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Ⅰ. 서론 13

1.1. 연구 목적 13

1.2. 연구 범위와 방법 15

Ⅱ. 한국 팝의 형성과정 17

2.1. 스탠더드 팝의 형성과 발전 17

2.2. 스탠더드 팝의 쇠퇴 23

Ⅲ. 한국 발라드의 발전과정 30

3.1. 팝 발라드의 확립 30

3.2. 유재하의 음악적 위치 37

3.3. 유재하 이후의 발라드 43

Ⅳ. K-Pop 속의 발라드 54

4.1. 아이유의 음악적 위치 54

4.2. 발라드의 전망 68

Ⅴ. 유재하의 발라드 분석 72

5.1. 사랑하기 때문에 72

5.2. 그대 내 품에 76

Ⅵ. 아이유의 발라드 분석 81

6.1. 나만 몰랐던 이야기 81

6.2. Love poem 86

Ⅶ. 결론 91

참고문헌 94

ABSTRACT 99

표목차

〈표 1〉 1986년-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 수상작의 장르별 분류 44

〈표 2〉 1995년-2003년 골든디스크 본상 수상작의 장르별 분류 47

〈표 3〉 2006년-2011년 『음악산업백서』 의 선호하는 음악 세부 장르 51

〈표 4〉 2010년-2014년 『음악산업백서』 의 선호하는 음악 장르 52

〈표 5〉 2014년-2021년 '평론가가 선정한 K-Pop 최고의 앨범' 68

〈표 6〉 〈사랑하기 때문에〉의 구조 72

〈표 7〉 〈사랑하기 때문에〉의 화성 구조 73

〈표 8〉 〈그대 내 품에〉의 구조 76

〈표 9〉 〈그대 내 품에〉의 화성 구조 77

〈표 10〉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구조 81

〈표 11〉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화성 구조 82

〈표 12〉 〈Love poem〉의 구조 86

〈표 13〉 〈Love poem〉의 화성 구조 87

그림목차

〈그림 1〉 패티김의 앨범 『Patti Kim Hit Parade』 19

〈그림 2〉 패티김의 1집 앨범 『Patti Kim hit song highlight』 19

〈그림 3〉 패티김의 2집 앨범 『The Best Of Patti Kim Album Vol. 2』 20

〈그림 4〉 『GOLDEN FOLK ALBUM Vol. 6』 (좌)와 『GOLDEN FOLK ALBUM Vol. 5』 (우) 24

〈그림 5〉 『산울림 제1집』 (좌)과 『산울림 제2집』 (우) 27

〈그림 6〉 조용필의 7집 앨범 『조용필 7집』 32

〈그림 7〉 이문세의 3집 앨범 『난 아직 모르잖아요 / 휘파람』 (좌)와 4집 앨범 『이문세 4』 (우) 35

〈그림 8〉 유재하의 앨범 『사랑하기 때문에』 38

〈그림 9〉 유재하 헌정 앨범 『다시 돌아온 그대 위해』 (좌)와 『유재하 30년, 우리 이대로 영원히』 (우) 41

〈그림 10〉 서태지와 아이들 1집 앨범 『서태지와 아이들』 46

〈그림 11〉 컴필레이션 앨범 『이미연의 연가』 50

〈그림 12〉 아이유의 정규 1집 『Growing Up』 (좌)과 미니 2집 『IU...IM』 (우) 55

〈그림 13〉 아이유의 미니 3집 『REAL』 56

〈그림 14〉 아이유의 정규 2집 『Last Fantasy』 58

〈그림 15〉 아이유의 정규 3집 『Modern Times』 (좌)와 리패키지 앨범 『Modern Times-Epilogue』 (우) 60

〈그림 16〉 아이유의 미니 4집 『CHAT- SHIRE』 62

〈그림 17〉 아이유의 정규 4집 『Palette』 63

〈그림 18〉 아이유의 미니 5집 『Love poem』 (좌)와 정규 5집 『LILAC』 (우) 64

악보목차

〈악보 1〉 〈사랑하기 때문에〉의 프리-코러스, mm. 13-16의 베이스 진행 74

〈악보 2〉 〈사랑하기 때문에〉의 프리-코러스, mm. 13-20의 선율 74

〈악보 3〉 〈사랑하기 때문에〉의 코러스, mm. 21-24의 화성 진행 75

〈악보 4〉 〈사랑하기 때문에〉의 변형된 버스, mm. 29-32의 화성 진행 75

〈악보 5〉 〈사랑하기 때문에〉의 간주, mm. 33-40의 화성 진행 75

〈악보 6〉 〈그대 내 품에〉의 프리-코러스, mm. 18-21의 선율 78

〈악보 7〉 〈그대 내 품에〉의 프리-코러스, mm. 18-20의 베이스 진행 78

〈악보 8〉 〈그대 내 품에〉의 코러스, mm. 22-23 79

〈악보 9〉 〈그대 내 품에〉의 브릿지-코러스, mm. 33-36 79

〈악보 10〉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전주, mm. 1-3의 베이스 진행 83

