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26
1. 연구 목적과 의의 26
2. 연구에 관한 문제 제기 28
3. 연구 방법과 범위 28
1) 연구 방법 28
2) 연구 범위 29
4. 선행 연구 31
Ⅱ. 리얼리즘의 이론적 배경과 표현 35
1. 리얼리즘의 정의와 형성 과정 35
1.1. 리얼리즘의 개념 35
1.2. 리얼리즘의 배경 37
1.3. 리얼리즘의 전후 미술운동 비교 39
1.4. 리얼리즘 표현의 미술학적 가치 43
2. 연리문의 이론적 배경 45
2.1. 연리문 도자의 기원과 발전 45
2.2. 중국의 연리문 46
2.3. 한국의 연리문 59
2.4. 서양의 연리문 62
2.5. 일본의 연리문 70
2.6. 연리문 장식 문양의 표현 형식과 제작 방법 73
2.7. 연리문도자 표현양식 분류 76
3. 현대도예 리얼리즘 표현 77
3.1. 현대도예에 표현된 리얼리즘 특징 77
3.2. 리얼리즘 현대도예 작가 연구 79
Ⅲ. 연리문 도자에 나타난 리얼리즘 표현에 관한 연구 89
1. 연리문 도자 조형의 종류와 리얼리즘 표현 89
1.1. 실용적인 조형 90
1.2. 생체모방 조형 92
1.3. 이형적(異形的)조형 100
2. 리얼리즘 연리문의 표현 102
2.1. 식물 문양 103
2.2. 동물 문양 105
2.3. 풍경 문양 107
2.4. 문양의 색채 표현 108
3. 기법의 융합적 표현 110
3.1. 리얼리즘 도자 회화와 연리문 110
3.2. 리얼리즘 도자 조각과 연리문 112
4. 연리문 도자의 리얼리즘 표현 특징 114
4.1. 객관성 114
4.2. 물상성(物像性) 116
4.3. 실험성 118
4.4. 시사(示唆)성 121
4.5. 우의성 123
Ⅳ. 리얼리즘 표현의 연리문 도자 작가 연구 126
1. 선행작가 선정기준 126
2. 마츠이 코세이 128
3. 조일묵 132
4. 마이클 셰릴(Michael Sherrill) 136
5. 주디스 드 브리즈(Judith de vries) 141
6. 코디 호이트(Cody hoyt) 144
7. 켄지 타야마(田山健治) 148
8. 타카하시 유키코(高橋由紀子) 152
Ⅴ. 연구자와 선행작가 비교분석 155
1. 리얼리즘 이론체계에 근거하여 제시된 창작모델 155
2. 현대도예가의 연구자 작품에 대한 평론 160
3. 연구자와 선행 작가의 비교·분석 162
Ⅵ. 결론 164
참고문헌 166
Abstract 170
〈표-1〉 리얼리즘 계승 및 비판과 네오클라시즘 및 낭만주의 분석 40
〈표-2〉 임프레션리즘, 내츄럴리즘, 하이퍼리얼리즘 계승과 리얼리즘 비평 차이점 분석 42
〈표-3〉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당나라 연리문 기물 1 47
〈표-4〉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당나라 연리문 기물 2 48
〈표-5〉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당나라 연리문 기물 3 50
〈표-6〉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당나라 연리문 기물 4 51
〈표-7〉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송나라 연리문 기물 53
〈표-8〉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중국 요금 시기의 연리문 기물 55
〈표-9〉 중국 연리문 도자 대표 예술가 작품 56
〈표-10〉 중국 고금의 연리문 도자 작품에 대한 비교와 분석 58
〈표-11〉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한국 고려 시기의 연리문 기물 60
〈표-12〉 한국 연리문 도자 대표 예술가 작품 61
〈표-13〉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서양의 연리문 기물 1 64
〈표-14〉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서양의 연리문 기물 2 66
