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9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0

1.3. 연구 구성도 21

2. 이론적 배경 23

2.1. 캐릭터의 개념과 이해 23

2.2. 영웅 서사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유형과 특성 26

2.3. 캐릭터의 시각화와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 32

3. 드라마 〈바이킹스〉에 나타난 캐릭터 연출의 시각화 분석 연구 41

3.1. 드라마 〈바이킹스〉에 대한 문화적 이해 41

3.1.1. 북유럽 신화의 배경과 역사 41

3.1.2. 드라마 〈바이킹스〉 영웅 일대기의 재구성 55

3.2. 분석의 틀 연구 65

3.2.1. 캐릭터 분석에 대한 전문가의 인터뷰 71

3.2.2. 드라마 〈바이킹스〉의 캐릭터 시각화 분석 75

4. 북유럽 신화 소재의 학습만화 캐릭터 디자인 연구 123

4.1. 학습만화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이해 126

4.1.1. 신화를 다룬 학습만화의 현황 126

4.1.2. 학습만화 캐릭터 요소와 디자인 과정 128

4.2. 드라마 〈바이킹스〉 캐릭터 분석을 통한 학습만화 캐릭터 '오딘'의 디자인 제안 130

4.2.1. 컨셉 아트 130

4.2.2. 연출과 동작 142

4.2.3. 분장 147

4.2.4. 의상 154

4.2.5. 소품 168

5. 결론: 연구의 종합 179

참고문헌 181

부록: 전문가 인터뷰 내용 요약정리(Q&A) 187

ABSTRACT 198

표목차

〈표 1〉 연구 구성도 21

〈표 2〉 캐릭터에 대한 논의 요약 25

〈표 3〉 융의 성격유형에 따른 행동 특성 27

〈표 4〉 보글러의 영웅 여정 단계 30

〈표 5〉 영웅 여정에 등장하는 캐릭터 31

〈표 6〉 캐스팅 관련 선행연구 34

〈표 7〉 연기 관련 선행연구 35

〈표 8〉 분장 관련 선행연구 36

〈표 9〉 의상 관련 선행연구 37

〈표 10〉 소품 관련 선행연구 38

〈표 11〉 학습만화 관련 선행연구 39

〈표 12〉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신들 52

〈표 13〉 북유럽 신화 속의 세계관 55

〈표 14〉 바이킹의 생활상 59

〈표 15〉 드라마 〈바이킹스〉의 영웅 서사 63

〈표 16〉 북유럽 신화의 이해 64

〈표 17〉 바이킹 영웅 일대기의 재구성 64

〈표 18〉 바이킹 캐릭터의 시각화를 분석하기 위한 틀 70

〈표 19〉 전문가 인터뷰 내용 72

〈표 20〉 바이킹 영웅 전사 캐릭터의 시각화를 위한 연출 분석의 틀 74

〈표 21〉 체격 기질 유형에 따른 특성 79

〈표 22〉 얼굴 형태가 갖는 이미지 85

〈표 23〉 고개 움직임에 따른 얼굴 표현 88

〈표 24〉 시선 움직임에 따른 얼굴 표현 89

〈표 25〉 시선 움직임에 따른 얼굴 표현 90

〈표 26〉 눈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94

〈표 27〉 눈썹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95

〈표 28〉 코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95

〈표 29〉 입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96

〈표 30〉 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 96

〈표 31〉 패션 스타일링 방법과 연관된 형용사 104

〈표 32〉 색깔로부터 연상되는 사물 및 이미지와 패션 색깔의 이미지 104

〈표 33〉 패션 소재와 이미지 106

〈표 34〉 북유럽 신의 상징물 117

〈표 35〉 드라마 〈바이킹스〉의 캐릭터 시각화 분석 및 학습만화 캐릭터 디자인 참고사항 125

그림목차

〈그림 1〉 오딘(로렌츠 프뢸리크 작, 1844) 44

〈그림 2〉 오딘(18세기 아이슬란드 필사본) 44

〈그림 3〉 발할라(막스 브뤼크너 작, 1896) 45

〈그림 4〉 발할라(카를 에밀 되플러 작, 1905) 45

〈그림 5〉 보물 망치 묠니르를 손에 든 토르(아서 래컴 작, 1910년) 47

