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8
CHAPTER Ⅰ. The role of rhino for male germline stem cell maintenance in Drosophila melanogaster spermatogenesis 10
Ⅰ. 서론 11
1. Drosophila melanogaster 정소의 stem cell niche 11
2. Transposable elements(TEs) 12
3. piRNAs(PIWI-interacting RNAs)에 의한 TEs 억제 기작 13
4. piRNAs source loci 14
5. 선행연구 및 연구목적 15
Ⅱ. 재료 및 방법 17
1. Fly stock 및 배양 조건 17
2. Reverse transcription PCR 17
3. Germline stem cells(GSCs) 정량화 및 통계 처리 17
4. Antibody staining 18
5. TUNEL assay with antibody staining 18
6. Quantitative RT-PCR 19
7. Stellaris RNA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19
8. FLP/FRT mosaic clonal analysis 21
Ⅲ. 결과 및 고찰 22
1. rhino 유전자 발현에 따른 수컷 생식 능력의 변화 22
2. rhino 기능 상실로 인한 정소 내 생식세포 감소 24
3. rhino 기능 상실로 인한 정소 내 생식줄기세포 감소 26
4. Male rhino mutant GSCs 감소의 onset point 28
5. rhino 기능 상실로 인한 정소 내 transposon activation 31
6. Male rhino mutant의 GSCs 감소 원인 35
7. rhino 기능 상실로 인한 JAK-STAT pathway 감소 39
Ⅳ. 결론 41
CHAPTER Ⅱ. Discovery of a suppressor for male rhino mutant germline phenotype in Drosophila melanogaster 43
Ⅰ. 서론 44
Ⅱ. 재료 및 방법 46
1. Fly stock 및 배양 조건 46
2. Germline stem cells(GSCs) 정량화 및 통계 처리 46
3. Antibody staining 46
4. Transposon qRT-PCR 47
Ⅲ. 결과 및 고찰 48
1. 개체 수준에서 male rhino mutant germline phenotype을 rescue하는 TML strain 48
2. 세포 수준에서 male rhino mutant germline phenotype을 rescue하는 TML strain 50
3. 세포 수준에서 male rhino mutant의 GSCs 감소를 rescue하는 TML strain 52
4. TML male rhino mutant의 transposon activation 54
5. TML male rhino mutant의 알려지지 않은 억제 인자가 genetic factor일 가능성 57
Ⅳ. 결론 60
Ⅴ. 참고문헌 61
Abstract 6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