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목적 및 연구 문제 18

Ⅱ. 이론적 배경 20

1. 예술적 창의성 20

1)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의 개념 20

2) 예술적 창의성의 영향 요소 21

3) 예술적 창의성의 구조 22

4) 예술적 창의성의 측정 요인 24

5) 예술적 창의성의 선행연구 27

2. 환경요인 30

1) 환경의 개념 30

2)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의 구조 33

3)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의 측정 요인 34

4)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의 선행연구 36

3. 긍정심리자본 38

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38

2) 긍정심리자본의 구조 39

3) 긍정심리자본의 측정 요인 42

4) 긍정심리자본의 선행 연구 43

4. 각 변수 간의 관계 44

1)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 45

2)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과 예술적 창의력의 관계 46

3) 긍정심리자본과 예술적 창의력의 관계 47

Ⅲ. 연구방법 50

1.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50

2. 연구 대상 52

3. 연구 절차 53

4. 측정 도구 54

1)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 54

2) 학교환경과 가정환경 척도 55

3) 예술적 창의성 척도 56

4) 긍정심리자본 척도 57

5. 자료 분석 57

Ⅳ. 연구 결과 58

1. 기초통계분석 58

1) 기술통계분석 58

2) 변수별 상관관계 59

2. 가설검증 61

1) 환경요인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61

2) 환경요인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분석 63

3) 긍정심리자본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67

4) 긍정심리자본이 환경요인과 비동조성 사이 매개효과 69

5) 긍정심리자본이 환경요인과 미적감수성 사이 매개효과 72

3. 가설검증 결과 76

Ⅴ. 결론 및 제언 77

1. 논의 및 결론 77

2. 제언 및 한계점 83

1) 제언 83

2) 한계점 84

참고문헌 85

부록 111

〈부록 1〉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112

〈부록 2〉 긍정심리자본 114

〈부록 3〉 예술적 창의성 116

Abstract 118

표목차

〈표 3-1〉 설문지 구성 및 내용 55

〈표 3-2〉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의 척도 56

〈표 3-3〉 예술적 창의성의 척도 56

〈표 3-4〉 긍정심리자본의 척도 57

〈표 4-1〉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결과 58

〈표 4-2〉 변수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0

〈표 4-3〉 비동조성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2

〈표 4-4〉 미적감수성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3

〈표 4-5〉 자기효능감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4

〈표 4-6〉 회복탄력성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5

〈표 4-7〉 희망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5

〈표 4-8〉 낙관주의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6

〈표 4-9〉 비동조성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7

〈표 4-10〉 미적감수성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 분석 결과 68

〈표 4-11〉 환경요인과 비동조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70

〈표 4-12〉 환경요인과 비동조성 사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70

〈표 4-13〉 희망이 환경요인과 비동조성 사이 매개효과 71

〈표 4-14〉 낙관주의가 환경요인과 비동조성 사이 매개효과 72

〈표 4-15〉 자기효능감이 환경요인과 미적감수성 사이 매개효과 73

〈표 4-16〉 회복탄력성이 환경요인과 미적감수성 사이 매개효과 74

〈표 4-17〉 희망의 환경요인과 미적감수성 사이 매개효과 74

〈표 4-18〉 낙관주의의 환경요인과 미적감수성 사이 매개효과 75

〈표 4-19〉 가설검증 결과표 76

그림목차

[그림 3-1] 연구 모형 50

[그림 3-2] 연구 절차 54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620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긍정심리자본이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환경요인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예술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요인의 하위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은 예술적 창의성의 하위변수인 비동조성과 미적감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요인인 학교환경과 가정환경이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낙관주의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 중 낙관주의 변인의 경우에만 비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동조성의 총 변화량 중 37.5%가 낙관주의에 의해 설명되었다. 반면,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등은 미적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비동조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학교환경, 가정환경과 미적감수성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후난성 예술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예술적 창의성과 경쟁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의 긍정적 심리적 자본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가정환경 보다 학교환경이 증진될 수 있도록, 통제적인 분위기보다는 자유로움의 환경 속에서 성장해갈 수 있는 학교와 사회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