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6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 방법 및 범위 19

Ⅱ. 이론적 고찰 21

1. 궁중장식화 정의 및 종류 21

1.1. 궁중장식화의 정의 및 특성 21

1.2. 궁중장식화의 종류 및 특징 24

1.3. 궁중장식화 선행연구 44

2. 침구의 정의 및 특성 49

2.1. 침구의 개념 및 유래 49

2.2. 침구의 구성과 소재 51

2.3. 침구 디자인 선행연구 58

Ⅲ. 침구 사례조사 및 분석 61

1. 사례수집 범위 61

2. 분석기준수립 62

3. 사례분석 70

(1) 이브자리 70

(2) 알레르망 73

(3) 세사리빙 76

Ⅳ. 디자인 제안 80

1. 디자인 의도 및 전개방법 80

2. 디자인 제안 및 설명 85

1. 디자인 I: Flowers Spreading 85

2. 디자인 II: Joyful Piece 93

3. 작품 III: Pouring Square 100

4. 작품 IV: Onew 107

5. 작품 V: Warm Forest 114

6. 작품 VIII : Flexible mind 123

Ⅴ. 결론 130

참고문헌 133

Abstract 138

표목차

〈표 1〉 궁중장식화 종류 25

〈표 2〉 궁중장식화의 종류와 구성요소, 상징성, 양식적 특징 42

〈표 3〉 궁중장식화를 활용한 선행연구 48

〈표 4〉 침구의 구성 54

〈표 5〉 침구의 소재 57

〈표 6〉 전통요소를 이용한 침구 디자인 선행연구 59

〈표 7〉 산업별 1~3위 브랜드의 온라인 사이트 주소 및 신상품 이미지 갯수 61

〈표 8〉 문양을 구성하는 모티브의 종류에 따른 분류방법 64

〈표 9〉 모티브의 배열방법 66

〈표 10〉 모티브의 표현방법 66

〈표 11〉 모티브, 배열방식, 표현방법 분류 68

〈표 12〉 이브자리 사례 72

〈표 13〉 알레르망 사례 75

〈표 14〉 세사리빙 사례 78

〈표 15〉 이브자리, 알레르망, 세사리빙 침구 사례 정리표 79

〈표 16〉 2021/22 s/s, f/w 패턴 트렌드 이미지 및 키워드 81

〈표 17〉 전체 작품 제작 기획 83

〈표 18〉 디자인 I: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88

〈표 19〉 모란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89

〈표 20〉 디자인 II: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95

〈표 21〉 십장생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96

〈표 22〉 디자인 III: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102

〈표 23〉 책가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103

〈표 24〉 디자인 IV: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109

〈표 25〉 일월오봉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110

〈표 26〉 디자인 V: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116

〈표 27〉 노안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117

〈표 28〉 디자인 VI: 무드보드와 디자인 모티브를 통한 디자인 전개과정 125

〈표 29〉 총석정절경도 패턴 디자인과 적용계획 126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구성도 20

〈그림 2〉 일월오봉도병풍(日月五峯圖屛風), 196x364.8cm, 19세기~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26

〈그림 3〉 십장생도병풍(十長生圖屛風), 209x385cm, 19세기~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29

〈그림 4〉 책가도병풍(冊架圖屛風), 206.5x45.3cm, 19세기~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0

〈그림 5〉 모란도병풍(牡丹圖 屛風), 205x54cm, 19세기~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1

〈그림 6〉 연화도(蓮花圖), 95.2x182.4cm, 19세기 초, 비단에 채색, 창덕궁 소장본 32

〈그림 7〉 총석정절경도(叢石亭絶景圖), 883x205.1cm, 1920년대,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3

〈그림 8〉 금강산만물초승경도(金剛山萬物肖勝景圖), 883x205.1cm, 1920년대,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4

〈그림 9〉 백학도(白鶴圖), 214x578cm, 1920년,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4

〈그림 10〉 봉황도(鳳凰圖), 214x578cm, 1920년,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5

〈그림 11〉 조일선관도 (朝日仙觀圖), 184x526cm, 1920년, 비단에 채색,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36

〈그림 12〉 삼선관파도 (三仙觀波圖), 184x526cm, 1920년, 비단에 채색,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37

〈그림 13〉 노안도(蘆雁圖), 212.2x60.5cm, 1917년, 비단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38

