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7
Ⅱ. 이론적 배경 18
1.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 18
1.1.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의 18
1.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현황 22
1.3.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특징 24
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 26
2.1. 문화 적응 26
2.2. 문화 적응 스트레스 34
2.3.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의 특징 39
Ⅲ. 연구 방법 43
1. 질적 메타분석 43
1.1. 질적 메타분석의 정의 43
1.2. 질적 메타분석의 절차 46
1.3. 국내 질적 메타분석 선행 연구 51
2. 연구 분석 절차 및 대상 59
2.1. 연구 분석 절차 59
2.2. 연구 분석 대상 수집 및 선정 과정 61
Ⅳ. 연구 결과 71
1.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 73
1.1. 이주 초기의 낯설음과 두려움 73
1.2. 이주 후 겪은 위기감 76
1.3. 문화 적응 스트레스의 핵심 주제 88
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 대처전략 90
2.1. 긍정적 적응 90
2.2. 부정적 적응 98
2.3. 문화 적응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핵심 주제 105
Ⅴ. 결론 및 논의 107
참고문헌 113
ABSTRACT 131
〈그림 1〉 베리(Berry, 1997) 이주민의 문화 적응 과정 재구성 28
〈그림 2〉 베리(Berry)의 문화적응 유형 재구성 30
〈그림 3〉 스트레스 대처 이론에 따른 문화 적응 과정 재구성 38
〈그림 4〉 연구 분석 대상 선정 과정 62
본 연구는 고려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이주민의 중도입국 청소년이 한국으로의 이주 후 문화충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대처 전략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 질적 메타분석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사회·문화 적응 관련 총 10편의 질적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개별 연구물은 노블릿(Noblit), 헤어(Hare)(1988)와 나장함(2008)이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의 연구 절차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주 초기와 이주 후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긍정적 및 부정적 대처 전략으로 27개의 기술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4개의 종합적 주제를 설정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8개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기술적 주제와 종합적 주제 도출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에 대한 종합적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은 이주를 결정하는 순간부터 국가 간 그리고 문화 간 경계 속의 삶 속에서 초기 낯설음은 두려움까지 들게 한다. 타국으로의 이주는 소속감을 얻지 못하고 학교 생활 또한 이방인이 되어 외로움을 느낀다.
둘째, 한국으로의 이주 후 민족 및 국가 정체성이 자기 정체성과 뒤섞여 혼란스럽고, 불안한 신분으로 인해 자신의 미래를 그리지 못하는 위기감을 경험한다.
셋째,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으로 특별한 나를 만들기 위한 진로를 찾거나 초국가적 미래를 계획한다. 또한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환경을 바꾸며 주변 지지체계를 스스로 형성하는 등 경계를 허물고 있었다.
넷째,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으로 사회적 구조의 한계에 무력감을 보이고, 가정과 학교에서 이방인의 삶인 회피하기 전략을 선택했다. 또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부모가 받은 멸시와 냉대를 동일시하여 화를 내거나 같은 출신국 동료에게 분노를 터뜨리는 모습도 보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주 초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족의 지지자원 확보를 위해서 상담 기능과 가족 관계 회복 프로그램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또래 및 다른 이와의 관계에서 소외나 관계 단절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므로 한국 학생들과의 또래 관계나 진로 진학을 위해 공교육적 측면의 실효성이 강화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중언어 능력 향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러시아어 구사 능력은 본국에서의 학업 지속과 언어 적응력을 높일 수 있고, 초국적 진로 선택에 대한 확장이 가능하다.
넷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과 그 가족을 위한 사회 정책적인 개입과 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하여 중도입국 청소년 기관의 접근성을 높이고, 1:1 다문화 멘토링 서비스를 통해 학교 교육과 심리적 안정을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온라인 진로 교육을 통해 고려인 밀집 지역 및 비밀집 지역의 청소년들이 진로 선택과 준비부터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과 그 부모의 체류 자격에 대한 안정적인 법규의 정착과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법률적 지원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경험과 극복 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모색해 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