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7
제3절 선행연구 고찰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미니멀리즘의 기원과 특징 21
제2절 미니멀음악의 기원과 특징 26
제3절 시대별 미니멀음악 30
제4절 미니멀리즘 양식 배경음악과 할리우드 배경음악 36
제5절 작곡가 소개 38
제3장 영화 〈디 아워스〉의 미니멀음악 활용 41
제1절 영화〈The Hours〉의 창작 배경 41
제2절 〈The Hours〉의 스토리 내용 44
제3절 미니멀음악의 활용 47
1. 〈The Poet Acts〉 48
2. 〈Morning Passages〉 57
3. 〈why does someone have to die?〉 64
제4장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의 미니멀음악 활용 80
제1절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의 창작 배경 80
제2절 〈The Theory of everything〉의 스토리 내용 82
제3절 미니멀음악의 활용 86
1. 〈Cambridge, 1963〉 87
2. 〈A Game of Croquet〉 97
3. 〈A Model of the Universe〉 115
제5장 결론 127
참고문헌 130
Abstract 135
論文摘要 138
〈표 1〉 초기 미니멀음악 양식 기법의 특징-1 28
〈표 2〉 중기 미니멀음악 양식 기법의 특징-2 28
〈표 3〉 미니멀음악 양식 기법의 특징-3 29
〈표 4〉 미니멀음악 양식 기법의 특징-4 30
〈표 5〉 시대별 미니멀음악 35
〈표 6〉 캐릭터 간 관계 46
〈표 7〉 영화 속 등장하는 음악 47
〈표 8〉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1 57
〈표 9〉 마이너 코드를 사용하여 표현한 인물 케릭터 이미지 58
〈표 10〉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2 64
〈표 11〉 죽음의 은유 66
〈표 12〉 〈Choosing life〉의 화음 진행 76
〈표 13〉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3 78
〈표 14〉 인물소개 및 인물 간 관계 84
〈표 15〉 영화 속 등장하는 음악 86
〈표 16〉 곡의 구성 89
〈표 17〉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4 96
〈표 18〉 〈A Game of Croquet〉곡의 형식 97
〈표 19〉 장면별 음악 여백 처리 106
〈표 20〉 제인 호킹과 스티븐 호킹의 대화 장면 113
〈표 21〉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5 115
〈표 22〉 〈A Model of the Universe〉 곡의 형식 116
〈표 23〉 미니멀리즘 배경음악의 기능-6 126
〈그림 1〉 미스 반 데어 로에 22
〈그림 2〉 미니멀 건축 23
〈그림 3〉 미니멀 회화 23
〈그림 4〉 테리 라일리의 작품 《In C》 25
〈그림 5〉 페이징의 예시 33
〈그림 6〉 Phlip Glass 39
〈그림 7〉 Johannjohannsson 40
〈그림 8〉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 40
〈그림 9〉 영화 《디 아워스》 42
〈그림 10〉 Virginia 역, 배우 Nicole Kidman 42
〈그림 11〉 Laura 역, 배우 Julianne Moore 43
〈그림 12〉 Clarissa 역, 배우 Maryl Streep 43
〈그림 13〉 Richard 역, 배우 Ed Harris 44
〈그림 14〉 강물에 들어가 자살을 시도하는 비지니아 48
〈그림 15〉 버지니아가 숲 속으로 뛰어드는 모습 52
〈그림 16〉 도미넌트 코드를 사용하여 버지니아의 불안감을 표현함 59
〈그림 17〉 음악적 몽타주 편집 기법 60
〈그림 18〉 유아기의 리차드 64
〈그림 19〉 로라와 남편의 대화 장면 71
〈그림 20〉 버지니아와 남편의 대화 장면 71
〈그림 21〉 Stephen Hawking 역, 배우 Eddie Redmayne 81
〈그림 22〉 Jane Hawking 역, 배우 Felicity Jones 81
〈그림 23〉 Jonathan Jones 역, 배우 Charlie Thomas Cox 81
〈그림 24〉 스티븐 호킹이 친구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캠브리지 대학을 누비는 장면 87
〈그림 25〉 회전하는 휠체어 바퀴와 자전거 바퀴 91
〈그림 26〉 스티븐 호킹이 크로케를 하는 장면 101
〈그림 27〉 〈A Game of Croquet〉 제인이 계단을 오르는 장면 102
〈그림 28〉 호킹 친구와 제인이 대화하는 장면 103
〈그림 29〉 제인 호킹이 다리 위에서 혼자 흐느끼는 장면 112
〈그림 30〉 스티븐 호킹이 멀리서 조너선과 제인을 바라보는 장면 114
〈그림 31〉 제인 호킹과 스티븐 호킹의 키스장면 123
〈그림 32〉 제인 호킹과 스티븐 호킹이 헤어지는 장면 124
〈악보 1〉 《Twopages, 1968》 32
〈악보 2〉 《작곡1960 7번》 32
〈악보 3〉 'The Poet Acts'의 화음 진행 (마디1-16) 49
〈악보 4〉 베이스 선율 진행방식 (마디1-16) 51
〈악보 5〉 긴장과 추진을 암시하는 분위기 53
〈악보 6〉 반복적인 음악적 소재 활용 54
〈악보 7〉 음악의 하행과 호수로 들어가는 손 부분 클로즈업 장면 56
〈악보 8〉 코드 진행 59
〈악보 9〉 Morning Passages 음악몽타주 선율(마디111-144) 62
〈악보 10〉 A부분 6연음 (마디1-4) 67
〈악보 11〉 B부분 선율 (마디21-24) 67
〈악보 12〉 〈why does someone have to die?〉(마디1-20) 68
〈악보 13〉 6번 반복되는 선율 (마디21-32) 70
〈악보 14〉 "Why does someone have die"의 크로매틱 진행 (마디44-47) 73
〈악보 15〉 불협화음의 사용 (마디40-44) 74
〈악보 16〉 로라의 내적 갈등을 표현한 단9도 화성 (마디97-99) 74
〈악보 17〉 로라의 내적 갈등을 표현하는 단2도 화성 (마디1-8) 75
〈악보 18〉 클라리사에 대한 음악 이미지 연출-1 77
〈악보 19〉 클라리사에 대한 음악 이미지 연출-2 77
〈악보 20〉 〈China Gate〉, 〈Cambridge, 1963〉의 음악 동기 88