〈그림 14〉 운룡도(雲龍圖), 조선전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그림 15〉 도원도(桃源圖), 157x52.4cm, 20세기 초, 창덕궁 39

〈그림 16〉 도성도(都城圖), 75.4x98cm, 18세기 중엽, 규장각 40

〈그림 17〉 동리가경도(東籬佳景圖), 158.5x52.7cm, 1917년, 비단에 채색, 궁중박물관 41

〈그림 18〉 이지민(2013)의 작품 44

〈그림 19〉 박정민(2014)의 작품 45

〈그림 20〉 양태영(2009)의 작품 45

〈그림 21〉 임윤선(2009)의 작품 45

〈그림 22〉 김진은(2014)의 작품 46

〈그림 23〉 손아란(2005)의 작품 46

〈그림 24〉 김민경, 박순천(2012)의 작품 46

〈그림 25〉 이은아(2017)의 작품 46

〈그림 26〉 홍선미(1998)의 작품 47

〈그림 27〉 이가민(2016)의 작품 47

〈그림 28〉 이서하(2020)의 작품 47

〈그림 29〉 이동주(2013)의 작품 47

〈그림 30〉 이수진(2018)의 작품 47

〈그림 31〉 오미화(2007) 의 작품 47

〈그림 32〉 요커버세트 이브자리 공식 블로그 51

〈그림 33〉 침대커버세트 이브자리 공식 블로그 51

〈그림 34〉 필로우존 53

〈그림 35〉 상부 부분 53

〈그림 36〉 하부 부분 53

〈그림 37〉 리처드 프록터의 8가지 단위형 배열방법 65

〈그림 38〉 이브자리 데이슈 71

〈그림 39〉 이브자리 퍼펙트 71

〈그림 40〉 이브자리 라이닝 71

〈그림 41〉 이브자리 뉴라인 71

〈그림 42〉 이브자리 에센스 71

〈그림 43〉 알레르망 모나타 73

〈그림 44〉 알레르망 쿤스트 73

〈그림 45〉 알레르망 하우디 73

〈그림 46〉 알레르망 르비치 74

〈그림 47〉 알레르망 레미제 74

〈그림 48〉 알레르망 루비엔 74

〈그림 49〉 세사리빙 글로우 77

〈그림 50〉 세사리빙 마쥬 77

〈그림 51〉 세사리빙 에일리 77

〈그림 52〉 세사리빙 피아노 77

〈그림 53〉 디자인 I의 도식화 90

〈그림 54〉 디자인 I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91

〈그림 55〉 디자인 I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92

〈그림 56〉 디자인 I 유로샴 시뮬레이션 92

〈그림 57〉 디자인 I 쿠션 1,2 시뮬레이션 92

〈그림 58〉 디자인 II의 도식화 97

〈그림 59〉 디자인 II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98

〈그림 60〉 디자인 II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99

〈그림 61〉 디자인 II 유로샴 시뮬레이션 99

〈그림 62〉 디자인 II 쿠션 1,2 시뮬레이션 99

〈그림 63〉 디자인 III의 도식화 104

〈그림 64〉 디자인 III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105

〈그림 65〉 디자인 III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106

〈그림 66〉 디자인 III 유로샴 시뮬레이션 106

〈그림 67〉 디자인 III 유로샴 시뮬레이션 106

〈그림 68〉 디자인 IV의 도식화 111

〈그림 69〉 디자인 IV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112

〈그림 70〉 디자인 IV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113

〈그림 71〉 디자인 IV 유로샴 시뮬레이션 113

〈그림 72〉 디자인 IV 쿠션1 시뮬레이션 113

〈그림 73〉 디자인 V 도식화 이미지 119

〈그림 74〉 디자인 V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120

〈그림 75〉 디자인 V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121

〈그림 76〉 디자인 V 유로샴 시뮬레이션 121

〈그림 77〉 디자인 V 쿠션1,2 시뮬레이션 121

〈그림 78〉 디자인 V 쿠션3,4 시뮬레이션 122

〈그림 79〉 디자인 V 쿠션5,6 시뮬레이션 122

〈그림 80〉 디자인 VIII의 도식화 127

〈그림 81〉 디자인 VIII 전체 시뮬레이션 이미지 128

〈그림 82〉 디자인 VIII 이불 커버 & 필로우 시뮬레이션 129

〈그림 83〉 디자인 VIII 유로샴 시뮬레이션 129

〈그림 84〉 디자인 VIII 쿠션1,2 시뮬레이션 129

초록보기

 최근 코로나의 영향으로 주거 공간에 대한 의미가 변화하면서 수면과 휴식을 위한 침실 공간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인테리어는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침구도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소비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취향과 기호를 가진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침구 디자인을 제안하되 궁중장식화를 디자인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궁중장식화는 태평성대의 염원을 담아 궁중을 장식하기 위한 그림으로 조형적 측면에서 장식성이 뛰어나 디자인 활용가치가 높으며, 상징적 측면에서 다양한 의미와 기복적 성격이 담겨있어 침실 공간에 적합한 의미를 담아낼 수 있다.

