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Ⅰ. 서론 16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6
2. 연구목적 24
Ⅱ. 이론적 배경 28
1.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생사관과 죽음 의례 28
1)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 28
2) 종교의 생사관 34
3)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생사관 40
2. 죽음준비교육의 이해 50
1) 죽음준비교육의 개념과 성격 50
2) 죽음준비교육의 역사와 현황 54
3. 선행연구 63
1)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63
2)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죽음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65
Ⅲ. 연구방법 71
1. 프로그램개발 연구의 개념과 특징 71
2.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과정 72
Ⅳ. 프로그램개발 80
1. 프로그램 기획 80
1) 프로그램 설계 및 목표설정 80
2) 문헌 연구 81
3) 현장요구분석 82
2. 프로그램 구성 84
1) 프로그램 구성원리 도출 84
2) 프로그램의 구성 84
3. 프로그램 실행 90
(1) 1회기 프로그램: 진행 안내 91
(2) 2회기 프로그램: 고령화와 저출산 91
(3) 3회기 프로그램: 삶과 죽음과 이해 93
(4) 4회기 프로그램: 용서와 화해 95
(5) 5회기 프로그램: 존엄사 97
(6) 6회기 프로그램: 유언과 상속 98
(7) 7회기 프로그램: 사후세계에 대한 이해 101
(8) 8회기 프로그램: 자서전 쓰기 104
(9) 9회기 프로그램: 성화식과 상장 의례(성화 예식) 107
(10) 10회기: 수료식 110
Ⅴ. 프로그램 효과 검증 111
1. 연구 방법 111
1) 연구대상 111
2) 연구설계 111
3) 측정도구 112
2. 용어의 정의 113
1) 죽음불안 113
2) 삶의 질 113
3) 자아통합감 114
3. 연구 결과 114
1) 프로그램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114
2) 프로그램 응답자의 신뢰도 분석 117
3)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질성 검정 121
4) 실험집단 실험 후 설문 응답 결과 123
5) 비교집단 차이 분석 133
4. 객관적 효과검정 139
1) 실험집단 차이 검정 139
2) 비교집단 차이 검정 140
3) 실험·비교집단 차이 검정 비교 141
3) 프로그램의 효과 144
Ⅵ. 결론 및 논의 147
1. 요약 147
1) 프로그램개발 147
2) 프로그램의 효과 148
2. 논의 149
1) 신학적 시사점 149
2) 목회적 시사점 151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153
참고문헌 155
부록 162
부록 1. 설문지 162
부록 2. 사전연명의료 의향서 167
ABSTRACT 168
〈그림 1〉 홀의 프로그램 개발과정 74
〈그림 2〉 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모형 78
본 연구는 가정연합 신자가 아닌 노년층을 대상으로 가정연합의 생사관에 기초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기획과 구성, 실시 및 평가의 단계로 프로그램개발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원리에 근거하여 최종적으로 강의내용은 오리엔테이션, 저출산 고령화사회, 용서와 화해, .존엄사, 가정연합 생사관, 사후세계, 성화식, 유언장 쓰기, 자서전 쓰기, 평가 및 정리 등의 1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10주에 걸쳐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36명과 참여하지 않은 36명을 사전·사후 검사하여 효과를 측정하고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개발을 완료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집단에 대한 교육 전후 차이 분석 결과 '죽음불안'은 감소되고 '자아통합감'은 향상되었으나 '삶의질'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연합 생사관에 기초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10회기 동안 참여한 사람들이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해소되면서 자아통합감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은 가정연합 신자뿐만 아니라 종교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에게 유의미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연합의 생사관에 기초하여 죽음준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한 결과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은 가정연합의 생사관이 초종교적인 설득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정연합의 생사관은 가정연합의 신자만 구원받는다는 교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고 그 사랑을 실천할 때 영인체가 성장하고 행복해진다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가정연합 신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 교육에서 그들의 죽음불안을 줄여주고 자아통합감을 향상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노인선교적 관점에서 죽음준비교육이 접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죽음준비교육뿐만 아니라 원리와 말씀을 바탕으로 죽음준비교육과 같은 대중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참가정 축복운동과 훈독가정교회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