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Ⅰ. 서론 17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7

2. 선행 연구 20

2.1. 국어학 형용사 관련 연구 20

2.2. 국어교육학 형용사 관련 연구 26

2.3. 한국어교육학 형용사 관련 연구 28

2.4. 대조언어학 형용사 관련 연구 33

3. 연구 내용 및 방법 39

Ⅱ. 이론적 배경 43

1. 형용사의 개념 및 특징 43

1.1. 한국어 형용사의 개념 및 특징 43

1.2. 중국어 형용사의 개념 및 특징 52

2. 형용사의 분류 58

2.1. 한국어 형용사의 분류 58

2.2. 중국어 형용사의 분류 73

2.3. 본고의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 79

Ⅲ.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의 분류 84

1.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목록 선정 84

1.1. 선정 자료 및 방법 84

1.2. 선정 과정 및 기준 91

1.3. 선정 결과 98

2.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에 따른 1차 분류 110

2.1. 분류 기준 및 방법 110

2.2. 분류 결과 118

3. 한·중 의미 대조에 따른 2차 분류 123

3.1. 대조 분석 방법 125

3.2. 한·중 의미 대조 분석 137

3.3. 대조 분석 결과 198

Ⅳ.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형용사 사용 양상 분석 213

1. 분석 기준 213

2. 분석 방법 및 절차 217

3. 분석 대상 및 내용 218

4. 분석 결과 223

4.1. 기본 정보 분석 결과 223

4.2. 형용사의 인식 조사 분석 결과 224

4.3. 형용사의 이해 및 사용 양상 분석 결과 228

5. 소결 269

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방안 281

1.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목표 및 내용 281

1.1.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목표 281

1.2.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내용 284

2. 한국어 형용사의 교수·학습 방법 및 모형 293

2.1. 한국어 형용사의 교수·학습 방법 293

2.2. 한국어 형용사의 교수·학습 모형 312

3. 한국어 형용사의 교수·학습 실제 326

3.1. 준비 관찰 단계 327

3.2. 제시 설명 단계 334

3.3. 연습 단계 340

3.4. 사용 단계 348

3.5. 마무리 단계 358

Ⅵ. 결론 360

참고문헌 364

부록 378

〈부록 1〉 예비 선정 형용사의 통합 자료 중 분포 양상 및 사용 빈도 378

〈부록 2〉 '재검토 목록3'의 점수 합산 결과 404

〈부록 3〉 기존 자료에 따른 교육용 형용사 등급 판정 결과 406

〈부록 4〉 '한자어 형용사 평정 원칙'에 따른 교육용 형용사 등급 판정 결과 426

〈부록 5〉 '고유어 형용사 평정 원칙'에 따른 교육용 형용사 등급 판정 결과 428

〈부록 6〉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형용사 사용 양상 설문지 429

ABSTRACT 437

표목차

〈표 1〉 기존의 한국어 형용사에 대한 정의 43

〈표 2〉 기존의 중국어 형용사에 대한 정의 53

〈표 3〉 형용사 분류에 관한 기존 연구 59

〈표 4〉 주시경(1910)의 형용사 분류 60

〈표 5〉 최현배(1937)의 형용사 분류 61

〈표 6〉 남기심·고영근(1993)의 형용사 분류 62

〈표 7〉 서정수(1996)의 형용사 분류 63

〈표 8〉 신순자(1996)의 형용사 분류 64

〈표 9〉 남지순(2010)의 형용사 분류 66

〈표 10〉 방영심(2011)의 형용사 분류 67

〈표 11〉 이민아(2020)의 형용사 분류 68

〈표 12〉 유현경(1998)의 형용사 분류 70

〈표 13〉 김정남(2005)의 형용사 분류 71

〈표 14〉 김건희(2011)의 형용사 분류 73

〈표 15〉 중국어의 형용사 분류 77

〈표 16〉 본고의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 83

〈표 17〉 형용사 선정 교재의 기본 정보 87

〈표 18〉 기초 형용사 수집 현황 99

〈표 19〉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 목록 102

〈표 20〉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 목록 107

〈표 21〉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에 따른 1차 분류 결과 118

〈표 22〉 한·중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 128

〈표 23〉 초급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분류 결과 138

〈표 24〉 중급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분류 결과 139

〈표 25〉 고급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분류 결과 141

〈표 26〉 '온화하다'와 '温和'의 사전적 의미 144

