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5
제1장 서론 17
1.1. 연구의 필요성 17
1.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20
1.3. 용어 정의 21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2
2.1. 이론적 배경 22
2.1.1. 논문 생애주기와 노후화 22
2.1.2. Resisted discovery, Premature discovery, Delayed recognition 24
2.1.3. Sleeping beauty 27
2.1.4. Prince 35
2.1.5. 사례 연구 38
2.1.6. 네트워크 분석 39
2.2. 선행연구 43
2.2.1. Sleeping beauty 탐색 및 분석에 관한 연구 44
2.2.2. Prince 탐색 및 분석에 관한 연구 49
2.3. 선행연구 분석 52
제3장 연구 방법 55
3.1. 연구절차 55
3.2. 연구절차 상세 57
3.2.1. 데이터 수집 57
3.2.2. 데이터 전처리 59
3.2.3. Sleeping beauty 탐색 60
3.2.4. Prince 선정 61
3.2.5. Sleeping beauty 식별 및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62
3.2.6. Sleeping beauty 지식 확산 과정 분석 63
제4장 Sleeping beauty 식별 및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65
4.1.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연구 기술적 분석 65
4.1.1.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Beauty 계수 66
4.1.2.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기상 시간 68
4.1.3.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발행 연도 69
4.1.4.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전체 피인용 횟수 70
4.1.5.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한 해 최다 피인용 횟수 72
4.1.6.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발행 학술지 74
4.1.7.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주제 분야 75
4.1.8.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저자 수 77
4.1.9.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키워드 78
4.2.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78
4.2.1.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논문 선별 78
4.2.2.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및 유형 종류 81
4.2.3. 지식 확산 과정 유형 1 85
4.2.4. 지식 확산 과정 유형 2 87
4.2.5. 지식 확산 과정 유형 3 91
4.2.6. 지식 확산 과정 유형 4 93
4.2.7.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결과 97
제5장 Sleeping beauty 지식 확산 과정 분석 99
5.1. 지식 확산 과정 유형 1 분석 100
5.1.1. 연구 소개 101
5.1.2. 기상 전 104
5.1.3. 기상 후 108
5.1.4. Prince 111
5.2. 지식 확산 과정 유형 2 분석 114
5.2.1. 연구 소개 114
5.2.2. 기상 전 118
5.2.3. 기상 후 121
5.2.4. Prince 124
5.3. 지식 확산 과정 유형 3 분석 127
5.3.1. 연구 소개 127
5.3.2. 기상 전 130
5.3.3. 기상 후 133
5.3.4. Prince 136
5.4. 지식 확산 과정 유형 4 지식 확산 과정 분석 139
5.4.1. 연구 소개 139
5.4.2. 기상 전 143
5.4.3. 기상 후 146
5.4.4. Prince 149
5.5. Sleeping beauty 지식 확산 과정 분석 결과 요약 151
제6장 결론 154
참고문헌 161
부록 171
〈부록 1〉 Web of Science(WoS)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상세 171
〈부록 2〉 연구절차 상세 181
ABSTRACT 196
〈표 2-1〉 논문 A 연도별 피인용 횟수 및 피인용 분포 30
〈표 2-2〉 피인용 횟수 누적 분포가 50% 이상 논문 연도별 분포 및 누적 분포 30
〈표 2-3〉 Sleeping beauty 식별 기준 정리 35
〈표 2-4〉 Prince 선정 기준 정리 38
〈표 2-5〉 네트워크 기본 요소 40
〈표 2-6〉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 41
〈표 3-1〉 연구 수행 절차 55
〈표 3-2〉 WoS 데이터베이스 구성 테이블 58
〈표 3-3〉 데이터 전처리 과정 59
〈표 4-1〉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기술통계 66
〈표 4-2〉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Beauty 계수 이상치 논문 68
〈표 4-3〉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전체 피인용 횟수 기술통계 70
〈표 4-4〉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전체 피인용 횟수 이상치 논문 71
〈표 4-5〉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한 해 최다 피인용 횟수 기술통계 73
〈표 4-6〉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한 해 최다 피인용 횟수 이상치 논문 74
〈표 4-7〉 Beauty 계수 상위 100 개 논문 '문헌정보학' 외 WoS 주제 표목 분포 76
〈표 4-8〉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대상 논문 80
〈표 4-9〉 기상 전, 후 유형 통합에 따른 지식 확산 과정 유형 85
〈표 4-10〉 지식 확산 과정 유형 1 논문 86
〈표 4-11〉 지식 확산 과정 유형 2 논문 89
〈표 4-12〉 지식 확산 과정 유형 3 논문 92
〈표 4-13〉 지식 확산 과정 유형 4 논문 95
〈표 4-14〉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결과 97
〈표 5-1〉 지식 확산 과정 유형 별 사례 연구 대상 논문 99
〈표 5-2〉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07
〈표 5-3〉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11
〈표 5-4〉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21
〈표 5-5〉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24
〈표 5-6〉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33
〈표 5-7〉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36
〈표 5-8〉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45
〈표 5-9〉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후 1 차(좌), 2 차(우) 피인용 네트워크의 키워드 분포 148
〈그림 2-1〉 피인용 누적 분포에 따른 논문 범주 29
〈그림 2-2〉 Gs 지표 구간 별 Sleeping beauty 분포 32
〈그림 2-3〉 논문 Beauty 계수와 기상 시간 예시 34
〈그림 4-1〉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Beauty 계수 상자 그림 67
〈그림 4-2〉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기상 시간 분포 69
