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7

1. 연구 배경과 목적 17

2. 연구 방법과 범위 18

3. 선행연구 분석 18

II. 중국 명·청(明淸) 시대의 해외 무역(1368년~1912년) 22

1. 명나라의 해외 무역 22

1.1. 명나라 초기의 무역 정책 22

1.2. 명나라 중기의 금해(禁海)와 개해(開海) 23

2. 청나라의 해외 무역 25

1.1. 청나라 초기의 금해 정책과 강희(康熙)의 개해(開海) 25

1.2. 광주(廣州)의 일구(一口) 통상 26

3. 수출 도자의 대외 수출 항로 27

III. 중국 명·청 시대의 수출 도자기 요지와 도자 종류 31

1. 강서(江西) 경덕진(景德鎮) 수출 도자 요지와 도자 종류 31

1.1. 경덕진의 지리적 위치와 역사 배경 31

1.2. 경덕진의 수출 도자 요지 31

1.3. 경덕진의 수출 도자 종류 33

2. 광동(廣東) 수출 도자 요지와 도자 종류 43

2.1. 광동의 지리적 위치와 역사적 배경 43

2.2. 광동의 수출 도자기 요지 44

2.3. 광동의 수출 도자 종류 47

3. 절강(浙江) 용천(龍泉) 수출 도자 요지와 도자 종류 63

3.1. 용천의 지리적 위치와 역사 배경 소개 63

3.2. 용천 수출 자기 요지 64

3.3. 용천 수출 도자의 종류 66

4. 복건성(福建省) 수출 도자 요지와 도자 종류 71

4.1. 복건의 지리적 위치와 역사적 배경 72

4.2. 명·청(明清) 시대 덕화 백자의 수출 종류 72

4.3. 명·청 시대 덕화 백자 수출 성행의 원인 80

4.4. 경덕진 청화자를 모방한 복건성 민요(民窯) 장주요(漳州窯) 81

소결론 90

IV. 중국 명·청 시대의 수출 도자 기형과 장식 문양 91

1. 명·청 시대 수출 도자의 기형 91

1.1. 중국식 기형 91

1.2. 서양식 기형 92

1.3. 복합형 기형 95

2. 명·청 시대 수출 도자의 장식 문양 96

2.1. 중국 전통 문양 96

2.2. 일본식 문양 102

2.3. 유럽식 문양 103

2.4. 복합식 문양 107

2.5. 명·청 수출 도자 주제 문양 장식의 변천 108

소결론 113

V. 중국 명·청 시대 수출 도자의 세계적 영향 114

1. 중국 수출 자기가 유럽 도자 제조업에 끼친 영향 114

2. 중국 수출 도자가 일본 도자 제조업에 끼친 영향 117

2.1. 일본 이마리와 중국 이마리의 유사점과 차이점 120

소결론 125

VI. 결론 126

참고문헌 129

Abstract 135

요약 139

부록 141

〈부록 1〉 명나라 황제 재위 연표 141

〈부록 2〉 청나라 황제 재위 연표 142

〈부록 3〉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4

〈부록 4〉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5

〈부록 5〉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6

〈부록 6〉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7

〈부록 7〉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8

〈부록 8〉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8