〈표-15〉 세계 각지 박물관 소장기관의 서양의 연리문 기물 3 68
〈표-16〉 서양 연리문 도자 대표 예술가 작품 69
〈표-17〉 일본 연리문 대표 예술가 작품 71
〈표-18〉 추상적인 문양의 표현 74
〈표-19〉 구상적인 문양의 표현 75
〈표-20〉 연리문도자 표현양식 분류 76
〈표-21〉 캐롤 구트로(Carol Gouthro) 리얼리즘 표현 도예 작품 80
〈표-22〉 알렉산드로 갈로 리얼리즘 표현 도예 작품 82
〈표-23〉 루카스 아스톤 리얼리즘 표현 도예 작품 84
〈표-24〉 피비 스콧 리얼리즘 표현 도예 작품 86
〈표-25〉 위에 언급한 작가들의 리얼리즘에 대한 비교 87
〈표-26〉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실용적인 조형 종류 91
〈표-27〉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동물 조형 종류 1 95
〈표-28〉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동물 조형 종류 2 96
〈표-29〉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동물 조형 종류 3 96
〈표-30〉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동물 조형 종류 4 97
〈표-31〉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식물 조형 종류 1 98
〈표-32〉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기물 조형 종류 1 100
〈표-33〉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생체모방 기물 조형 종류 2 100
〈표-34〉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이형적 기물과 조형 표현 종류 101
〈표-35〉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식물 문양 '꽃'의 표현 1 104
〈표-36〉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식물 문양 '나뭇잎'의 표현 1 105
〈표-37〉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동물 문양 표현 종류 1 107
〈표-38〉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연리문 도자의 풍경 문양 표현 108
〈표-39〉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도자 회화와 연리문 표현 111
〈표-40〉 대표적인 예술가의 리얼리즘 도자 조각과 연리문 표현 114
〈표-41〉 마츠이 코세이 작가소개 130
〈표-42〉 조일묵 작가소개 135
〈표-43〉 마이클 셰릴(Michael Sherrill) 작가소개 139
〈표-44〉 주디스 드 브리즈(Judith de vries) 작가소개 143
〈표-45〉 코디 호이트(Cody hoyt) 작가소개 147
〈표-46〉 켄지 타야마(田山健治)작가소개 150
〈표-47〉 타카하시 유키코(高橋由紀子)작가소개 153
〈표-48〉 시리즈1 158
〈표-49〉 시리즈2 159
〈표-50〉 시리즈3 161
〈표-51〉 연구자와 선행 작가의 비교·분석 162
〈그림1〉 쿠르베, 〈화가의 작업실(The Artist's Studio)〉, 1854 ~ 1855sus, 유화, 361.5cmx597.5cm, 프랑시 파리 오르세 박물관 소장 38
〈그림2〉 쿠르베, 〈오르낭의 매장(Burial at Ornans)〉, 1849 ~ 1850년, 유화, 315cmx550cm, 프랑스〉리 오르세 박물관 소장 38
〈그림3〉 〈모르트풍텐 추억〉, 코로, 캔버스유화, 1864년, 64cm x 88cm, 프랑스 오르셰 미술관 소장 39
