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13

제2장 현상학적 공간의 발생 15

제1절 흐르는 현대사회의 공간 16

제2절 상상력과 공간의 이미지 19

제3절 현상학적 태도 22

제3장 작품의 전개 24

제1절 도예의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 24

1. 도예의 특수성 24

2. 메를로-퐁티의 신체 현상학 26

3. 현상학적 공간과의 상관성 29

4. 질 들뢰즈의 감각론과 촉지적 공간 31

제2절 작품 사례 연구 34

1. 신체성에 기반한 표현 34

2. 내포된 불안감 37

3. 유약이라는 살 39

제4장 작업 의도 및 작품 해설 42

제1절 작업 의도와 방향 42

1. 발견의 공간 43

2. 참여의 공간 43

3. 순간의 공간 44

제2절 작품 해설 46

1. Niche Vase Series 46

2. Ball Vase Series 50

3. A Glimpse of the Place 52

4.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 56

5. Intersection 60

6. New Scenery Series 63

제5장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2

그림목차

〈Figure 1〉 조지 오어 (George E. Ohr), Bowl, 1987. 34

〈Figure 2〉 피터 볼커스 (Peter Voulkos), Rocking Pot, 1956. 38

〈Figure 3〉 루스 더크워스 (Ruth Duckworth), Vessel ,1986. 38

〈Figure 4〉 클레어 투미 (Clare Twomey), Consciousness / Conscience, 2001-2004. 38

〈Figure 5〉 이재원, Monsoon, 2007. 40

〈Figure 6〉 이재원, Spring Rain, 2009. 40

〈Figure 7〉 Niche Vase Series, 2019-2020. 46

〈Figure 8〉 사랑의 방 (Chambre d'amour), 2020. 47

〈Figure 9〉 마라케시의 풍경 (2018년 2월) 48

〈Figure 10〉 Wave Vase from Marrakesh, 2020. 48

〈Figure 11〉 마조렐 정원입구 앞 인파 (2018년 2월) 48

〈Figure 12〉 마조렐 정원 앞에서, 2021 48

〈Figure 13〉 Ball Vase Series, 2019-2020. 50

〈Figure 13-1〉 분리된 볼 베이스 51

〈Figure 13-2〉 결합된 볼 베이스 51

〈Figure 14〉 A Glimpse of the Place, 2020. 52

〈Figure 14-1〉 A Glimpse of the Place (composition No.01-05), 2020. 53

〈Figure 14-2〉 A Glimpse of the Place (composition No.06), 2020. 53

〈Figure 15〉 장소의 편린들1, 2021. 55

〈Figure 16〉 장소의 편린들2, 2021. 55

〈Figure 17〉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 2020. 56

〈Figure 18〉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 (Rough engobe version) 57

〈Figure 19〉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의 성형 과정 59

〈Figure 20〉 Intersection No.01, 2020. 60

〈Figure 21〉 Intersection No.03, 2020. 61

〈Figure 22〉 Sedona, 2022. 63

〈Figure 23〉 Flowers on the Rriver, 2022. 63

〈Figure 24〉 Nucanva Cup Series, 2021-2022. 64

〈Figure 25〉 슬립으로 그려진 저부조 장식 65

〈Figure 26〉 소성 전의 시유된 기물들 65

초록보기

본 연구는 도예에서 현상학적 공간이 어떠한 조형원리에 의해 구현되는지와 작품을 통해 실재 공간에 대한 감각의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들을 분석해 현상학적 공간을 도자 조형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그리고 현대도예 속 공간 개념 및 표현의 독자적인 조형성을 제시하고 작품 해석의 방향을 제안하며 최종적으로는 도예의 표현과 감상의 지반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도예에서 현상학적 공간의 표현이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현상학적 공간의 개념과 정의를 도예의 특수성과 연관하여 이해하고자 함과 동시에 현대도예에서 발생한 현상학적 공간을 분석해 표현의 방향성을 정하고 이를 연구자의 작품에 적용해 보는 단계를 거친다.

본론에서는 현상학적 공간의 표현에 주목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의 『액체 현대』,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공간의 시학』, 을 바탕으로 현상학적 공간의 발생을 이해하고 작품의 전개를 위해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의 신체 현상학에 근거하여 도예의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 간의 상관성을 밝힌다. 그리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과 촉지적(Haptic)공간 개념을 더해 표현과 감상, 양측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는다. 작품 사례연구를 통해 현상학적 공간 표현의 방식을 분류하고 지각과 표현 사이의 관계 탐구를 통해 연구자의 감각과 의식을 작품으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제작의 방향성을 구성하여 작품들을 기법과 재료가 아닌 발견, 참여, 순간의 공간이라는 제작 의도를 바탕으로 표현의 방식들을 설정한다. 작품의 해설은 작업 초기인 2019년도부터 최근 2022년까지 연도별로 진행되며 제작 당시의 연구자의 의식에 따라 사용했던 형태 구조와 표현기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결론에서는 도예의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의 상관성에 기반한 조형원리를 도출해 내고 이를 제작하는 과정에 적용시켜 현상학적 공간의 변용적인 면모를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연구의 의의를 도출한다.

현상학적 공간을 도자 조형의 특수성에 기반해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함께 작품 제작 시에 연구자의 태도가 작품에 끼치는 영향과 작품이 스스로 획득하게 되는 주체성에 의해 다시 영향을 받는 연구자의 모습에서 확장된 공간 감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연구가 현대도예에서 다소 부족했던 도예의 본질과 특성에 기반을 둔 연구였음에 의의를 두었다. 이렇게 공간에 대한 감각과 표현을 분리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이 작품의 가진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역할과 다른 매체의 해석을 빌려 희미해졌던 현대도예의 독자적인 지위를 회복함과 동시에 앞으로 실제 작품의 제작에 있어 본 연구에서의 논의가 도예의 개념을 넓혀주는 이론적 배경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