〈표 27〉 '비참하다'와 '悲慘'의 사전적 의미 146

〈표 28〉 '자연스럽다'와 '自然'의 사전적 의미 147

〈표 29〉 '특별하다'와 '特別'의 사전적 의미 150

〈표 30〉 '건조하다'와 '干燥'의 사전적 의미 152

〈표 31〉 '복잡하다'와 '复杂'의 사전적 의미 155

〈표 32〉 '통쾌하다'와 '痛快'의 사전적 의미 158

〈표 33〉 '급하다'와 '急'의 사전적 의미 160

〈표 34〉 '강하다'와 '强'의 사전적 의미 164

〈표 35〉 '엄하다'와 '严'의 사전적 의미 167

〈표 36〉 '억울하다'와 '抑郁'의 사전적 의미 169

〈표 37〉 '귀하다'와 '贵'의 사전적 의미 172

〈표 38〉 '짜다'와 '咸'의 사전적 의미 175

〈표 39〉 '낯익다'와 '面熟'의 사전적 의미 177

〈표 40〉 '노랗다'와 '黃'의 사전적 의미 179

〈표 41〉 '역겹다'와 '恶心'의 사전적 의미 181

〈표 42〉 '뾰족하다'와 '尖'의 사전적 의미 183

〈표 43〉 '싱싱하다'와 '新鲜'의 사전적 의미 186

〈표 44〉 '끝없다'와 '无限'의 사전적 의미 188

〈표 45〉 '뚱뚱하다'와 '胖'의 사전적 의미 190

〈표 46〉 '거북하다'의 사전적 의미 192

〈표 47〉 '서운하다'의 사전적 의미 193

〈표 48〉 '어설프다'의 사전적 의미 195

〈표 49〉 '엉뚱하다'의 사전적 의미 197

〈표 50〉 초급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199

〈표 51〉 중급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0

〈표 52〉 고급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1

〈표 53〉 감각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4

〈표 54〉 감정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5

〈표 55〉 평가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6

〈표 56〉 기타 형용사의 의미 대응 양상 207

〈표 57〉 학습자의 오류 원인 214

〈표 58〉 한국어 형용사 오류 분석 틀 216

〈표 59〉 설문조사 대상자의 기본 구성 219

〈표 60〉 설문지의 주요 주사 항목 구성 220

〈표 61〉 '한국어 형용사에 대한 이해 및 사용 양상 조사' 예비 문항 구성 221

〈표 62〉 '한국어 형용사에 대한 이해 및 사용 양상 조사' 최종 문항 구성 222

〈표 63〉 동형동의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29

〈표 64〉 동형동의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30

〈표 65〉 부분 동형이의-중국어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33

〈표 66〉 부분 동형이의-중국어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34

〈표 67〉 부분 동형이의-한국어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36

〈표 68〉 부분 동형이의-한국어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37

〈표 69〉 부분 동형이의-한·중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40

〈표 70〉 부분 동형이의-한·중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41

〈표 71〉 완전 동형이의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43

〈표 72〉 완전 동형이의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45

〈표 73〉 동형이의 유형의 오답률 247

〈표 74〉 부분 이형동의-중국어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48

〈표 75〉 부분 이형동의-중국어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50

〈표 76〉 부분 이형동의-한국어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52

〈표 77〉 부분 이형동의-한국어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53

〈표 78〉 부분 이형동의-한·중 의미 부재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56

〈표 79〉 부분 이형동의-한·중 의미 부재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57

〈표 80〉 완전 이형동의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60

〈표 81〉 완전 이형동의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61

〈표 82〉 이형동의 유형의 오답률 264

〈표 83〉 대응 불가 이해 문항의 응답 양상 265

〈표 84〉 대응 불가 사용 문항의 응답 양상 266

〈표 85〉 4가지 유형의 통합 오답률 273

〈표 86〉 10가지 세부 유형의 통합 오답률 276

〈표 87〉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에 의한 형용사의 교육 목표 및 내용 283