〈그림 6〉 거인 트림을 죽이는 토르(프뢸리크 작, 1906년, 채색 지식서재) 47

〈그림 7〉 묶인 로키 (D. 펜로즈 작, 1870년경) 49

〈그림 8〉 로키와 시긴 (마튼 에스킬 륑게 작, 1890년) 49

〈그림 9〉 목걸이(브리싱가멘)를 한 프레이야(제임스 도일 펜로즈 작, 1890년) 50

〈그림 10〉 프레이야와 발키리(카를 에밀 되플러 작, 1905년) 50

〈그림 11〉 이그드라실(울루프 올룹센 바게 작, 1847) 53

〈그림 12〉 기본적인 체격 기질 유형: 내배엽형(En), 중배엽형(M), 외배엽형(Ec) 78

〈그림 13〉 중배엽형 체형 80

〈그림 14〉 Helm of Awe 타투 101

〈그림 15〉 Valknut 타투 101

〈그림 16〉 Yggdrasil 타투 102

〈그림 17〉 Vegvisir Viking Compass 타투 102

〈그림 18〉 오딘(E 번존스 작) 118

〈그림 19〉 오딘(B. E. 포겔베르크 작) 119

〈그림 20〉 토르(아서 래컴 작, 1910년) 120

〈그림 21〉 브리싱가멘을 한 프레이야(제임스 도일 펜로즈 작, 1890년) 121

〈그림 22〉 가나출판사(1990년대)의 제우스(좌)와 아울북의 제우스(우) 127

〈그림 23〉 가나출판사 제우스(좌)와 아울북의 제우스(우)의 분장과 연기 127

〈그림 24〉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에 그려진 오딘 디자인 사례 133

〈그림 25〉 현대의 북유럽 신화 그림책 속 오딘 디자인 사례 134

〈그림 26〉 아울북의 〈마법 천자문〉(좌), 아울북의 〈그리스로마 신화〉(중), 가나출판사의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 신화〉(우), 135

〈그림 27〉 노인을 부축하고 있는 망토를 걸친 바이킹(작가 미상) 156

〈그림 28〉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에 그려진 삽화 속 오딘 투구 디자인 사례 157

〈그림 29〉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 일러스트 속 나그네 오딘 의상 사례(좌,우) 163

〈그림 30〉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의 창 궁니르 삽화들 168

〈그림 31〉 H. L. M(1901)의 오딘 일러스트 속 팔찌 172

실제적용그림목차

〈실제 적용 그림 1〉 오딘 캐릭터 6등신 이하 스타일 스케치 예시 137

〈실제 적용 그림 2〉 중배엽 체형과 영웅형 프로포션을 가진 오딘 전신 스케치 과정 예시 139

〈실제 적용 그림 3〉 오딘 캐릭터 얼굴 디자인 과정 예시 140

〈실제 적용 그림 4〉 오딘 캐릭터 얼굴 정면 스케치 141

〈실제 적용 그림 5〉 오딘 캐릭터 얼굴형 각도별 스케치 과정 141

〈실제 적용 그림 6〉 오딘 캐릭터 생각에 잠기는 동작 143

〈실제 적용 그림 7〉 오딘 캐릭터 한쪽 눈으로 상대를 바라보는 동작 스케치 144

〈실제 적용 그림 8〉 오딘 캐릭터 한쪽 눈으로 상대를 바라보는 동작 채색 145

〈실제 적용 그림 9〉 오딘 캐릭터 한쪽 눈을 감추거나 강조하는 연출. 오딘이 지혜를 위해 한쪽 눈을 내주기 직전의 상황 146

〈실제 적용 그림 10〉 오딘 캐릭터 헤어 스타일 스케치 예시(1) 149

〈실제 적용 그림 11〉 오딘 캐릭터 헤어 스타일 스케치 예시(2) 150

〈실제 적용 그림 12〉 청년 오딘 캐릭터 정면 얼굴 분장 151

〈실제 적용 그림 13〉 청년 오딘 캐릭터 얼굴 분장 스케치 과정 예시 152

〈실제 적용 그림 14〉 청소년, 노년 오딘 캐릭터 정면 얼굴 분장 스케치 153

〈실제 적용 그림 15〉 오딘 캐릭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장의 변화 154

〈실제 적용 그림 16〉 오딘 캐릭터 의상 스케치 과정 예시 158

〈실제 적용 그림 17〉 오딘 캐릭터 투구 스타일 스케치 예시(1) 159

〈실제 적용 그림 18〉 오딘 캐릭터 투구 스타일 스케치 예시(2) 160

〈실제 적용 그림 19〉 오딘 캐릭터 의상 161

〈실제 적용 그림 20〉 Valknut 문양이 들어간 오딘 캐릭터 의상 망토 162

〈실제 적용 그림 21〉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모자 스케치 예시(1) 163