〈부록 9〉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49

〈부록 10〉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50

〈부록 11〉 "난아오 I호" 명나라 침몰선 문화재 152

표목차

〈표 1〉 명나라 각 시대에 실행한 해외 무역 정책 25

〈표 2〉 청나라 각 시대에 실행한 해외 무역 정책 27

〈표 3〉 중국 역사 시대별 수출 도자의 대외 운송 항로 29

〈표 4〉 송원 시대와 명·청 시대 경덕진에서 수출한 도자 유형 비교 33

〈표 5〉 명·청시대 경덕진의 수출채색자 분류 38

〈표 6〉 송원 시대(960년~1368년)와 명·청 시대 백자 비교 40

〈표 7〉 청나라 수출 자기 양식과 소재 구분 43

〈표 8〉 명나라 광동 주요 도자 요지와 제품 유형 46

〈표 9〉 명·청 석만요의 특성분석 48

〈표 10〉 명·청 광동조주(潮州) 지역의 도자기 요지특성 분석 52

〈표 11〉 나라별 용천청자 비교 66

〈표 12〉 경덕진 용천 모조 청자와 용천 청자의 자태에 대한 화학 구성 평균치와 표준차/wt% 68

〈표 13〉 경덕진 용천 모조 청자와 용천 청자의 유약(釉藥) 요소에 대한 화학 구성 평균치와 표준차/wt% 69

〈표 14〉 덕화요 수출 도자의 주요 모양 및 중국과 해외 용도 74

〈표 15〉 덕화요 수출 도자의 장식 기법 78

〈표 16〉 장저우요 수출 도자기 종류 83

〈표 17〉 '남오 1호(南澳 I 号)' 출수문물 86

〈표 18〉 장주요 청화자 샘플의 자태 성분 87

〈표 19〉 경덕진 청화자 샘플의 자태 성분 88

〈표 20〉 중국식 기형 92

〈표 21〉 서양식 기형 93

〈표 22〉 중국식 기형과 서양식 기형 대비도 93

〈표 23〉 복합형 기형 95

〈표 24〉 동물 문양 98

〈표 25〉 산수 문양 99

〈표 26〉 인물 문양 100

〈표 27〉 기타 문양 101

〈표 28〉 일본식 문양 103

〈표 29〉 난징 패턴(Nanking Pattern) 대비도 110

〈표 30〉 사슴 동물문 대비도 111

〈표 31〉 인물 주제 문양의 시녀(仕女) 대비도 112

〈표 32〉 명·청 시대에 일본 수출 도자 종류 120

〈표 33〉 중국 도자와 일본 이마리의 비대칭 구도 비교 124

그림목차

〈그림1〉 육상 실크로드 28

〈그림2〉 중국 명·청(明淸)시대 수출 도자기 해상무역 항로 29

〈그림3〉 중국 명·청(明淸)시대 수출 도자기 해상무역 노선도 30

〈그림4〉 경덕진 수출 도자기 해운 노선도 32

〈그림5〉 남송경덕진청백자연자완(蓮子碗), 17.5x4x3.8cm, 저장성박물관(浙江省博物館) 33

〈그림6〉 청대 청화오동산수반(青花梧桐山水盤), 31.3x11.2x5cm, 광동성박물관 33

〈그림7〉 명만력(萬曆, 1573~1620), 경덕진요청화개광화훼박고도군지(景德鎮窯青花開光花卉博古圖軍持), 19x9.5x4cm, 상해박물관 35

〈그림8〉 청옹정(雍正, 1723~1735), 경덕진요청화화화문국판벽병(景德鎮窯青花花卉紋菊瓣壁瓶), 18.5x7.5x6cm광동성박물관 35

〈그림9〉 명대클라크청화조문대반(克拉克青花花鳥紋大盤), 29x11.9x5cm, (Hatcher)침몰선) 36

〈그림10〉 청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서 주문제작한클라크청화자반, 23x8.2x3.7cm 영국박물관 36

