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23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3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7
Ⅱ. 이론적 배경 30
1. 착시 30
2. 트롱프뢰유 34
1) 트롱프뢰유 개념 34
2) 트롱프뢰유 예술 및 건축 사례 36
3.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59
Ⅲ.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사례 66
1. 인체의 모방과 복제 67
2. 의복의 재현 84
3. 오브제의 도입 105
4. 자연물의 재현 116
Ⅳ.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현상 131
1. 환상성 133
2. 유희성 138
3. 공간성 145
4. 왜곡성 151
Ⅴ. 결론 156
참고문헌 160
ABSTRACT 164
〈그림 1〉 My wife and My mother-in-law, William Ely Hill, 1915. 33
〈그림 2〉 개인전을 위한 포스터, Shigeo Fukuda, 1975. 33
〈그림 3〉 Vega, Victor Vasarely, 1968. 33
〈그림 4〉 keple gesralt, Victor Vasarely, 1968. 33
〈그림 5〉 The Ambassadors, Ambrosius Holbein, 207x209.5cm, 1533. 33
〈그림 6〉 Stillleben mit Rebhuhn und Eisenhandschuhen, Jacopo de Barbari, 49x42cm, 1504. 41
〈그림 7〉 The Reverse of a Framed Painting, Cornelis Norbertus Gysbrechts, 66.6x86.5cm, 1670. 41
〈그림 8〉 Girl Reading a Letter at an Open Window, Johannes Vermeer, 83x64.5cm, 1657~1659 41
〈그림 9〉 The Artist in His Museum, Charles Willson Peale, 26.3x20.3cm, 1822. 41
〈그림 10〉 Trompe-l'oeil Still Life, Samuel Dirksz van Hoogstraten, 45.5x57.5cm, 1664. 41
〈그림 11〉 Junge Bäuerin mit drei Kindern im Fenster, Ferdinand Georg Waldmüller, 84.6x67.5cm, 1840. 41
〈그림 12〉 Two Women at a Window, Bartolomé Esteban Murillo, 125x104cm, 1665~1660. 42
〈그림 13〉 Self portrait, Bartolomé Esteban Murillo, 122x107cm, 1670~1673. 42
〈그림 14〉 Escapando de la critica Pere Borrell del Caso, 76x62cm, 1874. 42
〈그림 15〉 The Human Condition, René Magritte, 10x81cm, 1934. 42
〈그림 16〉 Shoe, Rene wirths, 100x240cm, 2008. 42
〈그림 17〉 The Villa of Oplontis, Ancient Rome, in the first century A.D 46
〈그림 18〉 Ceiling of the Chiesa di Sant'Ignazio di Loyola a Campo Marzio, Roma, 1685. 46
〈그림 19〉 Ceiling of the Camera Picta or Camera degli Sposi, Andrea Mantegna, 207cm, 1473. 46
〈그림 20〉 The Holy Trinit Masacci, 667x317cm, 1425-8년경. 46
〈그림 21〉 Creation of Adam and The Last Judgment, Michelangelo Buonarroti, 1508-1512. 47
〈그림 22〉 Morning is broken, Banksy. 47
〈그림 23〉 La ferita, JR, 2021. 47
〈그림 24〉 Au Louvre, JR, 2016. 47
〈그림 25〉 Danila Shmelev, 2021. 48
〈그림 26〉 Café de l'Aqueduc, Patrick Commecy, 2014. 48
〈그림 27〉 동해중앙시장 벽화, 2013. 48
〈그림 28〉 Lobster Telephone, Salvador Dali, 1936. 52
〈그림 29〉 Brillo Box, Delmonte Box, Andy Warhol, 1964. 52
〈그림 30〉 Linda, John de andrea, 1983. 52
〈그림 31〉 Self-Portrait with Model, Duane Hanson, 1979. 52
〈그림 32〉 동훈과 준호, Maurizio Cattelan, 2023. 52
〈그림 33〉 동훈과 준호, Maurizio Cattelan, 2023. 52
〈그림 34〉 A Girl, Ron Mueck, 2006. 53
