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4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30

II. 오페라 「마술피리」의 악보 비교 및 분석 32

0. 서곡 42

1. 서론(타미노, 세 시녀) 82

2. 아리아(파파게노) 101

3. 아리아(타미노) 110

4. 레치타티보, 아리아(밤의 여왕) 116

5. 5중창(타미노, 파파게노, 세 시녀) 123

6. 3중창(파미나, 모노스타토스, 파파게노) 146

7. 2중창(파미나, 파파게노) 154

8. 피날레 166

9. 행진곡 213

10. 아리아, 합창(자라스트로, 합창단) 219

11. 2중창(제1승려, 제2승려) 230

12. 5중창(타미노, 파파게노, 세 시녀) 236

13. 아리아(모노스타토스) 246

14. 아리아(밤의 여왕) 253

15. 아리아(자라스트로) 260

16. 3중창(세 소년) 267

17. 아리아(파미나) 271

18. 합창(승려들) 274

19. 3중창(파미나, 타미노, 자라스트로) 277

20. 아리아(파파게노) 281

21. 피날레 287

III. 결론 349

1. 악보 비교 및 분석 349

참고 문헌 353

Abstract 357

표목차

〈표 1〉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서곡 비교 42

〈표 2〉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번곡 비교 82

〈표 3〉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2번곡 비교 101

〈표 4〉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3번곡 비교 110

〈표 5〉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4번곡 비교 116

〈표 6〉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5번곡 비교 123

〈표 7〉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6번곡 비교 146

〈표 8〉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7번곡 비교 154

〈표 9〉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8번곡 비교 166

〈표 10〉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9번곡 비교 213

〈표 11〉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0번곡 비교 219

〈표 12〉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1번곡 비교 230

〈표 13〉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2번곡 비교 236

〈표 14〉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3번곡 비교 246

〈표 15〉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4번곡 비교 253

〈표 16〉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5번곡 비교 260

〈표 17〉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6번곡 비교 267

〈표 18〉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7번곡 비교 271

〈표 19〉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8번곡 비교 274

〈표 20〉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19번곡 비교 277

〈표 21〉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20번곡 비교 281

〈표 22〉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페터스 판의 21번곡 비교 287

악보목차

〈악보 1-1〉 자필보의 점과 쐐기(no. 0, m. 78: 점, m. 79: 쐐기) 19

〈악보 1-2〉 페터스 판의 점(no. 0, mm. 78-79: 점) 20

〈악보 1-3〉 베렌라이터 판의 점과 쐐기(no. 0, m. 78: 점, m. 79: 쐐기) 20

〈악보 2-1〉 자필보의 다이내믹(no. 0, m. 1: sf, fermata, forte, m. 4: p, m. 5: sf, sfp) 22

〈악보 2-2〉 페터스 판의 다이내믹(no. 0, m. 1: ff, fermata, 4: p, m. 5: sf, sfp) 23

〈악보 2-3〉 베렌라이터 판의 다이내믹(no. 0, m. 1: sf, fermata, 4: p, m. 5: sf, sfp, p) 24

〈악보 3-1〉 자필보의 긴 앞꾸밈음(no. 3, m. 11) 25

〈악보 3-2〉 페터스 판의 짧은 앞꾸밈음(no. 3, m. 11) 25

〈악보 3-3〉 베렌라이터 판의 긴 앞꾸밈음(no. 3, m. 11) 26

〈악보 4-1〉 자필보의 성악 꾸밈음의 생략(no. 8, mm. 40-41) 26

〈악보 4-2〉 페터스 판의 성악 꾸밈음의 생략(no. 8, mm. 40-41) 27