〈그림11〉 청건륭 (乾隆) 분채서양인물쌍병(粉彩西洋人物雙瓶), 46x16x14cm, 영국박물관 37

〈그림12〉 청강희 (康熙) 유리홍가채검사사자그림병 (釉裏紅加彩劍士獅子繪畫瓶), 36x8.5x3.8cm, 영국박물관 37

〈그림13〉 명가정(明嘉靖)오채어조문양뚜껑달린통(五彩魚藻紋蓋罐), 33.2x24.1x19.5cm, 고궁박물관 38

〈그림14〉 명가정(明嘉靖) 경덕진요홍지묘금화조문주전자(紅釉裏描金花鳥紋執壺), 26.5x10.1x3.8cm, 고궁박물관 38

〈그림15〉 청강희(康熙), 법랑채황지복수화문양병(琺琅彩黃地福壽花紋瓶)27.2x15x6.8cm, 고궁박물관 38

〈그림16〉 청건륭두채와분채식암팔선문양접지판(暗八仙紋折腰盤), 17.5x6.5x4.8cm, 상하이박물관 38

〈그림17〉 청대, 경덕진요지분 채묘금길상문양그릇 (景德鎮窯 粉彩描金吉祥紋碗), 13x6x4.5cm, 경덕진박물관 38

〈그림18〉 청건륭 (清乾隆) 고동채묘금원형함(古銅彩描金圓盒), 13.5x10x4cm, 타이베이고궁박물관 38

〈그림19〉 원나라 난백유 인화 운룡문반(雲龍紋盤), 13.5x6.1x2.8cm, 고궁박물관(故宮博物館) 40

〈그림20〉 명대(明代) 첨백유 삼계죽절(三系竹節)주전자, 11x10.5x9.8cm, 상하이박물관 40

〈그림21〉 청옹정(雍正), 분채금계모란문반(粉彩錦雞牡丹紋盤), 35.5x21.5x5cm, 고궁박물관 43

〈그림22〉 18세기 포르투갈에 수출한동태(銅胎)법랑접시, 21.3x9x2.4cm, 미국대도회박물관(美國大都會博物館) 43

〈그림23〉 청건륭 (清乾隆) 광채인물문반(廣彩人物紋盤), 17.5x5.8x4.3cm, 광동성박물관 43

〈그림24〉 용요(龍窯) 복원도 45

〈그림25〉 만두요(饅頭窯) 복원도 45

〈그림26〉 명나라매현수차요청유자기단지 (梅縣水車窯青釉罐) 35.3x14x11.2cm, 광동성박물관 46

〈그림27〉 명가정(明嘉靖)백마요 (白馬窯) 용천요를모방한그릇, 14.1x6.2x4.5cm, 광동성박물관 46

〈그림28〉 청나라, 구촌요 (九村窯) 청화화과문단지, 26.7x9x8.9cm, 광동성박물관 46

〈그림29〉 명나라, 석만요 (石灣窯) 가균유를 모방한삼족로, 9cmx7.2cmx7cm, 광동성박물관 46

〈그림30〉 명정통(明正統), 석만공자(公仔), 28.6x17.5x17cm, 광동성박물관 48

〈그림31〉 청대 균기천구병(鈞器天球瓶), 31x10.3x5.8cm, 광동성박물관 48

〈그림32〉 명대 풍계요 퇴첩화과형호(堆贴花瓜形壶), 30x1x7cm, 광동성박물관 50

〈그림33〉 명대 풍계요 백유관음입상(白釉觀音立像), 78.5x15x28cm, 광동성박물관 50

〈그림34〉 청나라 조주풍계요(楓溪窯)유자인물소상, 23x8.6x9cm, 광동성박물관 52

〈그림35〉 청나라 구촌요청화화과문단지, 26.7x8.9x9cm, 광동성박물관 52

〈그림36〉 청나라 대포요 (大埔窯) 청자그릇, 7.9x6.1x3.4cm, 광동박물관 52

〈그림37〉 청대 광채개광청대인물서양대관(廣彩開光清代人物西洋大罐) 한쌍, 33.5x14x14.1cm,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 53

〈그림38〉 청옹정(清雍正), 절지화접문반(折枝花蝶紋盤), 16.5x7.6x4cm, 광동성박물관 54

〈그림39〉 청옹정(清雍正), 광채산수문반(廣彩山水紋盤), 16.5x7.6x4cm, 광동성박물관 54

〈그림40〉 휘장자(徽章瓷)의 구성 요소 57

〈그림41〉 청건륭 (清乾隆) 휘장자반(徽章瓷盤), 26.6x8.2x3.2cm, 대영박물관 57

〈그림42〉 1734년 '우산녀' 도자기 접시 설계도, 설계자: 플롱크(Pronk), 네덜란드 국립박물관. 58

〈그림43〉 청나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주문견본판, 광동성박물관 58

〈그림44〉 청나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주문 제작한 한 쌍의 주전자, 25x21.5x11cm, 대영박물관 59

