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의의 17
1. 연구의 배경 17
2. 연구의 필요성 20
제2절 선행 연구 23
1. 중국의 연구 현황 23
2. 해외의 연구 현황 34
제3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40
1. 연구의 목적 40
2. 연구의 범위 43
제4절 연구의 방법과 혁신성 45
1. 연구의 방법 45
2. 연구의 혁신성 47
제2장 관련 개념 정의 이론적 논의 49
제1절 중국 아동 문학과 관련 이론 49
1. 아동 문학의 개념 정의 49
2. 중국 아동 문학과 관련 이론 51
3. 중국 아동 문학의 특징 56
제2절 중국 아동 문학 영화화와 관련 이론 57
1. 아동 문학 영화화의 개념 정의 58
2.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 원인 59
3. 중국 아동 문학 영화화의 관련 이론 62
제3절 영화 사회학 64
1. 영화 사회학의 개념와 정의 65
2. 영화 사회학의 발전 궤적 66
3. 영화 사회학의 관련 이론 67
제3장 사회 현황에 대한 비판(1922-1949년) 71
제1절 계급 압박의 공간 71
1. 가정과 사회 윤리의 관계 73
2. 신현실주의 스타일 76
3. 유랑아 사회 정체성 동일시 79
제2절 사회 동요 속 저항 85
1. 절망에서 희망으로의 전환 86
2. 아운사이드 아동의 단면 88
3. 유랑아 집단의 대항과 융합 90
제3절 시간과 공간의 인터랙션 97
1. 낮은 채도의 색채와 자연광 97
2. 정서적 음향과 음악 100
3. 쇼트구성의 내재된 의미 104
제4장 정치목적의 직관적 표현 (1950-1965년) 108
제1절 전쟁 속 국가정권 108
1. 혁명 전쟁의 정면대항 110
2. 민족주의와 애국정서 115
3. 소년영웅의 신앙과 정신 117
제2절 집단적 반항과 생존 122
1. 정보의 유인 124
2. 영웅 숭배 127
3. 3단구성 130
제3절 은유와 상징 133
1. 색채와 명암 대비 133
2. 노이즈와 내레이션 136
3. 장면전환 137
제5장 계급투쟁의 산물 (1966-1976년) 143
제1절 문화대혁명의 정치성 143
1. 공농병(工農兵)과 주자파(走資派)의 대립 144
2. 계급투쟁의 신구 비판 147
3. 정치화된 아동 150
제2절 아동의 소외 153
1. 국가 이데올로기 154
2. 선악기준의 고착화 157
3. 일원화와 표준화 159
제3절 영상과 사운드의 변화 161
1. 색채 활용 162
2. 주제음악 활용 164
3. 영웅주의 편집 165
제6장 다원적 사상의 수용 (1977-2000년) 168
제1절 아동권리에 대한 관심 168
1. 아동 감정에 초점 169
2. 인문학과 개성 172
3. 아동의 사회제 소통 174
제2절 주체의식의 자아 176
1. 아동을 위한 사회책임 177
2. 아동의 생활상 표현 180
3. 아동 시각의 시공간 183
제3절 아동영화의 기술진보 185
1. 시각적 표현과 색채 185
2. 사운드 혁신 188
3. 합리적인 영상미학 190
제7장 상업화로의 변화 (2001-2022년) 193
제1절 아동 영화의 인정 193
1. 아동의 내면 묘사 193
2. 오락성의 발현 195
3. 기성영화와의 차별화 197
제2절 대중성의 추구 200
1. 선악의 대립 200
2. 아동심리 표현 203
3. 새로운 서사구조 206
제3절 아동영화의 미학 208
1. 이미지 재구성 208
2. 사실제 사운드 209
3. 환상제 컴퓨터그래픽(CG) 210
제8장 결론 213
제1절 연구의 요약과 의의 213
1. 연구의 요약 213
2. 연구의 의의 215
제2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217
1. 연구의 한계 217
2. 연구의 제언 218
참고 문헌 221
ABSTRACT 232
부록 235
〈그림 1〉 영화 〈어린 친구(小朋友)〉, 〈시계(表)〉, 〈삼모유랑기(三毛流浪記)〉의 포스터 72
〈그림 2〉 영화 〈완동(頑童)〉, 〈고아구조기(苦兒流浪記)〉의 장면... 74
〈그림 3〉 영화 〈시계〉에서 가정 사회 윤리 관계의 표현 (여동생이 도중 비참하게 죽음-솜옷을 벗어 밥값을 대신함-도둑 집단에... 75
