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문제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헤어미용의 정의 및 선행연구 14
1. 헤어미용의 정의 14
2. 헤어미용의 선행연구 15
제2절 교육서비스품질의 정의 및 선행연구 16
1. 교육서비스품질의 정의 16
2. 교육서비스품질의 선행연구 17
제3절 교육만족도의 정의 및 선행연구 18
1. 교육만족도의 정의 18
2. 교육만족도 대한 선행논문 19
제4절 실무능력의 정의 및 선행연구 19
1. 실무능력의 정의 19
2. 실무능력 대한 선행논문 20
제3장 연구 방법 22
제1절 연구대상 및 기간 22
제2절 연구 모형 22
제3절 설문지 구성 23
제4절 분석 방법 24
제5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5
1. 헤어미용 교육서비스품질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5
2. 교육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6
3. 실무능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26
제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28
제1절 일반적 특성 및 교육실태 및 요인들 분석 결과 28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28
2. 연구대상자의 헤어미용 교육실태 분석 결과 28
제2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실태 및 요인들의 차이 분석 29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실태 차이 분석 2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의 차이 분석 34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 분석 36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무능력의 차이 분석 36
제3절 미용교육 실태에 따른 요인들의 차이 분석 38
1. 교육실태에 따른 서비스품질의 차이 비교 38
2. 교육실태에 따른 교육만족도 차이 비교 39
3. 헤어미용교육실태에 따른 실무능력 차이 비교 41
제4절 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43
제5절 요인들 사이의 회귀분석 44
1.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4
2. 교육서비스품질이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44
제6절 교육서비스품질과 실무능력 사이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48
제5장 결론 및 제언 58
참고 문헌 60
부록 64
ABSTRACT 70
〈표 2-1〉 교육서비스품질의 차원 17
〈표 3-1〉 설문지 구성 23
〈표 3-2〉 헤어미용 교육서비스품질 요인분석 25
〈표 3-3〉 교육만족도 요인분석 26
〈표 3-4〉 실무능력 요인분석 27
〈표 4-1〉 일반적 특성 분석결과 28
〈표 4-2〉 헤어미용교육 실태 분석결과 29
〈표 4-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미용교육의 목적 30
〈표 4-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미용강의 수강 기간 31
〈표 4-5〉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미용강의 서비스 중 만족스러웠던 점 32
〈표 4-6〉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미용교육 후 향상된 실무능력 33
〈표 4-7〉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미용교육 이론:실기 비율 34
〈표 4-8〉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분산분석 35
〈표 4-9〉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산분석 36
〈표 4-1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무능력 분산분석 37
〈표 4-11〉 실태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분산분석 39
〈표 4-12〉 실태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산분석 40
〈표 4-13〉 헤어미용교육 실태에 따른 실무능력 분산분석 42
〈표 4-14〉 각 변수의 상관관계분석 43
〈표 4-15〉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 회귀분석 44
〈표 4-16〉 교육서비스 품질-실무능력_커트 회귀분석 45
〈표 4-17〉 교육서비스 품질-실무능력_퍼머넌트 회귀분석 46
〈표 4-18〉 교육서비스 품질-실무능력_샴푸 회귀분석 46
〈표 4-19〉 교육서비스 품질-실무능력_드라이 및 아이론 회귀분석 47
〈표 4-20〉 교육서비스 품질-실무능력_헤어컬러링 회귀분석 47
〈표 4-21〉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실무능력_커트 회귀분석 49
〈표 4-22〉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실무능력_퍼머넌트 회귀분석 51
〈표 4-23〉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실무능력_샴푸 회귀분석 53
〈표 4-24〉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실무능력_드라이 및 아이론 회귀분석 55
〈표 4-25〉 교육서비스 품질-교육만족도-실무능력_헤어컬러링 회귀분석 57
〈그림 2-1〉 연구모형 22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미용 교육 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미용전공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여성이 69%로 남성에 비해 많았고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많았으며 전공은 헤어, 학력은 고등학교, 학업성적은 보통이 가장 많았다. 교육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은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5가지 요인에 부가적 서비스를 추가하여 총 6가지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 응답성, 확신성, 부가적서비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신뢰성은 성별, 전공혈, 학업성적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별은 여성, 전공은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순으로, 학력은 높을수록, 학업성적은 상위권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 전공은 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순으로, 학업성적은 상위권일수록 교육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서비스품질은 응답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부가적서비스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서비스의 요인 중에서 확신성이 커트를 제외한 모든 실무능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용교육서비스의 응답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을 이해, 배려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노력을 한다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것이고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 능력을 갖추어 교육현장에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실무능력 향상에 효과적일것으로 사료 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