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5
3. 용어의 정의 15
1) 윤리적 간호역량 15
2) 사회지능 16
3)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16
Ⅱ. 문헌고찰 18
1. 윤리적 간호역량 18
2. 사회지능 22
3.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26
Ⅲ. 연구방법 31
1. 연구 설계 31
2. 연구 대상 31
1) 선정기준 31
2) 제외기준 31
3. 연구 도구 32
1) 윤리적 간호역량 32
2) 사회지능 33
3)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33
4. 자료 수집 절차 34
5. 윤리적 고려 34
6. 자료 분석 방법 35
Ⅳ. 연구 결과 36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36
2. 대상자의 윤리적 간호역량, 사회지능,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정도 39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간호역량의 차이 41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지능의 차이 43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차이 45
6. 대상자의 윤리적 간호역량, 사회지능,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간의 상관관계 48
7. 대상자의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50
Ⅴ. 논의 52
Ⅵ. 결론 및 제언 61
1. 결론 61
2. 제언 63
참고 문헌 64
부록 11
부록 1. 연구 설명서 및 동의서 73
부록 2. 설문지 77
부록 3. 도구승인 85
부록 4.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보서 86
ABSTRACT 87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3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간 간호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도구인 윤리적 간호역량은 Lechasseur 등(2018)의 간호사의 Ethical Competence Model을 사용하여 Kang과 Oh (2020)가 개발한 Ethical Nursing Competence Self-rating Scale for Clinical Nurses (ENC-S-CN)도구로 총 2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사회지능은 Goleman & Boyatzis (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척도를 바탕으로 Yeu (2012)가 구성한 총 24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Sung 등(2006)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한 총 33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연령(F=3.635, p=.014), 최종학력(t=-2.137, p=.034), 임상경력(F=5.822, p=.004), 중환자실 경력(F=5.824, p=.004), 직위(t=-3.254,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여부(t=7.409, p<.001), 가족의 장기기증 희망여부(t=5.99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사회지능(r=.160, p=.03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윤리적 간호역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57, p<.001)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지능이 높을수록 뇌사자 장기기증의 대한 태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사회지능(β=.143, p=.02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위(β=.251,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β=.511, p<.001)였고, 이 변수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32.7%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적용한다면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