〈실제 적용 그림 22〉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모자 스케치 예시(2) 164

〈실제 적용 그림 23〉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망토 스케치 예시 165

〈실제 적용 그림 24〉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의상 스케치 166

〈실제 적용 그림 25〉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의상 167

〈실제 적용 그림 26〉 바이킹 기본 창 날 디자인 스케치 169

〈실제 적용 그림 27〉 궁니르 디자인 스케치 170

〈실제 적용 그림 28〉 오딘 캐릭터 궁니르 디자인 171

〈실제 적용 그림 29〉 오딘 캐릭터 나그네 변장 시 평범한 창 171

〈실제 적용 그림 30〉 오딘 캐릭터 소품 팔찌 드라우프니르 스케치 예시 173

〈실제 적용 그림 31〉 오딘 캐릭터 소품 팔찌 드라우프니르 173

〈실제 적용 그림 32〉 오딘 캐릭터 소품 어깨 위의 까마귀 후긴과 무닌 스케치 174

〈실제 적용 그림 33〉 오딘 캐릭터 소품 손과 어깨에 배치한 까마귀 후긴과 무닌 스케치 175

〈실제 적용 그림 34〉 오딘 캐릭터 소품 늑대 게리와 프레키 176

〈실제 적용 그림 35〉 오딘 캐릭터 전신 177

사진목차

〈사진 1〉 중배엽형 체형을 갖고 있는 배우 트래비스 핌멜 80

〈사진 2〉 배우 캐서린 윈닉의 모습 81

〈사진 3〉 여전사로 출연한 캐서린 윈닉 81

〈사진 4〉 매력적인 외모를 갖춘 패션모델로 활동하던 때의 트래비스 핌멜 83

〈사진 5〉 드라마 〈바이킹스〉에 출연한 배우들 84

〈사진 6〉 고집스럽고 의지가 강한 이미지를 주는 사각형 얼굴을 한 라그나(좌), 비욘(중)과 롤로(우) 86

〈사진 7〉 섬세하고 머리를 쓰는 이지적인 이미지의 역삼각형 얼굴을 가진 플로키(좌)와 애설스탠(우) 86

〈사진 8〉 라그나의 연기 91

〈사진 9〉 전투 중에 고함을 지르는 롤로 92

〈사진 10〉 분노하는 라그나 92

〈사진 11〉 리더의 이미지를 위해 저음 톤으로 내뱉는 거칠고 비장한 내용의 대사 92

〈사진 12〉 눈을 크고 넓게 분장한 아슬라우그 97

〈사진 13〉 올라간 눈썹을 한 플로키 97

〈사진 14〉 푸른 눈화장을 한 라게르타 98

〈사진 15〉 푸른 물감을 칠한 조세핀 98

〈사진 16〉 우아한 이미지의 시기 99

〈사진 17〉 귀엽고 밝은 이미지의 주디스 99

〈사진 18〉 크루 컷을 한 라그나 100

〈사진 19〉 호크 트위스트를 한 라그나 100

〈사진 20〉 흰 수염과 대머리의 라그나(우) 100

〈사진 21〉 바이킹 문신을 한 라그나 102

〈사진 22〉 바이킹 문신을 한 롤로 102

〈사진 23〉 라그나가 착용한 갑옷 107

〈사진 24〉 라그나가 착용한 갑옷 107

〈사진 25〉 가죽 소재 갑옷 108

〈사진 26〉 가죽 소재 갑옷 108

〈사진 27〉 딱딱한 질감의 의상 109

〈사진 28〉 부드러운 질감의 의상 109

〈사진 29〉 Vendel 배 무덤에서 출토된 투구 110

〈사진 30〉 바이킹의 전투 장면 110

〈사진 31〉 바이킹 시대의 평상복 111

〈사진 32〉 망토를 걸친 바이킹 112

〈사진 33〉 육탄전을 벌이는 라그나와 롤로 113

〈사진 34〉 프랑스 귀족이 된 롤로 113

〈사진 35〉 샤를 왕의 화려한 의상과 옥좌 113

〈사진 36〉 프랑크 왕국의 기슬라 공주 113

〈사진 37〉 웨섹스 왕 액버트 114

〈사진 38〉 웨섹스 왕자와 왕자비 114

〈사진 39〉 바이킹의 무기, 검과 도끼 115

〈사진 40〉 방패와 활을 든 여전사 라게르타의 모습 116

〈사진 41〉 홀을 들고 권좌에 앉아 있는 라그나 118

〈사진 42〉 오딘과 같이 창을 쥔 라그나 119

〈사진 43〉 도끼를 들고 허리띠를 한 롤로 120

〈사진 44〉 맹세의 팔찌를 지닌 라그나 120

〈사진 45〉 십자가를 착용한 라그나 121

〈사진 46〉 목걸이를 착용한 라게 르타 122

〈사진 47〉 목걸이를 착용한 아슬라우그 122

〈사진 48〉 바이킹스 속 남성 브레이드 헤어스타일과 반묶음 헤어스타일 148

〈사진 49〉 바이킹들의 창 유물 105) 및 드라마 〈바이킹스〉 속의 창 169

〈사진 50〉 바이킹스 속 팔찌와 가죽 장식 172

초록보기