〈그림 4〉 영화 〈시계〉에서 현실주의 스타일 표현 (어린 아들이 울면서 밥을 먹지 않음-식량이 가득 담긴 포대-소우에 대한... 78
〈그림 5〉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도둑 집단에서의 산모와 부잣집으로 입양된 산모 이미지 86
〈그림 6〉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인력거에 끌려가는 산모 87
〈그림 7〉 영화 〈시계〉에서 은소신에게 몰래 소식을 알려주는 소우 89
〈그림 8〉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주변화된 아동의 어두운 처지 표현 (도망가기 때문에 구타 당함-칭찬을 받아서 자랑함) 90
〈그림 9〉 영화 〈시계〉에서 소우의괴로움-안심-두려움-갈등-발버둥-용기 등 심리 변화 93
〈그림 10〉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스토리의 시작과 발전 (집 없는 아이들에게 구타당한 산마오-유랑아들이 함께 인력거 밀기) 94
〈그림 11〉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스토리의 좌절과 고조 (산마오는 탈출하여 발견-노숙자 만나기) 95
〈그림 12〉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길거리와 매화나무 빛의 명암 대비 99
〈그림 13〉 영화 〈산모유랑기〉의 타이틀에 나타난 스케치 100
〈그림 14〉 영화 〈산모유랑기〉에서 대비 몽타주 사용 (음식점을 지나가는 산모-유랑아들이 함께 인력거 밀기) 106
〈그림 15〉 영화에서 심리 몽타주 응용 (영화 〈시계〉에서 소우가 음식점에 앉아 밥을 먹는 장면에 대한 환상... 107
〈그림 16〉 영와 〈위해자문축복(爲孩子們祝福)〉, 〈계모신(雞毛信)〉의 포스터 109
〈그림 17〉 영화 〈목동투군(牧童投軍)〉, 〈여명적하변(黎明的河邊)〉의 포스터 110
〈그림 18〉 영화 〈계모신〉, 〈목동투군〉의 장면 (닭날개 편지를 전달하는 임무를 받은 하이와-소호가 해방군 만나다) 111
〈그림 19〉 영화 〈소병장알(小兵張嘎)〉에서 장알은 일본군 망루에 불을 지르다 112
〈그림 20〉 영화 〈소병장알〉에서 새로 추가된 인물 이미지 (뚱뚱한 번역관-쾌판유) 114
〈그림 21〉 영화 〈계모신〉에서 해왜의 아버지인 조 중대장 116
〈그림 22〉 영화 〈피포(皮包)〉에서 손실된 파일이 검색되다 118
〈그림 23〉 영화 속 아동 이미지 (〈민병적아자(民兵的兒子)〉 춘래-〈여명적하변〉 소진-〈오채로(五彩路)〉 곡라,... 120
〈그림 24〉 영화 속 인솔자 (〈목동투군〉 해방군 정찰병 2명-〈소병장알〉 소대장 나금보) 121
〈그림 25〉 영화 〈소병장알〉에서 장알은 반돈에게 총을 과시하다 123
〈그림 26〉 영화 〈계모신〉에서 정보호송 과정 (해왜는 배달 작업 받기-해왜는 닭털 편지를 가지고 탈출-해왜는 잃어버린... 125
〈그림 27〉 영화 〈계모신〉에서 적군을 아군 매복 지역으로 유인하는 해외 126
〈그림 28〉 영화 〈계모신〉에서 속 3인칭 나레이션의 형식 128
〈그림 29〉 영화 〈소병장알〉에서 물고기를 잡아 영자를 즐겁게 하는 장알 130
〈그림 30〉 영화 〈계모신〉에서 해왜의 머릿속에 아른거리는 아버지 모습 132
〈그림 31〉 영화 〈소병장알〉에서 화면색채 (장알 집 세화-할머니는 일본군에게 검문받는다-할머니 머리의 피) 134
〈그림 32〉 영화 〈목동투군〉에서 광선의 명암대비 (소우의 얼굴 정서-어둠속으로 피신한 국민당 병사) 135
〈그림 33〉 영화 〈계모신〉에서 교차몽타주의 응용 (해왜는 사람들에게 암호를 전하다-사람들은 신속 철수 중) 138
〈그림 34〉 영화 〈소병장알〉에서 총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종량에게 나무 총 받는다-진짜 총 처음 보는 장알-뚱뚱한 통역관으로부터... 139
〈그림 35〉 영화 〈소병장알〉에서 호수에서 배를 젓는 실경 141
〈그림 36〉 영화 〈소병장알〉에서 친구들에게 최신 형세를 들려준다 141
〈그림 37〉 영화 〈향양원적고사(向陽院的故事)〉, 〈섬섬적홍성(閃閃的紅星)〉의 포스터 143
