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Abstract 12

I. 서론 15

II. 방법 18

1. 연구 대상 18

가. 포함 기준 18

나. 제외 기준 19

2. 뇌파 검사 프로토콜 20

2-1. 자극 도구 23

2-2. 뇌파 측정 도구 25

3. 후향적 분석 26

3-1. 분석 항목 26

3-2. 뇌파 데이터 처리 과정 28

3-3. 통계적 분석 37

III. 결과 38

1. 연구 대상 분석 38

2. 연구 결과 39

2-1. 침 자극 전·중·후 측정된 기본 뇌파의 절대 진폭의 값과 DAR, DTABR 수치의 채널별 비교 39

2-2. 침 자극 전·중·후 측정된 기본 뇌파의 절대 진폭의 값과 DAR, DTABR 수치의 구역별 비교 55

2-3. 환측과 양측의 전기 침 자극 전·중·후 측정된 기본 뇌파의 절대 진폭값, DAR과 DTABR 수치 변화량의 채널별 비교 65

IV. 고찰 69

V. 결론 77

VI. 참고 문헌 78

Table 1. Summary of Patient Demographics and Stroke History. 38

Table 2.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HACU and PostHACU Phase sorted by Channel. 39

Table 3.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BACU and PostBACU Phase sorted by Channel. 42

Table 4.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HACU and PostHACU Phase sorted by Channel. 44

Table 5.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BACU and PostBACU Phase sorted by Channel. 46

Table 6.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HACU and HACU Phase sorted by Channel. 48

Table 7.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BACU and BACU Phase sorted by Channel. 51

Table 8. Channels which Showed Decrease of Absolute Amplitude of Delta Wave, DAR, and DTABR. 54

Table 9.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HACU and PostHACU Phase sorted by Region. 55

Table 10.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BACU and PostBACU Phase sorted by Region. 57

Table 11.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HACU and HACU Phase sorted by Region. 60

Table 12. Changes in the Absolute Amplitude of Brain Wave and DAR, DTABR at PreBACU and BACU Phase sorted by Region. 62

Table 13. Comparison of Changes in EEG indices between PostACU and PreACU Phase sorted by Channel. 65

Table 14. Comparison of Changes in EEG indices between PostACU and ACU Phase sorted by Channel. 66

Table 15. Comparison of Changes in EEG indices between ACU and PreACU Phase sorted by Channel. 67

Figure 1. Subjects Undergoing QEEG Test. 20

Figure 2. Protocol : QEEG Test Schedule. 22

Figure 3. 19 Channels Arrangement for EEG Test. 25

Figure 4. Formula for Calculating DAR-Range(DARr), DAR-Point(DARp), DTABR-Range(DTABRr) and DTABR-Point(DTABRp). 27

Figure 5. Process of Data Importing : A. Importing BDF Data File to EEGLAB Program, B. Setting Data file and Sampling Rate, Channel... 29

Figure 6. Data Pre-processing : A. Compute Average Reference, B. Filtering, C. Baseline Correction, D. Reject Bad Channels. 31

Figure 7. Data Pre-processing : Manually Rejecting Bad Data. A.Checking Channel Data, B. Example of Excluded Data. 31

Figure 8.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 A. Eye Artifact Data B. Rejecting Bad Components(For here, Component 9 and 12). 32

Figure 9. EEG Data After Pre-processing : A. Log Power Spectral Density(10XLog10(㎶²/Hz)), B. EEG Data Exporting : Sorted by Basic...[이미지참조] 33

Figure 10. Post-Processed Excel Data 1 : Total Subject's Absolute Amplitude of Basic Brain Waves, DAR and DTABR Sorted by EEG... 34

Figure 11. Post-Processed Excel Data 2 : Total Subject's Average Absolute Amplitude of Basic Brain Waves, DAR and DTABR Sorted by... 35

Figure 12. Post-Processed Excel Data 3 : A. Change of DAR(r) before and after Hemi-side acupuncture treatment, B. Change of DAR(r)... 36

Figure 13. Changes of Absolute Amplitude of Basic Waves, DAR and DTABR After Acupuncture Treatment is Done : Sorted by Region. 59

Figure 14. Changes of Absolute Amplitude of Basic Waves, DAR and DTABR While Acupuncture Treatment is Ongoing : Sorted by Region. 64

Figure 15. Comparison of Changes in EEG indices between Hemi-acupuncture and Both-acupuncture : Sorted by Channel. 68

초록보기

연구 배경 : 뇌졸중의 주요 후유증인 편측 근력 저하, 사지 마비, 인지 장애 등의 치료와 진단, 평가 기술의 개발에 대한 관심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뇌파 검사는 뇌의 생리적·병리적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뇌졸중 환자들에게 한의 치료를 적용하며 효과와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연구 목적 : 편마비를 호소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뇌파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침치료의 효과 및 환측 또는 양측 침치료시의 효과 차이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에 내원한 외래 환자 혹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43인의 뇌파 검사 프로토콜의 결과를 확보하여, 분석 제외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34인의 환자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34인의 PreACU Phase, ACU Phase, PostACU Phase 데이터를 채널별, 구역별로 나누어 Paired T-test 혹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시행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Hemi-ACU Day와 Both-ACU Day의 Phase 간 뇌파 검사 결과의 차이값을 Independent T-test 혹은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 채널별 뇌파의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환측과 양측의 침 치료시 모두 자침 전에 비하여 자침 중·후에 서파(델타파,세타파)의 절대 진폭과, DAR, DTABR 수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자침 전과 자침이 끝난 후를 비교하였을 때 양측 자침 시의 Fz 채널에서의 델타파 절대 진폭의 증가를 제외하면 환측과 양측의 침 치료시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 모든 채널에서 서파의 절대 진폭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구역별 뇌파의 변화는 환측과 양측의 침 치료 시에 자침 전과 자침 중·후를 비교하였을 때 자침이 시행된 후 변화가 나타난 모든 서파의 절대 진폭과 DAR, DTABR의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진행일 별 Phase간 뇌파 검사 결과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을 때, 환측 침 치료와 양측 침 치료는 모두 자침 전-후 델타파의 절대 진폭의 세기와 DAR, DTABR의 수치를 감소시켰고, 양측 자침 전-후보다 환측 자침 전-후에 DAR, DTABR의 변화량의 폭이 더욱 컸다.

연구 결론 : 편마비를 호소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침 치료를 적용할 시 환측과 양측의 침 치료 모두 뇌 활성도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일부 채널에서는 환측 침 치료와 양측 침 치료가 서로 다른 양상의 뇌파 활성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침 치료시 획일적인 방식이 아닌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에 따라 환측 혹은 양측 침치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