〈그림45〉 청건륭 (清乾隆) Faim1levesre광채(정원인물문양판(廣彩庭院人物紋盤), 29x12x5cm미국대도회박물관 61

〈그림46〉 청건륭 (清乾隆) Faim1levesre광채정원인물이야기문뚜껑항아리(廣彩庭院人物故事紋蓋缸), 34.1x22.1x14.5cm, 미국대도회박물관 61

〈그림47〉 용천 요지 분포도 63

〈그림48〉 명·청용 천청자 수출항 및 주요 수출국 65

〈그림49〉 오대(五代, 907~960년) 용천요복련판문관병(覆蓮瓣紋管瓶), 27.5x8.9x7.8cm, 저장성박물관 66

〈그림50〉 북송(北宋, 960~1127년) 용천요각화개완(龍泉窯刻劃花蓋碗), 12.3x7.5x5cm, 저장성박물관 66

〈그림51〉 남송 (南宋, 1127~1279년) 용천요매실청유룡귀접식로 (梅子青釉龍耳簋式爐) 11x8.6x6.5cm, 고궁박물관 66

〈그림52〉 원나라(元代, 1206~1368년)용천요청자현문매병(青瓷弦紋梅瓶), 29.x8.6x3.5cm, 저장성박물관 66

〈그림53〉 명대용천요전가지모란매병(纏枝牡丹梅瓶), 35x18x14cm, 중국국가박물관(中國國家博物館) 66

〈그림54〉 청대용천요복련판문관병(龍泉窯覆蓮瓣紋管瓶), 28x9.7x3.9cm, 저장성박물관(浙江省博物館) 66

〈그림55〉 명선덕(明宣德), 덕화요백유조각수두배(貼塑樹頭杯), 9.5x8.9x4.2cm, 푸젠성박물관(福建省博物館) 74

〈그림56〉 명선덕(明宣德), 덕화요육각쌍이삼상족정식로(雙耳三象足鼎式爐), 16x15.5x12.7cm, 푸젠성박물관 74

〈그림57〉 명융경(明隆慶), 덕화요백유누공필통(鏤空筆筒), 19x11x11cm,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 74