〈악보 4-3〉 베렌라이터 판의 성악 꾸밈음의 권장(no. 8, mm. 40-41) 27

〈악보 5-1〉 자필보의 악기 배치 (no. 0) 33

〈악보 5-2〉 페터스 판의 악기 배치(no. 0번) 34

〈악보 5-3〉 베렌라이터 판의 악기 배치 (no. 0) 35

〈악보 6-1〉 자필보의 clarini(no. 0) 36

〈악보 6-2〉 페터스 판의 trombe(no. 0) 36

〈악보 6-3〉 베렌라이터 판의 clarino(no. 0) 36

〈악보 7-1〉 자필보의 팀파니의 기보(no. 0, mm. 1-3) 37

〈악보 7-2〉 페터스 판의 팀파니의 기보(no. 0번, mm. 1-3) 37

〈악보 7-3〉 베렌라이터 판의 팀파니의 기보(no. 0, mm. 1-3) 38

〈악보 8-1〉 자필보의 trombone alto, tenor, basso의 부재(no. 0) 63

〈악보 8-2〉 페터스 판의 trombone alto, tenor, basso(no. 0) 64

〈악보 8-3〉 베렌라이터 판의 trombone alto, tenor, basso(no. 0) 65

〈악보 9-1〉 자필보의 Fag. 1, 2의 기보(no. 0, mm. 27-31, 32-36) 67

〈악보 9-2〉 페터스 판의 Fag. 1, 2의 기보(no. 0, mm. 27-31, 32-36) 68

〈악보 9-3〉 베렌라이터 판의 Fag. 1,2의 기보(no. 0, mm. 27-36) 69

〈악보 10-1〉 자필보의 Vn. 2의 붙임줄, 이음줄(no. 0, mm. 4-7) 70

〈악보 10-2〉 페터스 판의 Vn. 2의 붙임줄, 이음줄(no. 0, mm. 4-7) 70

〈악보 10-3〉 베렌라이터 판의 Vn. 2의 붙임줄, 이음줄, 점선 붙임줄, 점선 이음줄 (no. 0, mm. 4-7) 71

〈악보 11-1〉 자필보의 Vn. 1의 점과 쐐기 (no. 0, mm. 58-59) 71

〈악보 11-2〉 페터스 판의 Vn. 1의 점(no. 0, mm. 58-59) 72

〈악보 11-3〉 베렌라이터 판의 Vn. 1의 점과 쐐기 (no. 0, mm. 58-59) 72

〈악보 12〉 자필보의 Va.의 동일화 기호 및 사선(no. 0, mm. 1-3) 73

〈악보 13〉 자필보의 기보 생략 및 동일화 기호(no. 0, mm. 68-70) 74

〈악보 14-1〉 자필보의 아티큘레이션의 동형진행 간주(no. 0, mm. 35-38) 75

〈악보 14-2〉 페터스 판의 스타카토(점)(no. 0, mm. 35-38) 75

〈악보 14-3〉 베렌라이터 판의 동형진행의 simile(no. 0, mm. 35-38) 76

〈악보 15-1〉 자필보의 sf(no. 0, mm. 1-3) 77

〈악보 15-2〉 페터스 판의 ff(no. 0, mm. 1-3) 78

〈악보 15-3〉 베렌라이터 판의 sf(no. 0, mm. 1-3) 79

〈악보 16-1〉 자필보의 타미노의 테너표(no. 1) 97

〈악보 16-2〉 페터스 판의 타미노의 높은음자리표(no. 1) 97

〈악보 16-3〉 베렌라이터 판의 타미노의 높은음자리표(no. 1) 97

〈악보 17-1〉 자필보의 Fag. 1, 2의 테너표와 낮은음자리표(no. 1, m. 1: 테너표, m. 14: 낮은음자리표) 98

〈악보 17-2〉 페터스 판의 Fag. 1, 2의 낮은음자리표(no. 1, m. 1) 98

〈악보 17-3〉 베렌라이터 판의 Fag. 1, 2의 테너표와 낮은음자리표(no. 1, m. 1: 테너표, m. 14: 낮은음자리표) 99

〈악보 18-1〉 자필보의 파파게노 아리아의 가사 1-2절(no. 2, mm. 27, 37) 107

〈악보 18-2〉 페터스 판의 파파게노 아리아의 가사 1-3절(no. 2, m. 27) 107

〈악보 18-3〉 베렌라이터 판의 파파게노 아리아의 가사 1-3절(no. 2, m. 27) 108

〈악보 19-1〉 자필보의 타미노의 테너표(no. 3) 114

〈악보 19-2〉 페터스 판의 타미노의 높은음자리표(no. 3) 114

〈악보 19-3〉 베렌라이터 판의 타미노의 높은음자리표(no. 3) 114

〈악보 20-1〉 자필보의 지문(no. 5, mm. 1-3) 141

〈악보 20-2〉 페터스 판의 지문(no. 5, mm. 1-3) 142

〈악보 20-3〉 베렌라이터 판의 지문(no. 5, mm. 1-3) 142

〈악보 21-1〉 자필보의 alla breve(no. 5, m. 214) 143

〈악보 21-2〉 페터스 판의 4/4박자(no. 5, m. 214) 143

〈악보 21-3〉 베렌라이터 판의 alla breve(no. 5, m. 214) 144

〈악보 22-1〉 자필보의 관악기의 부재(no. 7, mm. 1-2) 161

〈악보 22-2〉 페터스 판의 관악기(no. 7, mm. 1-2) 161

〈악보 22-3〉 베렌라이터 판의 관악기(no. 7, mm. 1-2) 162

〈악보 23-1〉 자필보의 마디의 구분(no. 7. mm. 8, 10, 39) 163

〈악보 23-2〉 Breidenstein이 주장한 3/8+3/8박자의 복합박자(no. 7. mm. 8, 10, 39) 164

〈악보 24〉 자필보의 마디의 삭제 및 추가 (no. 7, mm. 49-50) 165

〈악보 25-1〉 자필보의 음표(no. 8, m. 107) 201

〈악보 25-2〉 페터스 판의 음표(no. 8, m. 107) 201

〈악보 25-3〉 베렌라이터 판의 음표(no. 8, m. 107) 202

〈악보 26-1〉 자필보의 음표와 쉼표(no. 8, m. 125) 202

〈악보 26-2〉 페터스 판의 음표와 쉼표(no. 8, m. 125) 203