〈악보 11〉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버스, mm. 10-12의 베이스 진행 83

〈악보 12〉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버스, mm. 14-16의 베이스 진행 83

〈악보 13〉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프리코러스-코러스, mm. 21-24의 베이스 진행 83

〈악보 14〉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코러스, mm. 28-29의 베이스 진행 84

〈악보 15〉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버스, mm. 10-13의 선율 84

〈악보 16〉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프리-코러스, mm. 20-23의 선율 84

〈악보 17〉 〈나만 몰랐던 이야기〉의 코러스, mm. 24-31의 선율 85

〈악보 18〉 〈Love poem〉의 버스, mm. 5-8의 선율 88

〈악보 19〉 〈Love poem〉의 프리-코러스, mm. 13-17의 선율 89

〈악보 20〉 〈Love poem〉의 코러스, mm. 18-26의 선율 89

초록보기

 본 논문은 한국 발라드의 발전과정을 살펴본 후 발라드가 나아갈 방향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발라드의 토대가 된 팝 음악이 한국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발전하였고 또 어떻게 대중가요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1960년대 전후에 팝이 유입된 후 1980년대 중반 발라드로 발전하는 과정까지를 확인하였고, 발라드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다른 음악 장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발라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유재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유재하는 당시 가요계에서 드물게 한양대학교에서 클래식 작곡을 전공한 음악인으로서 '저급한 음악'으로만 여겨졌던 대중음악을 클래식 음악의 기초와 대중음악의 감성을 점목하여 격상시켰다. 당시 일본의 엔카와 영미권 팝 아류에 머물던 대중음악을 서양 가곡의 화성진행과 보이싱을 도입해 적극 활용 했고, 본인의 감성을 담은 가사를 더해 자신만의 음악을 완성 시켜 이후 한국의 음악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에는 발라드의 전망과 가능성에 관해 연구하였는데, 현재 발라드를 대표하고 있는 아이유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아이유는 발라드 침체기에 등장하였으나 발라드에 여러 장르와 사운드를 결합하여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펼쳐나갔고 〈나만 몰랐던 이야기〉와 〈Love poem〉은 한국 특유의 서정성이 내포한 곡이자 유재하로 시작된 한국형 발라드의 맥을 잇는 곡으로, 이러한 점을 잘 적용한 예로 볼 수 있으며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이유가 되었다. 따라서 향후 발라드는 K-Pop과의 연계 및 지속적 경쟁을 통해 다양한 장르와 사운드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것은 발라드와 K-Pop 모두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아이유가 아이돌 댄스음악과의 경쟁을 통해 긴 생명력을 가졌던 것처럼 K-Pop 음악 전체가 더욱 발전하고 지속하는 계기가 된다. 그동안 다른 장르와 꾸준히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발전이나 쇠퇴를 거듭한 발라드가, 최근 전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K-Pop의 발전에 하나의 영역을 확보하는데 본 논문이 작은 역할을 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