〈그림58〉 명대 덕화요관음입상(德化窯觀音立像), 47x15cm, 푸젠성박물관 76

〈그림59〉 명대 덕화요송자관음상(德化窯送子觀音像), 46.5x17cm, 푸젠성박물관 76

〈그림60〉 명대덕화요관음입상(德化窯觀音立像), 56x27.5cm, 푸젠성박물관 77

〈그림61〉 청대 덕화요 네덜란드 가정소상(清德化窯荷蘭家庭塑像), 37.9x22cm, (개인 소장품) 77

〈그림62〉 청나라 덕화요 백유자첩화기용이노(白釉瓷貼花夔龍耳爐), 16.2x17x7.8cm, 광저우박물관 78

〈그림63〉 청나라 덕화요 백자유획화그릇(德化窯白瓷釉劃花碗), 16.9x7.1x7.5cm, 푸젠성박물관 78

〈그림64〉 청나라덕화요백유자첩화나무컵(德化窯白釉瓷貼花樹頭杯), 8.9x6.6x5.3cm, 광저우박물관 79

〈그림65〉 청나라건륭(乾隆)81덕화요백유자퇴소덮개그릇(德化窯白釉瓷堆塑蓋盅), 16.9x15.8x8cm, 푸젠성박물관 79

〈그림66〉 청나라건륭(乾隆) 덕화요백유자시와사(詩詞)컵, 8.7x5.9x3.3cm, 푸젠성박물관. 79

〈그림67〉 월항에서 출발하여 도자기를 수출하는 항로 82

〈그림68〉 홍록색자-명융경(明隆慶), 장주요홍록색자화초문반, 16x8.5x3.2cm, 광동성박물관 83

〈그림69〉 청화자-명대말년 말기장저우요청화인물문향로, 14x11.5x13.8cm, 광동성박물관 83

〈그림70〉 소삼채-청나라 소삼채동물 화초문그릇, 8.1x4.2x2.3cm, 고궁박물관(故宮博物院) 83

〈그림71〉 '남오 1호(南澳 I 号)' 실측도 85

〈그림72〉 명대청화단봉조양문(丹凤朝阳纹)그릇, 19.4x10.2x3.5cm, 광동성박물관 86

〈그림73〉 명대청화쌍용문 (青花双龙纹)그릇, 14.2x7x6cm, 광동성박물관 86

〈그림74〉 명대청화희상미초문(喜上眉梢纹)그릇, 12x5.7x5cm 광동성박물관 86

〈그림75〉 청강희(清康熙), 오채개광시녀영희도(五彩開光侍女嬰戲圖)매병, 32.2x11.9x5.7x5cm, 광동성박물관 92

〈그림76〉 청옹정(清雍正), 오분채가묵채산수문(粉彩加墨彩山水紋)컵과접시, 접시:25.5x12x3.9cm, 컵:11.5x8x8cm, 고궁박물관 92

〈그림77〉 청옹정, 분채귀비취주도(粉彩貴妃醉酒圖)컵, 19.5x10x10cm, 광동성박물관 92

〈그림78〉 1750-1775년, 범선문개함(帆船紋蓋盒), 26cmx26cmx14cm, 영국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93

〈그림79〉 1730-1740년, 세수용물주전자, 19.2cmx16cmx11cm, 영국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93

〈그림80〉 1750-1775년, 오리형국그릇, 29cmx33cm, 영국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93

〈그림81〉 청옹정광채산수풍경문접시(清雍正廣彩山水風景紋瓷盤), 6.4x8.7x5.5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82〉 청나라법랑꽃무늬접시(清琺琅彩花卉紋瓷盤), 21x15.5x2.6cm, 고궁박물관 94

〈그림83〉 청나라광채개광풍경도찻주전자(清廣彩開光風景圖茶壺), 19x14x7.8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84〉 청나라광채인물풍경도커피포트(人物風景圖咖啡壺), 22x16.5x9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85〉 명나라분채화훼채색장군항아리(粉彩花卉彩繪將軍罐), 39x21x12cm, 천진박물관 94

〈그림86〉 청나라광채박고문묘금대항아리(清廣彩博古紋描金大罐), 35x23x11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87〉 청강희청화산수문고족술잔(清康熙青花山水紋高足酒杯), 6.5x3.5x2cm, 경덕진박물관 94

〈그림88〉 청나라광채분채인물무늬맥주잔(清廣彩粉彩人物紋啤酒杯), 10.8x8.6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89〉 청도광분채버드나무풍경도컵(清道光粉彩柳樹風景圖茶杯), 4.2x6.5x2cm, 경덕진박물관 94

