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 목적 18
3. 연구 문제 19
4. 연구의 범위와 방법 19
II. 이론적 배경 21
1. 연구의 이론적 근거 21
1.1. 창업생태계 연구의 주요 이론 21
1.2. 사회적 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 27
2. 스케일업(Scaleups) 32
2.1. 스케일업의 개념 33
2.2. 스케일업의 중요성과 사례 35
2.3. 스케일업의 해외정책 사례 37
3. 창업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 39
3.1. 창업생태계 개념 40
3.2. 창업생태계 구성요소 44
3.3. 창업생태계 국내 문헌 52
3.4. 창업생태계 해외 문헌 56
3.5. 해외 주요국의 창업생태계 특성 60
4.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62
4.1.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62
4.2.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 64
4.3.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국내 문헌 72
4.4. 국내 스케일업 프로그램 및 지원사업 75
5. 분석방법론 77
5.1. AHP 분석기법 77
5.2. AHP 분석기법 선행연구 77
5.3. IPA 분석기법 79
5.4. IPA 분석기법 선행연구 80
5.5. AHP-IPA 분석기법 선행연구 81
III. 연구 설계 83
1. 분석의 절차 및 가설 83
2. 조사 도구 83
2.1. AHP 계층구조의 설정 83
2.2. IPA 설문지의 구성 86
3. 조사 및 분석 방법 88
3.1. 표본 설계 및 자료 수집 88
3.2. 자료 분석 89
IV. 실증 분석 결과 90
1. AHP 분석 90
1.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90
1.2. 분석의 결과 91
1.3. 창업 분야 전문가 의견 92
2. IPA 분석 98
2.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98
2.2. 분석의 결과 99
2.3. 창업자 의견 102
2.4. 집단 간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 분석 109
3. AHP와 IPA 분석의 결과 118
3.1. 종합 분석 및 시사점 118
V. 결론 및 제언 120
1. 연구요약 120
2. 결론 및 시사점 124
3. 제언 129
참고문헌 131
부록 148
[부록 1] 조사도구(AHP 설문지) 148
[부록 2] 조사도구(IPA 설문지) 154
Abstract 161
〈그림 1〉 연구 절차 20
〈그림 2〉 IPA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102
〈그림 3〉 3년 미만 스타트업 대상 IPA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110
〈그림 4〉 3년 이상 스타트업 대상 IPA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111
〈그림 5〉 수도권 소재지 스타트업 대상 IPA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113
〈그림 6〉 비수도권 소재지 스타트업 대상 IPA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115
국내 창업생태계는 창업의 내실화와 고도화에 대한 질적 확산을 위해 스케일업 전략이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진화해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 만족도(현재 수준)를 창업 분야 전문가와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하여 스케일업 정책 방향과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스케일업 창업생 태계를 위해서 현재 시점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은 무엇인지 도출하고, 창업 분야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실제 창업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현재 수준)는 무엇인지 분석한다.
AHP 분석 결과, 창업 분야 전문가가 인식하는 스케일업을 위한 창업생태계 상위요소(2계층)의 6개의 중요도는 인재, 시장, 금융자본, 정책, 지원, 문화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요소(3계층)의 24개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 6가지는 기술인재육성(인재), 테스트베드 지원(시장), 성장단계별 자금 지원(금융자본), 스케일업 전문 조직 운영(정책), 선배 창업가 노하우 공유(인재), 스케일업 전용 펀드(금융자본) 순으로 도출되었다.
IPA 분석 결과, 창업자들이 인식하는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성장단계별 자금 지원(금융자본), 기업 맞춤형 스케일업 지원(지원), 규제 개선(정책), 스케일업 전용 펀드(금융자본), 투자 대형화(금융자본), 기술인재 육성(인재)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현재 수준)의 순위는 성장단계별 자금 지원(금융자본), 투자 연계 행사(금융자본), 선배 창업가 노하우 공유(인재), 공공 지원기관 강화(지원), 스케일업 우수 사례(문화인식), 기업가정신 제고(문화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생태계의 모든 요소는 중요도가 만족도(현재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국가수준의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가 창업자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만족도 측면에서는 낮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에서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요소는 범정부 통합 추진 계획(정책), 스케일업 전문 조직 운영(정책), 기업 맞춤형 스케일업 지원(지원), 규제 개선(정책), 한국 스케일업 모델구축(정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스케일업을 위한 창업생태계 구성요소는 기업의 성장단 요소들이 균형 있게 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창업생태계 자원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성공 노하우를 확보하고 스케일업 생태계를 형성해나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스케일업 창업생태계를 위해 좀 더 집중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은 창업자들의 인식 결과로 도출된 정책과 지원 부분이다. 스케일업 생태계를 위한 범정부 통합 추진계획과 스케일업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전문 조직, 기업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는 다양하고 대형화된 금융자본, 사업 분야별 스케일업 프로그램의 다양화, 스타트업과 스케일업 지원의 연계, 지역 단위의 스케일업 전략, 지역의 허브인 대학별 스케일업 전략, 신기술 및 신산업 분야의 규제 완화, 글로벌 스케일업 전략, 해외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 기업 맞춤형의 스케일업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창업생태계를 위해 필요한 요소는 생태계를 이끌어나갈 인재와 문화이다. 지역별·대학별 특화분야를 선정하고 청소년, 청년 대상의 창업인재 양성을 위한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스케일업 사관학교 확대 등으로 국가 수준의 창업문화를 확산해나가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