후 연구 방향 41
참고문헌 42
ABSTRACT 44
그림 1-1. 건설프로젝트 초기단계 공간객체 기반 안전관리 13
그림 2-1. 공간객체를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 4D 시뮬레이션 15
그림 2-2. Activity에 기반한 위험성 평가 프로세스 16
그림 2-3. 4D BIM 소프트웨어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 작성 프로세스 17
그림 2-4. 체크리스트 기반의 DfS를 활용한 자동 도면 검토 프로세스 18
그림 3-1. SMLHD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 20
그림 3-2. 공간객체 ID정보 입력 예시(Revit 예시) 22
그림 3-3. 공간객체 속성입력 예시 24
그림 3-4. 공간객체 일람표 작성 예시 25
그림 4-1. Revit 작업환경 Space Model 활용 예시 27
그림 4-2. 인화성 물질과 화기작업이 포함된 공간을 구분하여 나타낸 ARCHICAD 뷰 28
그림 4-3. 가설시설물과 천장속 작업이 포함된 공간을 구분하여 나타낸 ARCHICAD 뷰 28
그림 4-4. Bexel Manager의 Selection Set 기능을 활용한 Ifc Space Model 뷰 29
그림 4-5. 가설시설물과 개구부가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객체의 인식 논리구조 31
그림 4-6. 가설시설물과 천장속 작업이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객체의 인식 논리구조 31
그림 4-7. 인화성재료 노출기간과 화기작업 기간이 중복되는 공간객체의 인식 논리구조 32
그림 4-8. 'Space Model 개요' 시트 33
그림 4-9. '공간객체 기반 안전관리 요소' 시트 34
그림 4-10. '공간객체 위험도 분류' 시트 35
그림 4-11. 엑셀 수식기반의 공간객체 기반 안전관리 프레임워크 35
그림 4-12. '대안검토' 시트 36
그림 4-13. 별첨 시트, Space Model 일람표 37
그림 5-1. 연구의 결과 및 차별성 40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적절한 안전관리대책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의 해결을 위해 기획 및 설계단계부터 적절한 안전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제안되고 있으나, 건설업 특성 상 초기단계에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가 제한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객체가 가지는 정보전달 매개체로서의 역할과 높은 가시성을 통해 건설 프로젝트 초기단계부터 Space Model을 활용하고 안전관리에 관련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잠재적 위험요인의 식별과 예측을 위한 Space Model 구축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해당 프로세스를 통해 작성된 Space Model이 실질적인 안전관리 계획을 도출할 수 있는지 실증하기 위해 실제 프로젝트의 공간구성을 기반으로 구축 프로세스에 따라 Space Model을 작성하였으며, 대표적인 BIM 소프트웨어별 Space Model 활용 예시를 추가하였다. 또한, 자동으로 안전관리 대안을 제시하고 프로젝트를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작성하여 추후 자동화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개발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