〈악보 26-3〉 베렌라이터 판의 음표와 쉼표(no. 8, m. 125) 203

〈악보 27-1〉 자필보의 음표와 쉼표(no. 8, m. 243) 204

〈악보 27-2〉 페터스 판의 음표와 쉼표(no. 8, m. 243) 204

〈악보 27-3〉 베렌라이터 판의 음표와 쉼표(no. 8, m. 243) 204

〈악보 28-1〉 자필보의 빠르기말(no. 8, m. 137) 205

〈악보 28-2〉 페터스 판의 빠르기말(no. 8, m. 137) 205

〈악보 28-3〉 베렌라이터 판의 빠르기말(no. 8, m. 137) 206

〈악보 29-1〉 자필보의 점선 기호(no. 8, mm. 574-575, 579-580) 207

〈악보 29-2〉 페터스 판의 기보(no. 8, mm. 574-575, 579-580) 209

〈악보 29-3〉 베렌라이터 판의 일반적 기보(no. 8, mm. 574-575, 579-580) 210

〈악보 30-1〉 자필보의 관악기 악보의 부재(no. 9, m. 28) 215

〈악보 30-2〉 페터스 판의 관악기 악보(no. 9, mm. 29-34) 216

〈악보 30-3〉 베렌라이터 판의 관악기 악보(no. 9, mm. 29-34) 217

〈악보 31-1〉 자필보의 Vn. 1, 2의 부재 (no. 10) 224

〈악보 31-2〉 페터스 판의 Vn. 1, 2의 부재(no. 10) 224

〈악보 31-3〉 베렌라이터 판의 Vn. 1, 2의 부재(no. 10) 225

〈악보 32-1〉 자필보의 Va. l,2(no 10) 226

〈악보 32-2〉 페터스 판의 Va. 1, 2의 기보(no. 10) 227

〈악보 32-3〉 베렌라이터 판의 Va. 1,2의 기보(no. 10, mm. 1-4) 228

〈악보 33-1〉 자필보의 fermata(no. 13, m. 49) 249

〈악보 33-2〉 페터스 판의 fermata의 부재(no. 13, m. 49) 250

〈악보 33-3〉 베렌라이터 판의 fermata(no. 13, m. 49) 251

〈악보 34-1〉 자필보의 빠르기말 변경(no. 15, m. 1) 263

〈악보 34-2〉 페터스 판의 빠르기말(no. 15, m. 1) 264

〈악보 34-3〉 베렌라이터 판의 빠르기말(no. 15, m. 1) 265

〈악보 35-1〉 자필보의 반복 지시 (no. 21, m. 378) 344

〈악보 35-2〉 페터스 판의 기보(no. 21, m. 378) 345

〈악보 35-3〉 베렌라이터 판의 기보(no. 21, m. 378) 346

초록보기

모차르트의 작품들은 수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성악 및 솔로 악기 작품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오케스트라 총보 판의 원작 구현을 위한 비교 및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오페라 「마술피리(Die Zauberflöte, 1791)」는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오페라 중 하나이지만, 지휘자 또는 연주자에 따라 다양한 템포 및 박자, 아티큘레이션, 다이내믹, 꾸밈음 등으로 연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모차르트 「마술피리」의 원작 구현을 위하여, 자필보(Manuscript, 1791)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연구한 다음, 그 결과를 페터스(C. F. Peters, ca. 1875)와 베렌라이터(Bärenreiter, 1970) 판과 각각 비교 및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국내외의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휘자들의 「마술피리」CD를 듣고, 그중 페터스와 베렌라이터 판과 유사하게 연주하는 지휘자를 찾아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비교 및 분석 결과, 자필보와 베렌라이터 판은 비교적 비슷하지만, 페터스 판은 음정(pitch), 음표(musical note), 쉼표(musical rest), 박자(meter), 빠르기(tempo), 아티큘레이션(musical articulation), 다이내믹(dynamic), 꾸밈음(musical ornament), 오케스트라에 기보된 악기(musical instrument)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베렌라이터 판에서 「마술피리」의 원작 구현이 실행되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지휘자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Nikolaus Harnoncourt, 1929-2016)는 베렌라이터 판과 유사하게 「마술피리」를 해석하였고,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1908-1989)은 페터스 판과 유사함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자필보를 페터스와 베렌라이터 판과 비교하여, 원작 구현을 한 판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 음악가에게 정격성 있는 판을 구별하고 곡을 연주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