〈그림 35〉 N udake Showroom. 53
〈그림 36〉 Avatar: The Way of Water, 2022. 57
〈그림 37〉 Samsung, 갤럭시 언팩 2022 행사 광고. 57
〈그림 38〉 Sony, ELF-SR1 57
〈그림 39〉 Hazzy, 2021 F/W, HVR. 57
〈그림 40〉 Apple, Vision Pro. 57
〈그림 41〉 Trompe L'oeil sweater, Elsa Schiaparelli, 1927. 63
〈그림 42〉 나비 단추, Elsa Schiaparelli, 1937. 63
〈그림 43〉 울 펠트로 만든 구두 모자, Elsa Schiaparelli, 1937~1938. 63
〈그림 44〉 Gold clawed gloves, Elsa Schiaparelli, 1938 63
〈그림 45〉 Skeleton dress, Elsa Schiaparelli, 1939. 63
〈그림 46〉 Trompe L'oeil Dresses, Hermès, 1952. 64
〈그림 47〉 Pop art, Yves Saint Laurent, 1966 F/W. 64
〈그림 48〉 Pop art, Yves Saint Laurent, 1966 F/W. 64
〈그림 49〉 Trompe L'oeil Beaded Dress, Marc Jacobs, 1986. 64
〈그림 50〉 Men's shoes, Pierre Cardin, 1986. 64
〈그림 51〉 Issey Miyake, 1991 S/S, 64
〈그림 52〉 Fendi, 1990 S/S. 65
〈그림 53〉 Christian Dior, 1990 S/S. 65
〈그림 54〉 Moschino, 1989 F/W. 65
〈그림 55〉 Jean-Paul Gaultier Homme, 1996. 65
〈그림 56〉 Vintage 90s Jean-Paul Gaultier. 65
〈그림 57〉 Yves Saint Laurent, 1987-1988 F/W. 65
〈그림 58〉 Balmain 2023 S/S, Paris 71
〈그림 59〉 Thom Browne 2022 S/S, New York 71
〈그림 60〉 Y project 2022 F/W Mens, Paris 71
〈그림 61〉 Y project 2022 F/W Mens, Paris 71
〈그림 62〉 Natasha zinko 2023 F/W, London 71
〈그림 63〉 A.W.A.K.E. MODE 2023 S/S, London 72
〈그림 64〉 Gucci 2021 F/W, Milan 72
〈그림 65〉 Off-white 2023 S/S, Milan 72
〈그림 66〉 Off-white 2023 S/S, Milan 72
〈그림 67〉 Loewe 2022 F/W Mens, Paris 74
〈그림 68〉 Loewe 2022 F/W Mens, Paris 74
〈그림 69〉 Loewe 2022 F/W, Paris 74
〈그림 70〉 Feben 2023 F/W Mens, London 74
〈그림 71〉 Loewe 2022 F/W, Paris 75
〈그림 72〉 Christopher kane 2023 S/S, London 75
〈그림 73〉 Loewe 2022 F/W, Paris 80
〈그림 74〉 JW Anderson 2022 F/W, Milan 80
〈그림 75〉 Alexander mcqueen 2023 S/S, New York 80
〈그림 76〉 Y project 2022 F/W, Paris 80
〈그림 77〉 Diesel 2023 F/W, Milan 80
〈그림 78〉 JW Anderson 2022 F/W Mens, Milan 81
〈그림 79〉 Y project 2022 S/S Mens, Paris 81
〈그림 80〉 Christopher kane 2023 S/S, London 81
〈그림 81〉 Beyonce 82
〈그림 82〉 Hailey Bieber 82
〈그림 83〉 Doja Cat 82
〈그림 84〉 Kim Kardashian 82
〈그림 85〉 Cardi B 82
〈그림 86〉 MM6 maison margiela 2022 F/W, Milan 88
〈그림 87〉 MM6 maison margiela 2022 F/W, Milan 88
〈그림 88〉 Vetements 2021 F/W, Paris 88
〈그림 89〉 Moschino 2021 F/W, New York 88
〈그림 90〉 Thom Browne 2022 S/S, New York 88
〈그림 91〉 Moschino 2022 F/W, New York 88
〈그림 92〉 Loewe 2023 F/W, Paris 89
〈그림 93〉 Y project 2022 S/S Mens, Paris 89
〈그림 94〉 Y project 2022 S/S Mens, Paris 89
〈그림 95〉 Y project 2023 F/W, Paris 89
〈그림 96〉 Diesel 2023 F/W, Milan 89
〈그림 97〉 Moschino 2023 S/S Mens, New York 89
〈그림 98〉 Moschino 2023 S/S Mens, New York 90
〈그림 99〉 Diesel 2023 F/W, Milan 90
〈그림 100〉 Y project 2023 F/W, Paris 90
〈그림 101〉 Moschino 2021 F/W Mens, New York 90
〈그림 102〉 Diesel 2022 S/S, Milan 90