〈그림90〉 청나라옹정광채문장문소스컵(雍正廣彩紋章紋醬汁杯, 17.9x8x7.8cm, 광둥성박물관 94

〈그림91〉 청나라덕진요오색사개광화훼용문뚜껑함(五彩四開光花卉龍紋蓋盒), 6.4x8.7x5.5c... 94

〈그림92〉 청건륭오색산석풍경도자기뚜껑함(乾隆五彩山石風景瓷塑蓋盒), 4.2... 94

〈그림93〉 1522~1566년, 빨간 바탕에 금으로장식한청화전지 반련문(纏枝蕃蓮紋)... 95

〈그림94〉 1736-1760년, 두개의 그릇, 두개의물주전자와하나의 꽃병 조합 프랑스금도금청동 부품 상감 그릇과 물주전자,... 95

〈그림95〉 1680-1700년청화 주전자, 이란 황동 부품 상감남유금채(灑藍釉金彩)주전자, 이란 은제 부품... 95

〈그림96〉 명나라〈계국산금도축(桂菊山禽图轴)〉 97

〈그림97〉 명가정(明嘉靖) 화조(花鳥)문양 쟁반, 27x12.1x4.3cm, 상하이박물관 97

〈그림98〉 명대(明代) 장주요오색사슴반(漳州窯五彩鹿盤), 20x4x9cm, 저장성박물관 98

〈그림99〉 청대(清代) 사슴문청화반(青花雙鹿紋盤), 32.5x16.5x4.5cm 싱가포르국립박물관 98

〈그림100〉 청건륭(清乾隆) 0,22.3x12.4x3.6cm, 관복박물관 98

〈그림101〉 청건륭(清乾隆) 버드나무양식청화반(柳樹式樣青花盤), 37.5x23.5x5cm, 광동성 박물관 99

〈그림102〉 명대 청화 "산수세한삼우" 문양은구병(青花 「山水歲寒三友」 紋鑲銀口瓶), 18.2x12... 99

〈그림103〉 명대청화파도해수문궁그릇(青花波濤海獸紋宮碗), 20x6x5.8cm, 경덕진어요(御窯)박물관) 99

〈그림104〉 명대오색인물이야기 《서상기》 반 (五彩人物故事 《西廂記》), 25x11, 5x4.5cm, 광둥성박물관 100

〈그림105〉 청대분채인물이야기도판 (粉彩人物故事圖盤), 24.5x10x4cm, 광둥성박물관 100

〈그림106〉 청옹정(清雍正), 분채 "반동상련" 도판 (粉彩 "伴童賞蓮" 圖盤), 19.8x8.7x4cm, 상하이박물관 100

〈그림107〉 청강희(清康熙), 청화련지수금도반 (青花蓮池水禽圖盤), 24.5x10.5x4.2cm, 고베시립박물관 101

〈그림108〉 명나라 장주요오색도교내경도반 (漳州窯五彩道教內經圖盤), 25x11.2x4.5cm, 네덜란드프린시호프박물관 101

〈그림109〉 강희 (康熙) 청화빙매개광박고문항아리 (青花冰梅開光博古紋罐), 26.7x23.3x15cm, 광둥성박물관 101

〈그림110〉 청대오색이마리박고문쟁반(五彩伊萬里博古紋托盤), 24x9.8x4cm, 오사카 시립동양도자기미술관 103

〈그림111〉 청대이마리두루마리개광화화문화구반(伊萬里卷軸開光花卉紋花口盤), 19x6x3.8cm, 광동성박물관 103

〈그림112〉 청나라강희이마리박고화화도판(伊萬里博古花卉圖盤), 23.7x9.5x4.1cm, 광동성박물관 103

〈그림113〉 청대 청화식물문배지도자기접시(青花植物紋徽章瓷盤), 32.2x11.5x5cm, 영국박물관 104

〈그림114〉 명대, 튤립무늬 클라크 청화자접시(鬱金香花紋克拉克青花瓷盤), 24x9.6x4.2cm,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104

〈그림115〉 청대광채풍경인물기하문반(廣彩風景人物幾何紋盤), 21.5x8.7x5cm, 미국 보스턴 미술관 105

〈그림116〉 청옹정분채인물기하문접시(清雍正粉彩人物幾何紋盤), 25.8x11x4.1cm, 광둥성박물관 105

〈그림117〉 청대(약 1745년) 벌리장원도청화자반 (伯利莊園圖青花瓷盤), 29.2cmx8.7cmx4.2cm, 영국 박물관 106

〈그림118〉 청대 풍경건축광채자반(風景建築廣彩瓷盤), 55x45x5cm, 광둥성박물관(廣東省博物館) 106

〈그림119〉 청대(약 1745년) 묵채예수수난도대반(墨彩耶穌受難圖大盤), 25.5cmx11.2cmx4.5cm, 광저우박물관 107

〈그림120〉 청대 광채양부유정원도반 (廣彩洋婦遊庭院圖盤), 26cmx9cmx3.9cm, 광저우박물관 107

〈그림121〉 1710~1720, 잉글랜드 문장(紋章)접시, 36x14.5x5.3cm, 영국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박물관 108

