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요약
목차
I. 서론 10
II. 실험 방법 12
A. 시약 12
B. 세포배양 13
C. 세포 생존능(Cell Viability) 측정 13
D. 멜라닌 감소 측정 14
E.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의 발현 측정 14
F.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15
G. 통계처리 16
III. 결과 및 고찰 17
A. 2'-FL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능(Cell Viability) 측정 17
B. 2'-FL로 인한 멜라닌 정량 19
C. MNT-1 세포에서의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 21
D. 2'-FL 처리에 의한 자가포식 변화 관찰 23
IV. 결론 25
V. 참고문헌 26
Abstract 31
그림 1. 세포 생존능 측정 실험 18
그림 2. 멜라닌 정량 실험 20
그림 3. TYR과 TYRP1 발현 실험 22
그림 4. 자가포식소체 형성 실험 24
2'-fucosyllactose (2'-FL)는 사람의 모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올리고당 (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가진 2'-FL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및 자가포식 유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40 g/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세포에서 20 g/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40%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 TYR 및 TY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FL 처리는 이들을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형태가 LC3-Ι에서 LC3-Π로 변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2'-FL 처리에 따른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2'-FL로 활성화된 자가포식이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량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시사된다. 결론적으로 2'-FL은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기대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