〈악보 21〉 제1악구 (마디1-6) 90
〈악보 22〉 반복을 사용한 기법 92
〈악보 23〉 부가적 과정 기법 (마디10-24) 94
〈악보 24〉 싱코페이션 및 음높이 상행 (마디13-24) 95
〈악보 25〉 "A Game of Croquet" 제1악구 (마디1-6) 99
〈악보 26〉 제3악구 현악 테마 선율 (마디17-48) 99
〈악보 27〉 발전부 피아노 선율 부분 100
〈악보 28〉 테마 동기 102
〈악보 29〉 스티븐 호킹의 친구와 제인이 대화 장면 (마디56-59) 104
〈악보 30〉 제인 호킹과 스티븐 호킹의 대화 음악 여백 107
〈악보 31〉 스티븐 호킹이 크로케를 할 때 나오는 음악 (마디60-108) 108
〈악보 32〉 화음진행 (마디1-11) 118
〈악보 33〉 주제 동기 (마디1-6) 119
〈악보 34〉 주제 동기의 반복 120
〈악보 35〉 현악 부분의 선율 125
본 논문은 영화 속 미니멀음악 응용에 관한 연구로, 영화에 응용된 미니멀음악 요소를 분석하였다. 최근 몇 년 간 미니멀리즘이 점차 대중에게 알려지면서 현재 미니멀리즘은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선호되고 있다. 이미 많은 이들이 미니멀리즘을 추구하고 있으며 미니멀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에 따가 미니멀음악은 미니멀리즘에서 파생된 산물로, 오늘날 영화, 광고, 드라마, 연극, 무대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니멀리즘에 대한 대중들의 수용도가 점점 더 높아지면서 미니멀음악은 전위예술의 영역에서 점차 대중화된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미니멀리즘 요소와 영화의 결합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미 하나의 주류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관련한 학술적 문헌이나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의 경우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가 더욱 힘들다. 과거 학자들은 영화 배경음악과 관련하여 주로 할리우드의 전통적인 고전음악을 언급하였는바, 기존 관련 연구를 살펴본 결과, 영화 배경음악 작품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미니멀음악의 영화 배경음악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본 논문은 미니멀음악이 어떠한 유형의 영화 배경음악으로서 적합한지, 일반적인 배경음악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미니멀리즘에 대한 개인적인 추구에 기인하여 미니멀음악 양식과 영화가 접목된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미니멀리즘이 영화 배경음악으로서 지니는 의의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음악 분석을 토대로 미니멀리즘 기법을 결합하여 영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사례로 선정한 작품은 대표적인 미니멀음악 작곡가인 필립 글래스의 작품인 영화 <The hours>의 영화음악과 요한 요한손의 작품인 영화 <The theory of everything>의 배경음악이다.
<The hours>는 미니멀음악 요소를 영화 작품과 결합하여 제75회 아카데미 음악상 후보에 오를 정도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러한 음악적 성과는 미니멀음악의 영화에서의 응용 관련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theory of everything>도 작곡가 요한 요한손이 배경음악 창작 시 미니멀음악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제72회 골든 글로브 음악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요한 요한손의 음악 작품은 필립 글래스의 미니멀리즘 음악 양식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는 단순히 기법상의 차이라기보다는 음악의 서사성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음악 분석 결과, 요한 요한손의 작품은 미니멀리즘 작곡가의 작곡 경향을 모방하고 미니멀음악의 특징과 고전 작곡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두 영화 작품의 시기는 다르지만, 두 작품 모두 미니멀음악 요소가 영화 배경음악에서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명백히 하고 있다. 미니멀리즘 기법은 기존 할리우드의 전통적인 작곡 구조를 탈피하였으며 미니멀리즘 음악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니멀음악은 과거 소수의 영역이자 양극화 논란의 대상에서 이제는 대중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영화의 배경음악으로서도 일정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미니멀음악의 우수성을 방증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미니멀음악의 방향성과 창작방식 또한 다양화 및 국제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영화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니멀음악이 영화 배경음악에서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을 모색하였으며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향후 관련 분야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가치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