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6

I. 서론 20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0

2. 연구 방법 21

3. 연구의 제한점 21

4. 선행연구 22

II. 본론 26

1. 라디오헤드 26

1.1. 라디오헤드의 생애 26

1.2. 라디오헤드의 작품 목록 32

1.3. 라디오헤드에 나타난 사상 39

1.4. 라디오헤드의 음악적 어법 43

2. 라디오헤드 8집 〈The King of Limbs〉 앨범개요 45

2.1. 앨범의 배경 45

2.2. Track List 49

3. 라디오헤드 8집 〈The King of Limbs〉의 어쿠스틱 분석 53

3.1. 구조 분석 53

3.2. 화성 분석 67

3.3. 리듬 분석 69

3.4. 선율 분석 71

3.5. 악기 편성 73

4. 라디오헤드 8집 〈The King of Limbs〉의 일렉트로닉 분석 76

4.1. 보컬에서의 일렉트로닉 76

4.2. 악기에 나타난 EDM 분석 83

5. 밴드와 EDM의 콜라보레이션 108

5.1. 일렉트로닉 음악 108

5.2.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117

5.3. 덥스텝 127

6. 라디오헤드 8집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152

6.1. 가사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152

6.2. 일렉트로닉의 포스트모더니즘 157

7. 라디오헤드의 가치 159

7.1. EDM과의 컨버전스 159

7.2. 포스트모더니즘의 새로운 구현 160

7.3. 환경적인 영향 162

7.4. 라디오헤드가 끼친 영향 174

III. 결론 189

1. 연구의 차별성 및 연구 결과 189

1.1. 연구의 차별성 189

1.2. 연구 결과 190

2. 한계점과 제언 195

참고문헌 197

ABSTRACT 213

표목차

〈표 1〉 밴드의 역사 28

〈표 2〉 라디오헤드 멤버 29

〈표 3〉 〈Bloom〉 음악 구조 53

〈표 4〉 〈Bloom〉 형식과 악기 구성 55

〈표 5〉 〈Morning Mr Magpie〉 음악 구조 56

〈표 6〉 〈Morning Mr Magpie〉 형식과 악기 구성 57

〈표 7〉 〈Little By Little〉 음악 구조 57

〈표 8〉 〈Little By Little〉 형식과 악기 구성 58

〈표 9〉 〈Feral〉 음악 구조 59

〈표 10〉 〈Feral〉 형식과 악기 구성 60

〈표 11〉 〈Lotus Flower〉 음악 구조 60

〈표 12〉 〈Lotus Flower〉 형식과 악기 구성 61

〈표 13〉 〈Codex〉 음악 구조 62

〈표 14〉 〈Codex〉 형식과 악기 구성 63

〈표 15〉 〈Give Up The Ghost〉 음악 구조 63

〈표 16〉 〈Give Up The Ghost〉 형식과 악기 구성 64

〈표 17〉 〈Separator〉 음악 구조 65

〈표 18〉 〈Separator〉 형식과 악기 구성 66

〈표 19〉 Overloud Th-u 3의 특징 97

〈표 20〉 Overloud Th-u 3의 이펙터 종류와 특징 98

〈표 21〉 이펙터 종류와 세팅 값 101

〈표 22〉 주파수 대역과 기타 사운드의 특징 104

〈표 23〉 일렉트로닉의 연대 별 장르 110

〈표 24〉 EDM의 역사와 흐름 120

〈표 25〉 EDM의 장르, 가수, 대표곡 126

〈표 26〉 덥스텝의 역사 128

〈표 27〉 국내 덥스텝 아티스트 132

〈표 28〉 국외 덥스텝 아티스트 133

〈표 29〉 〈Bloom〉 가사 152

〈표 30〉 〈Morning Mr Magpie〉 가사 153

〈표 31〉 〈Little by Little〉 가사 153

〈표 32〉 〈Lotus Flower〉 가사 154

〈표 33〉 〈Codex〉 가사 155

〈표 34〉 〈Give Up The Ghost〉 가사 155

〈표 35〉 〈Separator〉 가사 156

〈표 36〉 〈Bloom〉 가사 164

그림목차

〈그림 1〉 라디오헤드 26

〈그림 2〉 라디오헤드의 장르 변화 27

〈그림 3〉 8집 앨범 표지 45

〈그림 4〉 오크나무 46

〈그림 5〉 8집 앨범이 보도된 신문 48

〈그림 6〉 톰 요크의 춤 51

〈그림 7〉 Flugelhorn 연주 장면 66

〈그림 8〉 웨이브 폼 77

〈그림 9〉 리버브 설정 값 78

〈그림 10〉 Spectrogram 78

〈그림 11〉 웨이브 폼 80

〈그림 12〉 딜레이 값 81

〈그림 13〉 Spectrogram 81

〈그림 14〉 〈Codex〉 도입부 82

〈그림 15〉 리버스를 적용한 결과 82

〈그림 16〉 톰 요크 연주장면 83

〈그림 17〉 로직에서 루프를 적용한 예 84

〈그림 18〉 Spectrogram 84

〈그림 19〉 Spectrogram 86

〈그림 20〉 웨이브 폼 87

〈그림 21〉 ES2 Synth 88

〈그림 22〉 Bass Amp 88

〈그림 23〉 Scanner Vibrato 89

〈그림 24〉 Spectrogram 89

〈그림 25〉 웨이브 폼 91

〈그림 26〉 ES2 Synth 91

〈그림 27〉 Spectrogram 92

〈그림 28〉 〈Feral〉 곡에 페달 근접촬영 93

〈그림 29〉 1975 Fender Starcaster 94

〈그림 30〉 Fender 1976 Stratocaster 95

