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국문요약 11

I. 서론 12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2

2. 연구방법과 연구목표 14

II. 문헌 연구 및 가설 석정 16

1. 작장-가족 간의 갈등(work-family conflict) 16

가. 직장-가족 갈등의 정의와 분류 16

나. 직장-가족 갈등에 관한 이론 18

다.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19

라. 직장-가정 충돌 측정 23

2. 이직 의도 24

가. 이직 의도에 대한 정의 24

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5

다. 이직의도의 측정 28

3. 정서적 소진 29

가. 정서적 소진의 정의 29

나. 정서적 소진에 관한 연구 30

다. 정서적 소진에 관한 측정 35

4. 직장-가족의 갈등과 이직 의도의 관계 36

5. 직장가정의 갈등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 37

6. 정서적 소진의 매개 역할 38

III. 연구방법론 40

1. 연구자료와 연구표본 40

2. 변수의 측정 41

가. 독립변수: 가족-직장 갈등 41

나. 매개변수: 정서적 소진 42

다. 종속변수: 이직 의도 42

IV. 실증 연구 결과 43

1. 신뢰도 분석 43

2. 타당성 분석 43

가. KMO 검사 43

나. 확인적 요인분석 44

3. 상관관계 분석 45

4. 회귀분석 46

가. 가정직장 갈등, 정서적 소진에 따른 이직의도 회귀 분석 46

나. 가족-직장 충돌, 정서적 소진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51

다. 직장-가정 갈등, 정서적 소진으로 인한 이직 의도 복귀 분석 54

라. 가설검사집합 57

V. 결론 58

1. 연구의 결론 58

2. 연구 제언 59

3. 연구부의 제한절 61

참고 문헌 62

부록 75

표목차

〈표 2-1〉 직장-가정 갈등 측정 도구 23

〈표 2-1〉 이직 성향 측정 도구 28

〈표 3-1〉 설명적 통계 분석 40

〈표 4-1〉 신도 분석 결과표 43

〈표 4-1〉 KMO 결과표 44

〈표 4-2〉 확인적 요인분석 44

〈표 4-1〉 상관관계 분석 45

〈표 4-1〉 모델 요약 표 46

〈표 4-2〉 계수표 46

〈표 4-3〉 모델 요약표 (갈등, 정서적 소진) 48

〈표 4-4〉 계수표 (갈등, 소진, 이직) 49

〈표 4-5〉 회귀분석(가족-직장갈등, 정서적 소진, 이직의도) 51

〈표 4-6〉 회귀계수표(직장-가정, 정서적 소진, 이직의도) 54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모델 39

[그림 2] 매개효과 점검도 50

초록보기

번아웃은 공업 문명 사회 하의 산물이 최초이며 서양에서는 이미 40여 년의 연구 역사가 있고 중국에서도 30년 가까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중국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사회적 배경에서 가정, 직장 등 각 방면에서 사람들이 점점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번아웃은 직장에서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번아웃은 개인의 심신 건강 및 조직의 성과에도 어느 정도 해를 끼치고 나아가 번아웃의 증가와 확산에 따라 사회 안정과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번아웃과 그 완화 방법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여전히 가치가 있다. 본 문에서는 유치원교사를 주요 조사 대상으로 하여 역할 이론과 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유치원교사의 번아웃 현황을 보여주고 번아웃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 중 직장, 가정 충돌요인이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1) 직장, 가정간 갈등(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은 유치원교사의 퇴직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2) 직장-가정 갈등(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은 유치원 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정서적 고갈은 직장-가정 간 갈등(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과 이직 의사와의 관계를 일부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