〈그림122〉 청대 오색묘금전장도자반(五彩描金戰將圖瓷盤), 19.8x6.9x4cm, 동관전시관(東莞展覽館) 108

〈그림123〉 청대 옹정초기난징패턴, 15.9x6.2x2.8cm, 베트남 킴버 침몰선 110

〈그림124〉 청대 중기 난징패턴의자기접시, 29x12.5x4cm 네덜란드 침몰선 Geldemalsen 110

〈그림125〉 청대 후기 난징패턴, 27x10.5x5.3cm, 광동성박물관 110

〈그림126〉 청대청화녹문(鹿紋)접시, 청대옹정초기난징패턴, 29x10.5x4cm, 오사카 시립동양도자미술관 111

〈그림127〉 명만력크락자기송록동춘(松鹿同春)원형접시, 32x11.5x3.9cm, 만력호(1625년)침몰선에서발굴 111

〈그림128〉 명대 청화자 송록문(松鹿紋)접시, 16x6.2x2.9cm, 광동성박물관 111

〈그림129〉 명대 청화 산수 녹문 접시, 17.3x8x4.2cm, 포르투갈 산투스궁 111

〈그림130〉 명대 내수 청화 녹문(鹿紋)화구(花口)접시, 17x11.9x3cm, 청주시박물관 111

〈그림131〉 청대강희 (康熙) 청화자송록문(松鹿紋)접시, 22x8.7x3.8cm, 광동성박물관 111

〈그림132〉 궁궐 화가 초병정(焦秉貞)의작품 시녀도, 고궁박물관 112

〈그림133〉 청나라 강희청화시녀도화구(花口)접시, 17.2x6.5x3.4cm, 상해박물관 112

〈그림134〉 명나라 청화 파사 여인도크락자기접시, 32x15x5.5cm, 북미치원당(北美致遠堂) 112

〈그림135〉 명대 AK 남도접시, 28.7x11.5x3,6cm, 미국대도회박물관 115

〈그림136〉 명대 숭정(崇禎)시대의크락 자기접시, 중국 주제와네덜란드튤립 문양장식의결합, 34x12x5cm, 저장성박물관 115

〈그림137〉 1775년 청어 어업 시리즈 도자접시, 16.7x7.5x2.9cm, 미국대도회박물관 117

〈그림138〉 명대음주장면도자접시, 36x14.5x5.3cm, 미국대도회박물관 117

〈그림139〉 청대오채(五彩) 금란수(金襕手) 표주박 큰병, 38x14.3x12.5cm, 도쿄국립박물관 119

〈그림140〉 1734-1737년 '중국식 이마리' 우산을 든 여인 그림 접시, 24x11x4.5cm 경메트로폴리탄 미술관(大都會藝術博物館) 119

〈그림141〉 청나라 일본청화산수인물문수승(水丞), 22x14.5x6cm,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120

〈그림142〉 청나라 일본 이마리오채부인면도접시(伊萬里五彩婦人剃鬚盤), 17.1x8x4.3cm,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120

〈그림143〉 청나라일본가키에몬 양식채색자기접시, 18x9.1x3.4cm, 고대 도자 자료관 소장 120

〈그림144〉 일본 금란수(金襕手)(a)와 중국식 이마리 색채 비교(b) a: 32x12.5x3.9cm, 타이베이고궁박물 b:29.5x11x5cm, 고궁박물관 121

〈그림145〉 쥬로쿠 야에 오모테기쿠(十六八重表菊) 122

〈그림146〉 중국 이마리에서의 일본식 국화문 122

〈그림147〉 1715년 중국 이마리 국화문 접시, 35.4x12.5x4.3cm, 경피바디 에섹스 박물관 123

〈그림148〉 1700-1722년 중국 이마리 국화문, 29.5x11x4.2cm, 개인소정 12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 명·청(明淸)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명·청 시대를 배경으로 각 시대의 해외 무역 정책, 대표적 수출도자의 요지 (窯址)와 종류, 수출 도자의 기형과 장식 문양, 수출 도자가 세계 기타 국가의 도자 제조업에 끼친 영향 이라는 네측면을 중심으로 수출도자를 연구하였다.

