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 목적 9
2. 연구 방법 10
II.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특징과 성악 발전 배경 11
1.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특징 11
가. 통주저음(basso continuo)과 모노디(monody) 11
나. 리듬과 악보 기호 13
다. 장식음과 즉흥연주 14
라. 장·단조 체계 확립 16
2. 성악의 발전 17
가. 오페라의 탄생과 발전 17
나. 벨칸토(Bel canto) 발성 29
III.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Alessandro Scarlatti) 33
1. 생애와 사회적 배경 33
2. 스카를라티의 작품 특징 36
3. 성악작품 분석 38
가. 『Il Pompeo』 중 〈O cessate di piagarmi〉 38
나. 『Il Pirro e Demetrio』 중 〈Le violette〉 44
IV.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 (Giovanni Battista Pergolesi) 53
1. 생애와 사회적 배경 53
2. 페르골레지의 작품 특징 55
3. 성악작품 분석 57
가. 오페라 『La serva padrona』 중 〈Stizzoso, mio stizzoso〉 57
나. 『Stabat mater』 중 〈Cujus animam gementem〉 65
V. 결론 73
참고문헌 76
국문초록 80
Abstract 82
〈악보 1〉 〈O cessate di piagarmi〉, 마디 4-7 41
〈악보 2〉 〈O cessate di piagarmi〉, 마디 8-13 42
〈악보 3〉 〈O cessate di piagarmi〉, 마디 20-23 43
〈악보 4〉 〈Le violette〉, 마디 1-6 46
〈악보 5〉 〈Le violette〉, 마디 7-11 47
〈악보 6〉 〈Le violette〉, 마디 10-14 48
〈악보 7〉 〈Le violette〉, 마디 15-20 49
〈악보 8〉 〈Le violette〉, 마디 21-23 50
〈악보 9〉 〈Le violette〉, 마디 27-29 50
〈악보 10〉 〈Le violette〉, 마디 34-36 51
〈악보 11〉 〈Le violette〉, 마디 46-48 52
〈악보 12〉 〈Le violette〉, 마디 49-52 52
〈악보 13〉 〈Stizzoso mio stizzoso〉, 마디 1-12 60
〈악보 14〉 〈Stizzoso mio stizzoso〉, 마디 25-30 61
〈악보 15〉 〈Stizzoso mio stizzoso〉, 마디 36-47 62
〈악보 16〉 〈Stizzoso mio stizzoso〉, 마디 60-70 63
〈악보 17〉 〈Stizzoso mio stizzoso〉, 마디 95-100 64
〈악보 18〉 〈Cujus animam gementem〉, 마디 1-19 68
〈악보 19〉 〈Cujus animam gementem〉, 마디 28-35 69
〈악보 20〉 〈Cujus animam gementem〉, 마디 36-51 70
〈악보 21〉 〈Cujus animam gementem〉, 마디 60-75 71
〈악보 22〉 〈Cujus animam gementem〉, 마디 84-106 72
스카를라티와 페르골레지는 바로크 시대 후반의 중요한 성악 작곡가이고, 본 논문은 두 작곡가가 갖는 바로크 시대 후반에 성악곡 작곡에서의 중요성을 논증할 뿐만 아니라 성악가들이 작곡가가 표현하고 싶은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바란다. 그들은 바로크 음악 스타일이 후반까지 발전한 나폴리 악파의 대표 인물이기 때문에 필자는 바로크의 시대적 배경을 결합하여 성악곡이라는 분야에서 스카를라티와 페르골레지가 어떻게 전통을 계승하여 혁신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7-18세기의 이탈리아에 경제의 회복과 발전, 도시의 부흥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사람들의 사상이 중세기 종교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하였다. 이때 음악가들은 최초의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비위에 맞추어 음악을 작곡하였으며, 악곡은 웅대하고 화려하며 격정적이고 과장하는 표현이 가득 차 있다. 카메라타 단체의 음악 사상으로 인해 음악 작곡에서 통주 저음을 바탕으로 하며 화성학의 탄생화 호모포니의 발전을 초래되었다. 화성학은 장·단조 체계의 탄생을 일게 하였다. 동시에 장식음과 즉흥 연주도 번영하고 음악 지시어와 리듬의 나타남은 노래 형식을 규범화하였다. 노래의 악장과 악장 사이에 정서적 대비가 이루어지고 악단과 악단 사이에 셈여림 대비가 형성된다.
위의 요소는 오페라라는 음악 소재에서 남김없이 다 드러났다. 오페라 내용을 잘 표현하기 위해 벨칸토라는 노래 테크닉이 생겼으며 오늘날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오페라는 동시의 유럽, 플로렌스, 로마, 베니스 이러한 도시에서 끊임없이 혁신하였고 마지막으로 나폴리에서 바로크 시대 오페라의 절정이 형성되었다. 나폴리 오페라의 영향은 유럽에서 널리 퍼져나갔고 오페라도 나폴리에서 두 개의 중요한 장르, 즉 오페라 세리아와 오페라 부파가 나타나게 하였다. 필자는 선택한 스카를라티는 오페라 세리아의 대표적인 인물이고 페르골레지는 오페라 부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본 논문은 네 곡을 선택하였다. 이 네 곡이 해당한 오페라는 당시 바로크 시대에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현재까지도 많이 부르는 곡인데 비교적 대표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두 작곡가의 생활 배경, 생애 그리고 음악적 특징의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작곡가가 당시의 음악 혁신을 어떻게 이끌었는지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 2곡은 스카를라티의 곡들이다. 제1곡은 오페라 세리아 『Il Pompeo』의 제2막에 나오는 아리아 〈O cessate di piagarmi〉이고, 내용은 로마 장군의 아들이 포로로 잡힌 적국의 여왕을 사랑하지만 그녀를 가질 수 없는 슬픔에 대한 하소연인데, 이 곡은 6/8 박자이고 A-B-A' 형식이다. 제2곡은 오페라 세리아 『Il Pirro e Demetrio』의 제2막에 나오는 아리아 〈Le violette〉이고, 내용은 한 기사의 아들이 화원에서 소톡크를 보고 좋아하는 사람을 떠올리지만 상대방의 높은 지위 때문에 고통스럽다는 내용이고, 이 곡은 4/4 박자의 A-B-A'-B'-A" 형식이다.
제3, 4곡은 페르골레지의 곡들이다. 제3곡은 오페라 부파 『La serva padrona』의 제2막에 나타나는 아리아 〈Stizzoso, mio stizzoso〉이고, 내용은 하녀가 화가 난 주인을 장난스럽게 꾸짖는 내용으로, 2/4 박자이고 A-A'-A"-B 형식이다. 제4곡은 칸타타 『Stabat mater』의 제2단락에 나타나는 〈Cujus animam gementem〉이고, 성모가 십자가에 박힌 아들의 잔혹한 심정을 볼 수밖에 없는 내용이다. 이 곡은 3/8 박자이고 A-B 형식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