〈그림 38〉 영화 〈섬섬적홍성〉의 장면 (반동자의 아버지가 홍군에 참가-계급의 적인 호수례가 철주를 끌어들이기) 146
〈그림 39〉 영화 〈향양원적고사〉에서 석 할아버지아 아이에게 사상교육하고 147
〈그림 40〉 영화 〈향양원적고사〉에서 석 할아버지가 아이들을 데리고 건설 현장에 나가 모래를 긁는다 148
〈그림 41〉 영화 〈향양원적고사〉에서 숨어 있던 계급의 적 호수례 149
〈그림 42〉 영화 〈섬섬적홍성〉에서 지주 호한삼 150
〈그림 43〉 영화 〈섬섬적홍성〉에서 반동자 이미지 151
〈그림 44〉 영화 〈섬섬적홍성〉의 장면 (소금운송 준지-반동자와 아버지 다시 만남) 156
〈그림 45〉 영화 〈향양원적고사〉에서 호수례가 철주에게 자본계급 생활방식을 홍보하다 158
〈그림 46〉 영화 〈섬섬적홍성〉, 〈향양원적고사〉의 장면 (반동자의 어머니가 입당하다-석 할아버지는 아이들을 데리고 현장에... 161
〈그림 47〉 영화 〈섬섬적홍성〉에서 화면의 다원화된 색채 (반동자 양볼-반동자는 문앞에 서서 어머니 수놓기를 구경하다) 162
〈그림 48〉 영화 〈섬섬적홍성〉에서 붉은 별 도구 163
〈그림 49〉 영화 〈섬섬적홍성〉에서 모범극 모드의 표현 (반동자가 얼굴 닦는다-반동자가 지주 호한삼을 노려보다) 167
〈그림 50〉 소설 「남생가리(男生賈裏)」, 「초방자(草房子)」의 책뚜껑 169
〈그림 51〉 영화 〈일개두불능소(一個都不能少)〉의 포스터 171
〈그림 52〉 영화 〈화계·우계(花季·雨季)〉의 장면 (류샤과 시에신는 캐릭터이미지-왕샤오 주스를 마시다-시에신과 왕샤오 무대에서... 173
〈그림 53〉 영화 〈일개두불능소(一個都不能少)〉에서 학생들과 함께 비탈길을 걷는 위민지 175
〈그림 54〉 영화 〈홍의소녀(紅衣少女)〉에서 안연의 시각 (칠판 쳐다보기-아버지의 잔소리 듣기) 176
〈그림 55〉 영화 〈아적구월(我的九月)〉에서 안건군은 체조하기와 울음 178
〈그림 56〉 영화 〈초방자〉의 장면 (두소강과 지월는 캐릭터이미지) 179
〈그림 57〉 영화 〈두구연화(豆蔻年華)〉에서 문자로 스스로 격려하는 요소화 181
〈그림 58〉 영화 〈성남구사(城南舊事)〉에서 옛 북경 모습 182
〈그림 59〉 영화 〈벽력패패(霹靂貝貝)〉, 〈소년전부(少年戰俘)〉의 장면 (패패는 처음으로 외계인을 만나다-일본군이 10대들에게 질책) 182
〈그림 60〉 영화 〈하차개선항유기("下次開船"港遊記)〉에서 놀이요소 (알람시계에서 날아가는 타임브라더-당소서는 시간제약 없는 곳에 도착) 183
〈그림 61〉 영화 〈마표(魔表)〉에서 어른이 된 강 박사 184
〈그림 62〉 영화 〈초방자〉에서 푸른하늘 아래의 바람개비 186
〈그림 63〉 영화 〈남생가리(男生賈裏)〉에서 처음과 같이 화목해진 모습 188
〈그림 64〉 영화 〈아, 향설(哦, 香雪)〉에서 향설의 연필통 190
〈그림 65〉 영화 〈아, 향설〉에서 필통을 바꾸는 형설 191
〈그림 66〉 영화 〈아, 향설〉에서 친구와 함께 집으로 가는 향설 191
〈그림 67〉 영화 〈벽력패패(霹靂貝貝)〉에서 거대한 비행접시 192
〈그림 68〉 영화 〈신서유기: 몽키킹의 부활(西遊記之大聖歸來)〉,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의 장면... 196
〈그림 69〉 영화 〈저개가기특별장(這個假期特別長)〉의 장면 (유유, 반흥과 활달는 캐릭터이미지) 198
〈그림 70〉 영화 〈저개가지특별장〉에서 할아버지 기억 회복 199
〈그림 71〉 영화 〈회비적초모(會飛的草帽)〉의 포스터 201
〈그림 72〉 영화 〈뽀로로의 비밀(寶葫蘆的秘密)〉에서 왕보와 요술호리병 이미지 203
〈그림 73〉 영화 〈간상거흔미(看上去很美)〉에서 방창창의 시각 (어른을 대할 때의 당당함-선생님을 볼 때의 두려운 표정) 205
〈그림 74〉 영화 〈비래적청의(飛來的青衣)〉의 포스터 207
〈그림 75〉 영화 〈뽀로로의 비밀〉에서 왕보, 미국 우주 정비소 구조 성공 209
〈그림 76〉 영화 〈뽀로로의 비밀〉에서 왕보 집에 몰려든 전기 비행기 모형 211