〈표 88〉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의 교육 내용 286

〈표 89〉 한·중 의미 대응 관계의 교육 내용 288

〈표 90〉 유형별 형용사의 교육 내용 289

〈표 91〉 등급별 형용사의 교육 내용 291

〈표 92〉 기존의 어휘 교수법 294

〈표 93〉 통합 교수법의 기법 297

〈표 94〉 '순진하다, 세밀하다, 소심하다'의 수업 목표 및 내용 328

〈표 95〉 '넉넉하다, 가렵다, 검다'의 수업 목표 및 내용 330

〈표 96〉 '기막히다, 안쓰럽다, 언짢다'의 수업 목표 및 내용 332

그림목차

[그림 1]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 목록 선정 과정 및 기준 97

[그림 2] 대조언어학 대응 방식 124

[그림 3] 본고의 한·중 형용사 대응 방식 125

[그림 4] 형태와 의미가 같은(동형동의) 경우 128

[그림 5]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부분적으로 다른(부분 동형이의) 경우 129

[그림 6]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완전 다른(완전 동형이의) 경우 130

[그림 7] 형태는 다르고 의미가 부분적으로 같은(부분 이형동의) 경우 131

[그림 8] 형태는 다르고 의미가 완전 같은(완전 이형동의) 경우 131

[그림 9] 한국어만 있는(대응 불가) 경우 132

[그림 10] 한국어 형용사의 중국어 대역 선정 절차 134

[그림 11]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대응 양상 202

[그림 12] 등급별 및 분류별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의 대응 양상 209

[그림 13] 설문조사 대상자의 등급별 구성 상황 223

[그림 14] 형용사의 학습 중요성 인식 상황 224

[그림 15] 형용사의 학습 난이도 인식 상황 226

[그림 16] 형용사의 학습 방법 사용 상황 227

[그림 17] 체계적인 형용사 교육의 필요성 인식 상황 228

[그림 18] 등급별 학습자 오답률 278

[그림 19] 관계없는 형용사 고르기 305

[그림 20] 알맞은 형용사를 골라서 문장 완성하기 306

[그림 21] 적절한 형용사 연결하기 307

[그림 22] 형용사 카드 만들기 308

[그림 23] 격자형 비교표 309

[그림 24] 기본 등급별 형용사 교수·학습 모형 316

[그림 25] 동형이의 형용사의 교수·학습 모형 317

[그림 26] 이형동의 형용사의 교수·학습 모형 320

[그림 27] 대응 불가 형용사의 교수·학습 모형 32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를 선정하고 중국어와 의미 대조 분석의 방법을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각 유형별 사용 및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는 선정된 전체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의미를 중심으로 대조 분석, 오류 분석의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자료로, 기존에 있는 문헌 자료, 한국어 통합 교재,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여러 한국어 사전, 『현대한어사전』을 비롯한 여러 중국어 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SJ-RIKS코퍼스', 북경대학교중국언어학연구중심의 'CCL' 말뭉치 등을 활용하였다.