〈그림 4-3〉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발행 연도 분포 70
〈그림 4-4〉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전체 피인용 횟수 상자 그림 71
〈그림 4-5〉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한 해 최다 피인용 횟수 상자 그림 73
〈그림 4-6〉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발행 학술지 분포 75
〈그림 4-7〉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저자 수 빈도 분포 77
〈그림 4-8〉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 키워드 워드클라우드 78
〈그림 4-9〉 기상 전 지식 확산 과정 양상 유형화 예시 82
〈그림 4-10〉 기상 후 지식 확산 과정 양상 유형화 예시 84
〈그림 4-11〉 지식 확산 과정 유형 1 예시 86
〈그림 4-12〉 지식 확산 과정 유형 1 논문 연도별 피인용 기록 87
〈그림 4-13〉 지식 확산 과정 유형 2 예시 88
〈그림 4-14〉 지식 확산 과정 유형 2 논문 연도별 피인용 기록 91
〈그림 4-15〉 지식 확산 과정 유형 3 예시 92
〈그림 4-16〉 지식 확산 과정 유형 3 논문 연도별 피인용 기록 93
〈그림 4-17〉 지식 확산 과정 유형 4 예시 94
〈그림 4-18〉 지식 확산 과정 유형 4 논문 연도별 피인용 기록 96
〈그림 5-1〉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연도별 피인용 기록 103
〈그림 5-2〉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전 1 차, 2차 피인용 네트워크 105
〈그림 5-3〉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106
〈그림 5-4〉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후 1 차, 2차 피인용 네트워크 109
〈그림 5-5〉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110
〈그림 5-6〉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연도별 피인용 기록 및 공동 인용 기록 113
〈그림 5-7〉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연도별 피인용 기록 117
〈그림 5-8〉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18
〈그림 5-9〉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19
〈그림 5-10〉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22
〈그림 5-11〉 'Indexing by Latent Semantic Analysis'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23
〈그림 5-12〉 'Using Linear Algebra for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연도별 피인용 및 공동 인용 기록 126
〈그림 5-13〉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연도별 피인용 기록 129
〈그림 5-14〉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31
〈그림 5-15〉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32
〈그림 5-16〉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34
〈그림 5-17〉 'An algorithm for suffix stripping'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35
〈그림 5-18〉 'An evaluation of some conflation algorithms for information retrieval' 연도별 피인용 기록과 연도별 공동 인용 기록 138
〈그림 5-19〉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연도별 피인용 기록 142
〈그림 5-20〉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44
〈그림 5-21〉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44
〈그림 5-22〉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 147
〈그림 5-23〉 'On User Studies and Information Needs' 기상 후 1 차, 2 차 피인용 네트워크의 주제 분야 동시 출현 네트워크 148
〈그림 5-24〉 'Models in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연도별 피인용 기록과 연도별 공동 인용 기록 150
본 연구는 WoS(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인문사회과학 분야 중 하나인 문헌정보학 분야 Sleeping beauty 식별 및 분석을 통해 인문사회과학 분야 지식 확산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Sleeping beauty 후보군 선정을 위해 Beauty 계수를 활용하여 Beauty 계수 상위 100개 논문을 Sleeping beauty 후보군으로 선정하여 기술 통계 및 키워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절반 이상의 연구가 최소 22년의 수면 기간을 거쳤으며, 후보군 중 절반 이상의 발행 학술지가 소수의 학술지에 편중되었다. 또한, Sleeping beauty 후보군의 저자 수의 경우, 후보군 중 대다수가 두 명 이하인 소수의 저자에 의해 작성되었다. 둘째, 표면 타당성 검사를 통해 Sleeping beauty 후보군 중 Sleeping beauty를 식별하였으며,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를 통한 Sleeping beauty의 지식 확산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Sleeping beauty 중 절반 이상이 기상 전에도 조명을 받은 기록이 있었다. 절반 이상이 기상 후 한 해 최다 피인용 횟수에 도달한 뒤 지속적으로 피인용 횟수가 하락하였지만, 피인용 횟수가 반등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셋째, 지식 확산 과정 유형 별로 Sleeping beauty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Sleeping beauty의 지식 확산 과정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기상 전에 비해 기상 후 Sleeping beauty를 중심으로 형성된 피인용 네트워크가 급격히 거대해져 Sleeping beauty를 중심으로 하나의 거대한 지식 구조가 형성되었다. 주제 분야의 경우에도 기상 전에 비해 기상 후 다루는 연구 범위가 확장되었으나, 지식 확산이 진행 될수록 인용 논문의 연구 범위가 좁아진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넷째, 지식 확산 과정 유형 별 Sleeping beauty의 Prince를 파악하였으며, Prince의 연도별 피인용 기록 및 Sleeping beauty와의 공동 인용 비율을 살펴보았다. Sleeping beauty가 기상하는 것에 Prince의 기여도는 Sleeping beauty마다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도별 피인용 추이를 활용한 Sleeping beauty 지식 확산 과정 유형화, 기상 전과 후, 1차 인용, 2차 인용의 인용 단계로 나누어 비교 분석등의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Sleeping beauty 식별 및 지식 확산 과정 분석을 통해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진행한 자연과학 분야가 아닌 인문사회과학 분야 Sleeping beauty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