 신화는 학습만화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콘텐츠이다. 그 중에서 북유럽 신화에 대한 관심과 문화적 의미는 최근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하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줄지어 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유럽 관련 소재를 다룬 학습만화 작품은 많지 않은데 그 이유는, 텍스트(신화)에 함축된 추상적인 상태의 캐릭터를 시각 이미지로 구현하는, 이른바 연출작업에서 요구하는 구현의 어려움 때문이다. 북유럽 신화와 관련된 그간의 국내 연구 또한 스토리텔링을 위주로 한 캐릭터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에 머물러 있으며, 캐릭터를 형상화하는 시각화 연구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한 학습만화의 창작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본론 2장에서는 캐릭터를 구현하는 시각화 논의를 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캐릭터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캐릭터는 극의 서사를 이끌어 나가는 주체이자 관객에게 극의 내용을 전하는 전달자 역할을 하는 허구적 존재이다. 캐릭터는 극의 서사 전개를 주도하며 관객들로부터 공감을 얻어내는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하므로, 캐릭터를 어떻게 설정하고 구현하는가는 콘텐츠 창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연관 지어 영웅 서사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융(C. G. Jung)의 원형 이론 및 캠벨(1992)과 보글러(2013)가 주장한 영웅 여정 단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 효과적인 캐릭터 시각화 분석을 위하여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캐릭터 시각화 분석에 필요한 분석의 틀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먼저 드라마 〈바이킹스〉(2013)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즉, 드라마에서 등장인물들의 정신세계였던 북유럽 신화는 물론, 그것이 영향을 끼친 바이킹 세계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드라마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알아보았다. 여기에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검증 과정을 거쳐 드라마 캐릭터의 시각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틀을 제시하였고, 그 틀에 따라 드라마 〈바이킹스〉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를 캐스팅, 연기 연출, 분장, 의상, 소품으로 나누어 시각화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이어서 4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드라마 〈바이킹스〉의 캐릭터 시각화 분석을 토대로,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한 학습만화 창작을 위하여 주인공 오딘 캐릭터를 실제로 디자인해 보았다. 앞 장에서 극 중 배역에 캐릭터를 부합시키기 위한 연출 과정, 이른바, 캐릭터 시각화를 캐스팅, 연기, 분장, 의상, 소품 등 다섯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응용하여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한 학습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실제로 디자인해 보았다. 드라마 〈바이킹스〉에는 주인공 라그나를 비롯한 개성 있는 캐릭터들이 많이 등장한다. 이들에게는 제각기 다른 북유럽 신들의 모습이 덧씌워져 있는데 특히나 주인공 라그나에게는 북유럽 신들 가운데 주신인 오딘의 특징이 상당 부분 투영되어 있다. 이처럼 드라마 〈바이킹스〉의 시각화 분석을 학습만화 캐릭터 디자인에 적용하여 드라마 주인공인 라그나에게 투영되었던 북유럽 신화 속 최고의 신이면서, 또한 학습만화의 주인공인 '오딘'의 캐릭터를 디자인해 보았다.

본 연구는 넷플릭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바이킹스〉(2013)를 대상으로, 북유럽 신화와 바이킹의 특징이 드라마 캐릭터에 어떻게 연출되어 있는가에 관한 시각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다룬 학습만화 캐릭터 디자인에 실제로 접목하는 창작과정을 통해, 신화 캐릭터의 시각화 과정을 입체적으로 제시함으로 구체적인 방법론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창작 방식은 학습만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캐릭터를 시각화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