〈그림4〉 〈만종〉, 밀레. 캔버스유화, 1859年, 55.6cm x 66cm, 프랑스 오르셰 미술관 소장 39
〈그림5〉 〈돌깨는 사람들(The Stone Breakers)〉, 쿠르베, 캔버스 유화, 1849年, 170cm x 240cm, 드레스덴 국립박물관 39
〈그림6〉 연리문 기마사렵용(絞胎騎馬射獵俑), 높이 36.2cm, 길이 30cm, 중국 섬서역사박물관(映西磨史博物館) 47
〈그림7〉 연리문 수우(紋胎水孟), 중국 북경고궁박물원(北京故宮博物院) 47
〈그림8〉 연리문 삼족반(紋胎三足盤), 중국 북경고궁박물원(北京故宮博物院) 47
〈그림9〉 공현요(鞏縣窯) 연리문 황유개관(絞胎黃釉蓋罐), 미국 보스턴박물관 47
〈그림10〉 연리문 복수맥침(紋胎伏獸脈枕) 48
〈그림11〉 연리문 접시(紋胎盤) 48
〈그림12〉 연리문 이배(紋胎耳杯) 48
〈그림13〉 연리문 고족합(紋胎高足金) 48
〈그림14〉 황유교화여의형침(黄釉绞花如意形枕) 높이 8cm, 길이 12.5cm, 넓이 9.3cm,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50
〈그림15〉 삼채목영문상형침三彩木瘿纹箱形枕) 높이 7.2cm, 면 15.4cm x 9.2cm, 밑단 13.1cm x 9.2cm,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50
〈그림16〉 황유교화여의형침(黄釉绞花如意形枕) 높이 10cm, 넓이 14.7cm, 길이 21.5cm, 중국 소주박물관 50
〈그림17〉 연리문 그릇(絞胎碗) 51
〈그림18〉 삼족교태완(三足紋胎碗) 51
〈그림19〉 연리문 삼족로(紋胎三足爐) 높이 11cm, 입구 직경 10.7cm, 발 직경 15.8cm 중국북경고궁박물원 51
〈그림20〉 당양욕요연리문 그릇(當陽峪絞胎碗) 높이 6.2cm, 구경 12.8cm 중국 오한기박물관〈(敖漢旗博物館) 53
〈그림21〉 당양욕요연리문 그릇(當陽峪絞胎碗) 높이 6.8cm, 구경 15.2cm, 족경 6.1cm 중국 상해박물관 53
〈그림22〉 녹유 연리문 주전자(綠釉絞胎壺) 높이 9.5cm, 구경 3cm, 족경 5.4cm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53
〈그림23〉 연리문 항아리(絞胎罐), 높이 9cm, 구경 3.6cm, 맡단 직경 5.2cm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53
〈그림24〉 녹유 연리문 사발(绿釉绞胎钵) 55
〈그림25〉 연리문 사발(绞胎钵) 55
〈그림26〉 연리문 그릇(绞胎碗),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55
〈그림27〉 연리문 고족배(高足杯), 중국내몽골문물고고연구소 55
〈그림28〉 장보군(張保軍) 56
〈그림29〉 시전주(柴戰柱) 56
〈그림30〉 백월(白月) 56
〈그림31〉 홍장량(洪張良) 56
〈그림32〉 중국 섬서역사박물관 소장, 중국 당나라 연리문 도자 베개 58
〈그림33〉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중국 송나라 연리문 도자 그릇 58
〈그림34〉 하북성민족박물관 소장, 중국 금나라 연리문 사발 58
〈그림35〉 〈총중소(叢中笑)〉 장보군 58
〈그림36〉 청자연리문완, 고려12세기,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60
〈그림37〉 연리문 합, 12세기, 삼성리움박물관 60
〈그림38〉 노경조 61
〈그림39〉 서국진 61
〈그림40〉 조일묵 61
〈그림41〉 조선현 61
〈그림42〉 존 드와이트의 공장, 영국(프롬), 1670-1859년, 1685-1690년. 높이 26.7cm, 마주리주 캔자스시티 넬슨-옛킨스 미술관 64
〈그림43〉 머그컵, 프란시스 광장, 요크셔, 1680년. 높이 8.89cm, 노스캐롤라이나 예술 박물관 64
〈그림44〉 컵, 사무엘 베이어, 스태퍼드셔, 1740년, 연유 마노 도자, 높이 11.43cm 64
〈그림45〉 디쉬, 스태퍼드셔, 1780년. 연유 마노, 직경 16.51cm 64