한국어 형용사는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활용도가 높으나 의미를 파악하고 사용함에 있어 어려운 점이 존재하였으며, 중국어 형용사와의 차이점으로 인해 한국어 문법 중에서 어려운 부분이긴 하나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어 형용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부류별, 개별 형용사에 비해 전체 형용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점차 소홀해지는 경향이 드러났다. 특히 특정 언어권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전체에 대한 분류 문제, 교육용 형용사 선정, 교육 방안 제시 등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부족하다는 실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중국인 학습자에게 형용사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을 심어주면서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형용사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한·중 형용사의 개념, 특징, 분류에 대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에게 체계적인 형용사 교육을 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중에서 통일성이 높고 접근하기 쉬운 의미적 기준을 적용한 여러 학자의 형용사 분류 체계를 종합적으로 통합·정리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기본 형용사 분류 체계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용 형용사 선정', '기본 분류 체계에 따른 1차 분류', '대조 분석에 따른 2차 분류'의 세 가지 부분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를 분석하고, 교육 방안 제시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교육용 형용사 선정' 부분에서는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다섯 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절충적 방법을 통해 세 차례, 일곱 가지 기준, 여섯 단계를 걸쳐 실용성과 교육적 가치가 있는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를 선정하여 목록을 구축하였다. 이어서 '기본 분류 체계에 따른 1차 분류' 부분에서는 선정된 745개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를 기본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는 형용사의 기본의미에 따라 어느 의미 항목에 속하는지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여 큰 범주로 구분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대조 분석에 따른 2차 분류' 부분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에 비추어 형용사의 기본의미와 전이의미를 모두 고려하여 중국어와 의미 대응 관계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한·중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를 '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 대응 불가'의 4가지 큰 유형과 10가지 세부 유형으로 설정하였고, 객관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대조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중국어 대역 선정 절차를 마련하여 중국어 대역을 선정한 다음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분석 과정에서는 4종의 한·중 사전을 통해 형용사의 의미를 통합·정리하고, 서상규(2014)의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 빈도 사전』이나 한국어 SJ-RIKS 말뭉치, 중국어 CCL 말뭉치의 용례 검토를 통해 의미 항목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중국어와의 의미 대조를 실시하였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형용사를 2차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등급별, 1차 분류별로 정리한 대조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형용사 중 중국어와 의미적 차이점이 드러나는 유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동형동의, 동형이의 유형은 중급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대응 불가 유형은 고급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의어 비중이 높은 감각 형용사는 중국어와 그 차이가 쉽게 나타내고,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 형용사는 중국어와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등의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오류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3장의 대조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형용사의 각 유형의 실제 사용 및 오류 양상을 알아내기 위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형용사에 대한 이해와 그 사용에 대한 문항으로 나누어 오류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용사의 4가지 큰 유형 중에서는 '동형이의, 이형동의, 대응 불가' 유형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오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는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모두 존재하는 형용사에 대해 더 많은 혼란을 느끼고 오류를 범하였다. 셋째, 중급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이해 문항에 있어 오답률이 초급 학습자보다 현저히 감소하지는 않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중급에서 초급보다 많은 어휘량과 의미 항목을 접하게 되어 부담과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추정되어, 중급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오류 해결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응 불가 형용사의 사용 문항 오답률이 모든 등급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급 학습자라 하더라도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이지 못했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특정한 중국어로 대역하기 어렵고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대응 불가 형용사를 중점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다섯째, 중국인 학습자가 한자어뿐만 아니라 고유어 형용사를 사용할 때도 대역 중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형용사를 사용할 때 기본의미 위주로 사용하고, 의미 영역은 좁게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장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형용사의 교육 내용, 교육 모형, 교육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체계적인 형용사 교육을 이루기 위해 연구 초점에 맞추어 교육 내용을 정리한 다음 여러 어휘 교수법과 형용사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고, 기존에 있는 교수·학습 모형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등급별로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기본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오류 분석에서 높은 오답률을 보이는 동형이의, 이형동의, 대응 불가 유형에 각각 적용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반영하는 수업 절차의 예시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형용사 교육을 이루기 위해 한국어 교육용 형용사를 선정하고 기본 분류 체계, 한·중 대조에 따라 분류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사용과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형용사 교수·학습 모형과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주관적으로 중국어 대역을 정하고 사전적 의미대로 중국어와 대조한 것이 아니라 여러 대역 선정 절차를 걸쳐 말뭉치를 활용하고 실제 사용되는 의미 항목으로 중국어와 대조하였다는 점에서 타 연구에 비해 연구의 결과가 보다 객관적이고 유의미하다고 본다. 부족하지만 본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의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