연구내용은 크게 이론적 고찰, 사례분석, 디자인 제안 및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론적 고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궁중장식화의 개념과 정의, 종류 및 특징, 궁중장식화의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궁중장식화의 종류, 의미와 양식적 특징, 궁중장식화를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연구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침구의 개념 및 유래, 구성, 소재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디자인 제안에 필요한 침구 구성의 기반으로 삼았다.

둘째, 2021년 한국 산업 브랜드 파워(K-BPI) 침구 분양 1-3위인 이브자리, 알레르망, 세사리빙 침구 디자인의 모티브, 표현방법, 배열방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침구의 디자인 경향을 알아보았다.

디자인은 총 6세트의 디자인을 기획하였으며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일월오봉도, 모란도, 십장생도, 책가도에 노안도, 총석정절경도를 디자인 소재로 선정하였으며, 침구는 이불커버, 유로샴, 쿠션, 필로우 커버로 구성하였다. 소비자의 다양한 개성과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궁중장식화의 특징과 트렌드 키워드를 기반으로 타깃 소비자와 디자인 컨셉을 선정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 유화, 아크릴, 디지털 드로잉, 락스, 지판 기법과 같은 기법들을 이용하고 Illustrator CC와 Adobe Photoshop CC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궁중장식화의 개념과 정의, 종류 및 특징,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궁중장식화는 왕실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그려졌으며 공간의 쓰임에 따라 다양한 상징을 담아 궁중 공간을 장식하였다. 궁중장식화의 디자인적 가치는 매우 높아 현대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 소재로 활용되고 있었으나 침구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전통요소를 이용한 침구 디자인 연구는 전통문양, 조각보 등이 주요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전통적 기법과 현대적 기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나 소재적 측면에서 보다 확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례조사를 통하여 2021년 제 23차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K-BPI 산업별 1-3위인 이브자리, 알레르망, 세사리빙의 사례를 수집, 분석한 결과 주로 사용되는 모티브와 표현방법, 배열방법을 알 수 있었다. 모티브는 자연물과 기하물, 표현방법은 양식적, 약화적 표현, 배열방법은 세트, 스트라이프가 가장 많은 빈도로 활용되었으며 패턴 디자인은 이불 커버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색상의 대비, 스트라이프 방향의 변화, 모티브의 스케일을 조절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 제안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장식성이 뛰어난 궁중장식화는 침구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모티브와 양식적 특징, 표현방법이 다양해 이를 활용하면 폭넓은 세대를 겨냥한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사례분석에서 최근 침구 디자인에서 자주 활용되는 것으로 파악된 양식적, 약화적 표현방법과 추상적 표현방법, 모티브 배열방법(세트, 스트라이프)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오늘날의 침구는 개인의 취향과 니즈를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보다 다양한 니즈와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이너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전통요소를 침구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하는 디자인적 시도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궁중장식화를 활용한 점, 궁중장식화에 포함된 다양한 소재의 모티브를 활용하고 사례 분석을 반영하여 다양한 디자인 표현방법을 시도함으로써 트렌드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개발하였다는 점, 기존 연구에 비해 보다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겨냥할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궁중장식화를 활용하여 다양한 세대의 니즈를 충족 시킬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실제 작품이 제작되지 않은 점, 타깃 소비자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는 점, 소비자의 반응을 알 수 없는 점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본 결과가 전통적 모티브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함에 있어 보다 다양한 세대를 겨냥할 수 있는 침구 디자인 연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