〈그림 103〉 Diesel 2022 S/S, Milan 94
〈그림 104〉 Diesel 2022 S/S, Milan 94
〈그림 105〉 Diesel 2022 F/W, Milan 94
〈그림 106〉 Moschino 2023 S/S Mens, New York 94
〈그림 107〉 Diesel 2022 S/S, Milan 94
〈그림 108〉 Loewe 2023 F/W, Paris 95
〈그림 109〉 Diesel 2023 S/S, Milan 95
〈그림 110〉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95
〈그림 111〉 Balmain 2023 S/S, Paris 95
〈그림 112〉 Thom Browne 2022 S/S, New York 95
〈그림 113〉 Louis vitton 2023 S/S, Paris 95
〈그림 114〉 Loewe 2022 F/W, Paris 96
〈그림 115〉 Loewe 2023 S/S, Paris 96
〈그림 116〉 MM6 maison margiela 2023 F/W, Milan 101
〈그림 117〉 MM6 maison margiela 2023 F/W, Milan 101
〈그림 118〉 MSGM 2023 S/S, Milan 101
〈그림 119〉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101
〈그림 120〉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101
〈그림 121〉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102
〈그림 122〉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102
〈그림 123〉 Y Project 2020 S/S Mens, Paris 102
〈그림 124〉 Raf Simons 2022 F/W, London 102
〈그림 125〉 JW Anderson 2023 S/S Mens, Milan 102
〈그림 126〉 Y Project 2023 S/S Mens, Paris 103
〈그림 127〉 Diesel 2022 S/S, Milan 103
〈그림 128〉 Robert Wun 2023 S/S, London 105
〈그림 129〉 Loewe 2022 F/W, Paris 111
〈그림 130〉 Natasha zinko 2022 S/S Mens, London 111
〈그림 131〉 Commedes garcons 2022 S/S, Tokyo 111
〈그림 132〉 Thom Browne 2022 F/W, Paris 111
〈그림 133〉 JW Anderson 2023 S/S, Milan 112
〈그림 134〉 Moschino 2022 S/S, New York 112
〈그림 135〉 Moschino 2022 S/S, New York 112
〈그림 136〉 Louis vitton 2023 S/S Mens, Paris 112
〈그림 137〉 Louis vitton 2021 F/W Mens, Paris 112
〈그림 138〉 Louis vitton 2023 F/W Mens, Paris 112
〈그림 139〉 Loewe 2023 S/S Mens, Paris 113
〈그림 140〉 Loewe 2023 S/S Mens, Paris 113
〈그림 141〉 Moschino 2023 S/S, New York 113
〈그림 142〉 JW Anderson 2023 S/S, Milan 113
〈그림 143〉 Loewe 2022 F/W, Paris 114
〈그림 144〉 Moschino 2022 F/W, Milan 114
〈그림 145〉 Moschino 2022 F/W, Milan 114
〈그림 146〉 JW Anderson 2023 F/W Mens, Milan 114
〈그림 147〉 Off-white 2023 S/S, Milan 119
〈그림 148〉 Loewe 2023 S/S, Paris 119
〈그림 149〉 Loewe 2022 S/S, Paris 119
〈그림 150〉 Prada 2022 F/W, Milan 119
〈그림 151〉 Chanel 2023 F/W, Paris 119
〈그림 152〉 Schiaparelli 2022 F/W, Paris 119
〈그림 153〉 Valentino 2022 F/W COUTURE, Paris 120
〈그림 154〉 Loewe 2023 S/S Mens, Paris 120
〈그림 155〉 Louis vitton 2023 F/W Mens, Paris 120
〈그림 156〉 Undercover 2022 S/S, Paris 120
〈그림 157〉 Area 2023 S/S, Paris 120
〈그림 158〉 MM6 masion margiela 2022 F/W, Milan 126
〈그림 159〉 Schiaparelli 2023 S/S, Paris 126
〈그림 160〉 Schiaparelli 2023 S/S, Paris 126
〈그림 161〉 Schiaparelli 2022 F/W, Paris 126
〈그림 162〉 Collina strada 2023 F/W, New York 126
〈그림 163〉 JW Anderson 2022 F/W, Milan 126
〈그림 164〉 Moschino 2021 F/W, New York 127