〈그림46〉 찻주전자, 스태퍼드셔, 1755. 연유 .에깃웨어 높이 14.28cm(Chipstone 66
〈그림47〉 찻주전자, 잉글랜드 스태피드셔, 1755. 연유 에깃웨어. 높이 14.6cm 66
〈그림48〉 찻주전자, 스테피드셔, 1750, 연유에깃웨어. 높이 12.75cm 66
〈그림49〉 포링거(Porringer), 압트, 프랑스, 1770. 연유 에깃웨어, 길이 24.13cm.(Chipstone 재단) 67
〈그림50〉 머그컵과 주전자 조각, 영국 스태퍼드셔, 1785. 진주 그룻 67
〈그림51〉 담뱃대, 에마뉘엘 드루(Emanuel Drue), 미국 메릴랜드 주, 1650-1669. 도기 67
〈그림52〉 피처(Pitcher), 미국 도자기 회사, 버먼트주 베닝턴, 1853. 연유 마노, 높이 28.89cm 68
〈그림53〉 꽃병, 에반스 도자기, 1950, 높이 26.67cm 68
〈그림54〉 꽃병, 미국 북쪽의 주, 노스캐롤라이나, 1930, 높이 24.13cm 68
〈그림55〉 도로시 페이블맨(Dorothy Feibleman) 69
〈그림56〉 토마스 호들리(Thomas Hoadley) 69
〈그림57〉 덴마크 예술가 한스 멍크 안데르센(Hans Munck Andersen) 69
〈그림58〉 프랑수와즈 요리스(Francoise Joris) 69
〈그림59〉 마츠이 코세이 71
〈그림60〉 이토 세키스이 71
〈그림61〉 오가타 카미오 71
〈그림62〉 사쿠모토 토모코 71
〈그림63〉 점상문(點狀紋) 74
〈그림64〉 조형문(条形纹) 74
〈그림65〉 방격문(方格紋) 74
〈그림66〉 자연문(自然紋) 74
〈그림67〉 요조문(繞條紋) 74
〈그림68〉 권상문(卷狀紋) 74
〈그림69〉 편직문(編織紋) 74
〈그림70〉 뉴전절첩문(扭轉折疊紋) 74
〈그림71〉 십자형문(十字形紋) 74
〈그림72〉 V자형문(V字形紋) 74
〈그림73〉 화문(花紋) 75
〈그림74〉 깃털문(羽毛紋) 75
〈그림75〉 버섯문(蘑菇紋) 75
〈그림76〉 선형문(扇形紋) 75
〈그림77〉 풍차형문(風車形紋) 75
〈그림78〉 1Aurlia gouthroii erodium,24.5x14cmx14cm 80
〈그림79〉 2Aurlia gouthroii erodium,24.5x14cmx14cm 80
〈그림80〉 1Anthozoa Fulfillmen,26cmx17cmx7cm 80
〈그림81〉 2Anthozoa Fulfillmen,26cmx17cmx7cm 80
〈그림82〉 Anthozoa gouthorii Viridus, 7cmx13cmx7 cm 80
〈그림83〉 Anthozoa gouthroii chromatelli,6cmx10cmx6cm 80
〈그림84〉 turkey vulture, 20cmx12.5cmx11.5cm 82
〈그림85〉 Beginning of a great advebture, 33cmx17cmx13cm 82
〈그림86〉 tattoo iguana, 24cmx7cmx10cm 82
〈그림87〉 come fly with me, 10cmx24cmx19cm 82
〈그림88〉 scripta elegans,16cmx17cmx9cm 82
〈그림89〉 she belongs to me, 12cmx10cmx8cm 82
〈그림90〉 immersion 84
〈그림91〉 in pendulum,triptych, 26.5cmx18.5cmx12cm 84
〈그림92〉 asunder within centerless totality, 10. 5cmx62cmx33cm 84
〈그림93〉 resting place 84
〈그림94〉 monolith#3, 83cmx31cmx16cm 84
〈그림95〉 cam ary in a coal mind, 64. 6cmx42cmx2.5cm 84
〈그림96〉 within,54cmx15cmx 24cm 86
〈그림97〉 without, 37cmx17cm 86
〈그림98〉 withheld, 26cmx27cmx22cm 86
〈그림99〉 see example, 23cmx13cmx7cm 87
〈그림100〉 see example, 18cmx12cmx8cm 87
〈그림101〉 stacked,48cmx30cmx8cm 87