중국에서 비교적 성공하고 오늘날까지 발전해 왔다. 관객에게 지금까지 여전히 깊은 인상을 준 아동 영화 중에서 일부 작품은 아동 문학을 텍스트 기초로 하여 각색한 것이며, 선명한 영화 본체 의식과 어린이를 중심으로 하는 의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아동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한 영화화는 아동 문학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영향력을 제고하고 확대할 뿐만 아니라 아동 영화 창작 소재에 다양한 선택 가능성도 제공할 수 있으며, 중국 아동 영화의 발전을 촉진하는 원동력과 원천이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아동 문학을 영화 스크린에 옮기고 사회적 시각으로 이를 고찰하였으며, 또한 「영화 서사학」과 「영화 사회학」 등 관련 영화 이론과 결합하여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 발전의 5개 단계에 따라 당시 사회 형태에서 각 단계의 대표적인 아동 문학을 토대로 각색한 영화를 사례로 각 단계의 사회적 배경에서 출발하여 살펴봤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소개이다. 본 연구의 연구 범위와 국내외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주제 배경과 의미를 설명하며, 연구 목적, 방법, 창의점과 전체적인 논점을 제시한다.
제2장은 연구에서 언급한 관련 개념 근거를 설명하였고, 중국 아동 문학 발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에 의해 영화 서사학과 사회학 관련 이론과 결합하여 중국 사회의 시기별 아동 문학을 토대로 한 영화화의 텍스트 선택, 서사 전략과 시청 언어 등 영화 표현 수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제3장은 1922-1949년의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 의식에 대한 각성 시기이다. 당시 중국은 전쟁 시기에 처하여 민중들이 어려운 삶을 살았으며, 민족 갈등과 계급 갈등이 매우 뚜렷하였다. 따라서 중국 아동 영화의 텍스트 선택 역시 대부분 사회 현황에 대한 비판, 밑바닥 사람들의 어려운 생활을 보여주었다.
제4장은 1950-1965년의 건강한 성장 시기이다. 1949년 신중 국이 설립되면서 비로소,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 따라 중국 아동 영화의 아동 문학에 대한 각색은 고아, 유랑아의 가난한 생활에 대한 주목에서 신시기 환경에 따른 중국 아동의 생활 현황에 대한 표현으로 전환되었다.
제5장은 1966-1976년에 소재 선택과 스타일의 재창작이 모두 제한되고, 계급투쟁을 강요 받아 반드시 이를 부각시켜야 했기 때문에 현실 생활과 동떨어진 지나치게 고상한 인물 이미지를 구축했으며, 또한 개념화된 인물과 모델화된 스토리로 이를 표현하였다.
제6장은 1977-2000년의 문화대학명 이후 시기이다. 영화화의 텍스트 선택이 아이들의 생활에 더욱 가깝게 되고, 어린이를 중심으로 어린이의 성장 권리와 과정을 표현했으며, 독특한 개성과 인문적 배려가 담겼을 뿐만 아니라 인물 이미지가 더욱 다원화되었다.
제7장은 시야를 2001-2022년에 맞추었고, 이 시기에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 과정은 유형 전환 단계에 들어섰다. 영화는 이익을 중심으로 생각하여 시장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 시기 영화는 대부분 오락 화되었다.
제8장은 결론 부분에서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가 각 시대에 따라 표현한 사회적 가치에 대해 요약하였다. 동시에 중국 아동 문학을 토대로 각색한 아동 영화가 당시 사회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 중국 아동 문학의 영화화에 대한 사고를 유발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