〈그림 165〉 Moschino 2021 F/W, New York 127
〈그림 166〉 Collina strada 2022 S/S, New York 127
〈그림 167〉 Collina strada 2022 S/S, New York 127
〈그림 168〉 Collina strada 2023 F/W, NewYork 128
〈그림 169〉 MM6 maison margiela 2023 F/W, Milan 128
〈그림 170〉 Christopher kane 2022 F/W, London 128
〈그림 171〉 luis de javier 2023 F/W, New York 128
〈그림 172〉 Thom Browne 2022 F/W, Paris 128
〈그림 173〉 Collina strada 2023 F/W, New York 136
〈그림 174〉 Collina strada 2023 F/W, New York 136
〈그림 175〉 Collina strada 2023 F/W, New York 136
〈그림 176〉 Minecraft 142
〈그림 177〉 Area 2023 S/S, Paris 143
〈그림 178〉 Area 2023 S/S, Paris 143
〈그림 179〉 트릭 아트 사례 148
〈그림 180〉 트릭 아트 사례 148
착시에 나타나는 트롱프뢰유(trompe-l'oeil)는 눈속임이라는 의미로 사실적인 묘사를 하여 실물을 보는 듯한 착시를 주는 기법을 말한다. 현대 사회 기술의 발달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뉴 미디어(New media)를 통해 이미지 역할의 중요도는 더욱 높아져 갔으며 이러한 변화에 패션 디자인은 트롱프뢰유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처럼 보이는 허구를 만들고 착시를 내어 대중들의 매체 몰입도를 점차 높여가고 있다. 빠른 속도로 새로움을 갈망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현대 패션에서는 트롱프뢰유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며 새로운 트렌드(Trend)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착시와 트롱프뢰유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트롱프뢰유 기법에 나타난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며 착시와 트롱프뢰유의 개념을 정의하고 트롱프뢰유의 예술 및 건축 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와 최근 3년간 발표된 현대 패션의 트롱프뢰유 기법을 비교하며 표현의 특성을 알아보고 의복의 제한적인 한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는 상상력의 요소를 트롱프뢰유 기법의 현상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의의는 의복에 눈속임을 일으켜 일상에서 평범하게 볼 수 있는 이미지에 착시를 이용하여 낯선 이미지로 재탄생시키며 새로운 상상력을 자극하는 트롱프뢰유 기법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현상을 도출함으로써 현대 패션의 디자인 발상 및 표현 자료로 공헌하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착시와 트롱프뢰유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국내외 학위 논문 및 학술 논문 자료, 인터넷 자료, 전문 서적, 패션 전문 사이트를 참고하여 체계를 정립하였고 이에 따라 트롱프뢰유 기법의 사례를 분석하여 현상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트롱프뢰유 기법이 다시금 급격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최근 3년간 발표된 2021년 S/S 컬렉션부터 2023년 F/W까지의 해외 4대 컬렉션인 파리(Paris), 밀라노(Milan), 뉴욕(New York), 런던(London) 네 개 도시의 프레타 포르테(Pret-A-Porter),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 컬렉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의 사례는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옷의 소재를 주제로 인체, 의복, 오브제, 자연물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인체의 모방과 복제, 의복의 재현, 오브제의 도입과 자연물의 재현으로 분류하였다. 인체의 모방과 복제는 인체의 내부 또는 인체의 한 부분을 묘사하거나 의복에 이미지로 중첩시켜 표현하는 방법 등으로 표현하는 인체의 재현과 인체 자체를 오브제화하여 외형에 있어서 확대, 축소하거나 재조립하는 방식의 왜곡성을 나타내는 인체의 전치로 분류하였다.