제1장의 내용은 연구 배경과 연구 목표에 대한 분석이다. 중국 명·청 시대의 도자 수출은 대항해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세계 각 지역에 도자가 운송되었다. 연구목표는 주로 침몰선과 고고학 자료, 그리고 역사 문헌 조사를 통해 4가지 대표적인 수출 도자 요지(窯址)가 형성된 역사 배경, 제품 종류와 수출 지역을 분석하고 각 요지의 연관성과 차이점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4가지 수출 도자 요지의 기형과 장식 문양을 분류하고 정리하며 각 시기 수출 도자의 기형과 문양 스타일 변화를 살펴보고, 마지막에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중국 명청 시기 수출 도자와 세계 기타 도자 생산 지역의 관계와 상호 영향을 탐구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명나라와 청나라의 각종 해외 무역 정책을 소개하였다. 명나라는 크게 초기의 면세 정책, 중기의 금해(禁海) 정책, 말기의 개해 정책 등 3개 시대를 거쳤다. 청나라의 무역 정책은 초기 금해 정책에서 강희(康熙) 시대의 자유 무역 회복과 개방, 말기에 오직 광주(廣州)라는 하나의 통상 지역만을 개방하는 반봉쇄 해외 무역 정책을 실시하였다.

제3장은 명·청 시대 강서(江西) 경덕진(景德鎮)에서 생산된 청화자(青花瓷), 광동(廣東)에서 생산된 광채자(廣彩瓷), 절강(浙江) 용천(龍泉)에서 생산된 청자(青瓷)와 복건(福建) 독화(德化)에서 생산된 백자(白瓷) 등 4가지 대표적인 수출 도자 요지가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원인, 제품 종류, 수출국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생산 지역의 스타일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강서 경덕진에서 생산된 수출 청화자와 복건 장주(漳州)에서 생산된 수출 청화자 제품의 자태(瓷胎), 유약, 기형, 장식 문양의 장식 기법, 수출 지역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고, 이 두 생산 지역의 차이점과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 주로 중국 명·청 시대 수출 도자의 기형과 장식 문양을 분석하였다. 중국 전통 문양, 일본식 문양, 유럽식 문양과 복합 문양 4가지 장식 분류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수출 도자 장식 문양의 스타일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수출 도자의 주제 문양 장식에서 인물 문양의 시녀(侍女)와 동물 문양의 '사슴', 그리고 산수(山水) 문양의 난징 패턴(Nanking Pattern)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각 시대 수출 도자 문양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중국 수출 도자가 세계 도자업에 끼친 영향을 설명하였고, 유럽 네덜란드의 델프트(Delft) 남도(藍陶)와 일본의 이마리(Imari) 도자를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네덜란드 델프트(Delft) 남도는 경덕진의 청화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초기에 경덕진 청화자를 모방하였고, 이후 현지 기형과 장식 문양을 결합하여 차별화된 도자 스타일을 형성하였다. 일본의 이마리 스타일 도자는 최초 중국 유상(釉上) 채회(彩繪)를 기초로 일본 현지에서 유행하는 우키요에 스타일 회화와 결합하여 형성된 일본 이마리 스타일의 도자이다.

결론에서는 중국 명·청 시대 4대 요지의 수출 도자에 대해 제1장부터 제5장까지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명·청 시대의 해외 무역 정책, 4대 수출 도자 요지의 분구해석, 수출 도자의 장식 문양과 기형의 정리, 수출 도자가 세계 다른 국가의 도자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등 4가지 측면을 분석한 후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대 수출 도자기 생산 지역의 제품 종류, 스타일 특징, 장식 기법, 기형및 수출 지역은 큰 차이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광채자는 경덕진에서 생산된 우수한 자태 소지를 광주로 운송한 후 2차로 회화하여 형성한 것이다. 둘째, 장주에서 생산된 청화자는 경덕진 청화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경덕진에서 생산된 청화자 품질이 비교적 뛰어난 고급 도자에 속하고, 복건 장주(漳州)에서 생산된 청화자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거칠어 낮은 저급의 도자에 속한다. 셋째, 경덕진에서 생산된 청자는 용천 청자를 모방한 것이며, 또한 용천 청자의 품질이 경덕진 모조 용천 청자보다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