〈그림 31〉 구현한 장면 95

〈그림 32〉 Overloud사의 Th-u 3 96

〈그림 33〉 로직에서 일렉트릭 기타 녹음 99

〈그림 34〉 Overloud사의 Th-u 3 이펙터들 99

〈그림 35〉 SD1 overdrive와 Vox Amp 100

〈그림 36〉 GOP organizer와 Shimmer DLY 100

〈그림 37〉 FX 적용 전 웨이브 폼 102

〈그림 38〉 FX 적용 전 Spectrogram 102

〈그림 39〉 FX 적용 후 웨이브 폼 103

〈그림 40〉 FX 적용 후 Spectrogram 103

〈그림 41〉 Radiohead의 Austin City Limits 공연(2012.3.6) 105

〈그림 42〉 Jonny의 노트북 106

〈그림 43〉 Max/MSP 106

〈그림 44〉 새소리 107

〈그림 45〉 테입 레코더 107

〈그림 46〉 녹음 및 재생 107

〈그림 47〉 Robert Moog가 발명한 Moog 109

〈그림 48〉 Spectrogram 130

〈그림 49〉 카오스 패드 137

〈그림 50〉 웨이브 폼 139

〈그림 51〉 ES2 Synth 139

〈그림 52〉 Spectrogram 140

〈그림 53〉 Spectrum Analyzer 1 141

〈그림 54〉 Spectrum Analyzer 2 141

〈그림 55〉 Loudness Seismograph 142

〈그림 56〉 웨이브 폼 145

〈그림 57〉 ES2 Synth 145

〈그림 58〉 Channel EQ 146

〈그림 59〉 Spectrogram 146

〈그림 60〉 Spectrum Analyzer 147

〈그림 61〉 Loudness Seismograph 148

〈그림 62〉 EDM 컨버전스 159

〈그림 63〉 환경연구원 통계 162

〈그림 64〉 블루 플레닛 2 164

〈그림 65〉 〈Ocean Bloom〉 녹음현장 164

〈그림 66〉 테라 포르 마 공연 166

〈그림 67〉 수소 전기트럭 167

〈그림 68〉 라디오헤드의 북미콘서트 168

〈그림 69〉 환경보고서(2007) 169

〈그림 70〉 엡을 통한 공연홍보 170

〈그림 71〉 엡을 통한 공연 프로그램 171

〈그림 72〉 자연을 배경으로 한 포스터 171

〈그림 73〉 톰 요크와 피아노 듀오 콜라보 174

〈그림 74〉 조성진 175

〈그림 75〉 양인모 176

〈그림 76〉 알람 월 사운드 앙상블 176

〈그림 77〉 라비니아 마이어 177

〈그림 78〉 2CELLOS 178

〈그림 79〉 권민석 179

〈그림 80〉 신스 팝 듀오 혼네 179

〈그림 81〉 브래드 멜다우 180

〈그림 82〉 라디오헤드 디지털 전시 181

〈그림 83〉 라드오헤드가 참여한 영화 183

〈그림 84〉 〈ANIMA〉 무용장면 184

〈그림 85〉 글래스톤 베리 페스티벌 185

〈그림 86〉 8집 수상 통계 186

〈그림 87〉 대중음악에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29위 187

〈그림 88〉 어클레임드 뮤직 통계 187

〈그림 89〉 'Q' 메거진 통계 188

악보목차

〈악보 1〉 〈Bloom〉 코드 67

〈악보 2〉 〈Feral〉 코드 67

〈악보 3〉 〈Separator〉 코드 68

〈악보 4〉 〈Morning Mr Magpie〉 코드 68

〈악보 5〉 〈Little by Little〉 코드 69

〈악보 6〉 〈Morning Mr Magpie〉 드럼 타임키핑 69

〈악보 7〉 〈Little by Little〉 드럼 타임키핑 70

〈악보 8〉 〈Feral〉 드럼 타임키핑 70

〈악보 9〉 〈Lotus Flower〉 드럼 타임키핑 70

〈악보 10〉 〈Separator〉 드럼 타임키핑 70

〈악보 11〉 〈Bloom〉 지속음 71

〈악보 12〉 〈Give Up The Ghost〉 반복음 72

〈악보 13〉 〈Give Up The Ghost〉 대위법 72

〈악보 14〉 〈Morning Mr Magpie〉 메인 기타 73

〈악보 15〉 〈Morning Mr Magpie〉 세컨 기타 73

〈악보 16〉 〈Morning Mr Magpie〉 써드 기타 73

〈악보 17〉 〈Little by Little〉 메인 기타 74

〈악보 18〉 〈Little by Little〉 세컨 기타 74

〈악보 19〉 〈Little by Little〉 써드 기타 74

〈악보 20〉 〈Lotus Flower〉 기타 75

〈악보 21〉 〈Lotus Flower〉 베이스 기타 75

〈악보 22〉 〈Bloom〉의 'Open your mouth wide' 77

〈악보 23〉 〈Separator〉의 'Oh' 79

〈악보 24〉 〈Separator〉의 'Wake me up' 80

〈악보 25〉 〈Bloom〉 피아노 83

〈악보 26〉 〈Give Up The Ghost〉의 'Don't hurt me' 85

〈악보 27〉 〈Lotus Flower〉 신스 베이스 87

〈악보 28〉 〈Feral〉 신스 베이스 90

〈악보 29〉 〈Feral〉 일렉트릭 기타 96

〈악보 30〉 〈Give Up The Ghost〉의 'Don't hurt me' 107

〈악보 31〉 덥스텝 리듬 130

〈악보 32〉 〈Madness〉 드럼 타임키핑 138

〈악보 33〉 〈Madness〉 우블 베이스 138

〈악보 34〉 〈Paradise〉 드럼 타임키핑 144

〈악보 35〉 〈Paradise〉 우블 베이스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