의복의 재현은 소재 자체를 전혀 다른 소재로 느껴지도록 프린팅하거나 인위적으로 평면에 주름을 표현하는 착시를 일으킨다. 디테일로는 포켓, 단추, 지퍼 같은 디테일적인 요소를 실재인 듯이 입체로 프린팅 하거나 실제로 착용한 듯한 착시를 일으키는 표현 방법이다. 또한 한 겹의 의복을 여러 겹으로 겹쳐 착용한 것처럼 보이는 기법으로 다른 소재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컬러의 대비를 이용해 두 벌을 입은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오브제의 도입은 평범한 물체를 의복과 접목시켜 인체와 의복의 형태가 인체의 형상과 실루엣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내어 인체의 외형을 무시함으로써 의복의 형태를 원하는 실루엣으로 표현하여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방식으로 의복에 오브제를 도입하여 왜곡된 조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연물의 재현은 식물과 과일 또는 동물과 같은 자연물을 모방해 오브제화하여 의복과 결합해 실재인지 허구인지 알 수 없도록 시각적 충격을 주는 기법으로 익숙한 형태를 새롭게 재탄생하여 비현실적인 생명체로 만들어내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에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은 패션 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현대 패션에 트롱프뢰유 기법이 사용되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 시각적 착시로 즐거움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착시의 현상으로는 환상성, 유희성, 공간성, 왜곡성 네 가지의 현상이 도출되었다.
첫째, 환상성은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해내어 익숙한 것이 아닌 초월적인 가상현실을 통해 낯섦과 부조화를 통하여 현실에서 벗어나 결핍된 부분에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며 동화 속이나 영화 속에서 현존할 것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새로운 형성물을 통하여 환상성을 느끼게 하며 상상력의 범위를 넓히며 신선한 미적 의식을 제공한다.
둘째, 유희성은 키덜트적 유희성과 탈현상으로 분류된다. 두 가지는 모두 인간의 본질인 유희로 순수한 재미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며 키덜트적 유희성은 나이와 관계없이 어린아이의 심리상태로 돌아가 현대 사회에서 받고 있는 스트레스를 피하고자 하며 착시를 통하여 정신적 자유성을 부여한다. 탈현상으로는 우리가 알고 있던 이미지에서 벗어나 본 목적과는 다르게 상상하지 못한 모습으로 왜곡되어 낯섦에서 오는 시각적 충돌로 재치를 유발하며 유희성을 나타낸다.
셋째, 공간성은 평면의 분리와 가상공간으로 분류된다. 대상이 가지고 있는 공간성을 넘어 착시를 통해 새로운 공간성을 형성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평면의 분리는 대상과 배경을 분리하여 2차원의 평면을 3차원의 입체로 착각하게 하며 원단과 원단 사이에서 오는 중량감 또는 컬러의 대비로 서로 다른 중량감을 주어 중첩의 착시를 제공한다. 가상공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물에 대한 공간감을 착장에 대입하여 무엇인지 알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평소에 인지하는 깊이감으로 착각을 주어 공간감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왜곡성은 신체의 왜곡과 복식의 왜곡으로 분류된다. 두 가지의 왜곡성은 표본이 되는 대상을 자연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사실과 다르게 모순되어 왜곡된 상황이라는 특징이 있다. 신체의 왜곡으로는 본래의 형태의 비례로부터 비정형적인 이질적인 형태로 나타내며 균형을 파괴하여 괴이함을 느끼게 한다. 눈속임을 통하여 인체에 어떠한 억압 없이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자유롭게 왜곡성을 나타낸다. 복식의 왜곡은 인체의 실루엣을 벗어나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형식으로 재탄생되며 현실에서 볼 수 없는 기이한 인체와 의복의 모습에 상상력과 자유성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기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네 가지의 현상을 도출해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기법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출한 네 가지 현상으로 미래의 새로운 디자인에 있어서 표현 영역을 넓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함으로써 대중들과 교감하는 디자인 방식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은 트롱프뢰유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하이엔드 브랜드를 제외한 또 다른 브랜드들을 모두 조사하지 못 했다는 점이 있다. 더 많은 대중에게 접근성이 쉽고 빠르게 퍼지는 SPA 및 소규모 디자이너 브랜드들의 자료를 분석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으며 디테일과 착시에 대한 세부적인 부분까지는 현실로 접하지 못해 사진만으로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트롱프뢰유 기법은 앞으로도 빠른 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확산에 따라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착시의 일원으로 현대 패션과 결합하는 결과를 더욱 도래할 것이다. 소비자의 높아진 미적 의식으로 트롱프뢰유의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이며 그에 따라 트롱프뢰유는 의복의 표현 기법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트롱프뢰유 기법 현상 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방향성을 열어 주며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패션 스타일의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