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문제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부모되기 14

1. 역할수행으로서의 부모됨 14

2. 부모성찰 16

제2절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되기 17

제3절 유소년 운동선수의 특징 20

제4절 유소년 운동선수를 자녀로 둔 부모의 부모되기 21

제3장 연구방법 24

제1절 질적 사례연구 24

제2절 연구 참여자 25

제3절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26

1. 자료수집 27

2. 자료분석 28

제4절 연구의 타당성과 윤리적 고려 28

제4장 연구 결과 30

제1절 사례 내 분석 30

1. 참여자 1 30

2. 참여자 2 32

3. 참여자 3 34

제2절 사례 간 분석 35

1. 취업 길잡이 부모 36

2. 우리 가족은 하나 되어 '올인', 소외되는 형제 38

3. 또 하나의 가족, 멀고도 가까운 관계 40

4. 매니저와 엄마, 아빠 43

5. 매니저도 엄마, 아빠도 아닌 '나' 48

제5장 논의 및 결론 52

참고문헌 56

부록 63

부록 1. 연구 참여자 동의서 63

부록 2. 인터뷰 질문지 64

초록보기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Parent-Being' for parents with children who are active as athletes in the early adolescence. In early adolescence, parents as well as children are confused. This is because parents also enter the middle age from adolescence, and changes are required in parenting behavior that have been taken so far. Furthermore, having a youth athlete as a child requires more time and financial support than parents with children of similar ages. As a result, they have to watch their children choose and grow on their own, while at the same time playing a dual role of continuing to engage in their lives like manag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pproach youth athletes and their parents in a counseling psychological manner. In practice, they also need counsel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should help their children and parents separate health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