〈그림102〉 마츠이 코세이(松井康成), 서시(西施)〉, 꽃 문양 91
〈그림103〉 이토세키스이 V(伊藤赤水V), 〈육각 항아리〉, 꽃 문양 91
〈그림104〉 장보군(張保軍), 〈자재비화(自在飛花)〉, 꽃 문양 91
〈그림105〉 장보군, 〈총중소(叢中笑)〉, 꽃 문양 91
〈그림106〉 정랍민(程立民), 〈사계평안(四季平安)〉, 자연의 문양 91
〈그림107〉 이문호(李文浩), 〈복수(福壽)〉, 자연의 문양 91
〈그림108〉 이토 세키스이 V, 〈편병(扁瓶)〉, 꽃문양 91
〈그림109〉 이토 세키스이 V, 〈사각병(四角瓶)〉, 꽃 문양 91
〈그림110〉 코바야시 사와코(小林佐和子), 〈금어대반(金魚大盤)〉, 금어문(金魚紋) 91
〈그림111〉 이토 세키스이 V, 〈네모접시(方盤)〉, 꽃 문양 91
〈그림112〉 시미즈 마유미(清水真由美),〈접시(盤)〉, 꽃 문양 91
〈그림113〉 나루미(Narumi), 〈파랑의 시작(藍的開始)〉, 꽃 문양 91
〈그림114〉 마츠이 코세이, 〈문발(文缽)〉, 꽃 문양 92
〈그림115〉 코바야시 사와코 〈다완(茶碗)〉, 꽃 문양 92
〈그림116〉 시미즈 마유미, 미니잔(mini盞)〉, 꽃 문양 92
〈그림117〉 나루미, 〈노을에서 춤을 추다(在黃昏中跳舞〉, 어문(魚紋) 92
〈그림118〉 오지호(吳志豪), 〈복수호(福壽壺)〉, 깃털 문양 92
〈그림119〉 마츠이 코세이, 〈향로(香爐)〉, 꽃 문양 92
〈그림120〉 이토 세키스이 V, 〈찻잎통(茶葉罐)〉, 꽃 문양 92
〈그림121〉 마츠이 『코세이, 〈도합(陶盒)〉, 나뭇잎 문양 92
〈그림122〉 코바야시 사와코, 〈천의무봉-월야산보(天衣無縫-月夜散步〉, 공작 문양 95
〈그림123〉 이무호, 〈대계(大難)〉, 자연 문양 95
〈그림124〉 양진항, 〈길상여의(吉祥如意)〉, 자연문양 95
〈그림125〉 석여명, 〈길양(吉羊)〉, 자연 문양 96
〈그림126〉 양진항, 〈마도성공(馬到成功)〉, 자연 문양 96
〈그림127〉 사전승, 〈서락(鼠樂)〉, 자연 문양 96
〈그림128〉 사전승, 〈사(思)〉, 자연 문양 96
〈그림129〉 주은평(周銀平), 〈우기충천(牛氣沖天)〉, 자연 문양 96
〈그림130〉 양진항, 〈고릴라(猩猩)〉, 자연 문양 96
〈그림131〉 전빙천, 〈수컷매(雄鷹)〉, 자연 문양 97
〈그림132〉 양진항, 〈웅풍(雄風)〉, 자연 문양 97
〈그림133〉 유화문(劉化文), 〈유취(猴趣)〉, 자연 문양 97
〈그림134〉 Heavy With Love 98
〈그림135〉 울금향 시리즈(鬱金香系列〉 100
〈그림136〉 깃털 나뭇잎(羽葉〉 100
〈그림137〉 나비 시리즈(蝴蝶系列)〉 100
〈그림138〉 전안문(田顔文), 〈농가정(農家情)〉 100
〈그림139〉 전빙천, 〈화해정(和諧鼎), 자연 문양 100
〈그림140〉 토미타 미키코(富田美樹子), 〈향합(香盒), 세포 문양 100
〈그림141〉 애벌레의 꿈(毛毛蟲的夢) 102
〈그림142〉 생명의 그릇(生命碗)〉 102
〈그림143〉 만개(盛開) 102
〈그림144〉 검정 백합(黑百合) 102
〈그림145〉 마츠이 코세이, 〈제목 없음〉 104
〈그림146〉 이토 세키스이 V, 〈제목 없음〉 104
〈그림147〉 나루미리(Narumi Ii), 〈번화(繁花)〉 104
〈그림148〉 유디트, 〈봄〉 105
〈그림149〉 마츠이 코세, 〈비가 파초 잎을 때리네(雨 打芭焦)〉 105
〈그림150〉 캠벨(Chris Campbell),〈제목 없음〉 105
〈그림151〉 나루미, 〈첫 번째 데이트(第一 次約會)〉 107
〈그림152〉 유디트, 〈나비 107
〈그림153〉 미즈노 토모로(水野智 路), 〈판다 접시〉 107
〈그림154〉 조일묵, 〈풍경〉 108
〈그림155〉 유디트〈풍경〉 108
〈그림156〉 매켄지(Judy McKenzie) 〈풍경〉 108
〈그림157〉 정이민, 〈금옥만당(金玉滿堂)〉,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1
〈그림158〉 경취, 〈대길도(大吉圖)〉,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1
〈그림159〉 이문호, 〈청향(清香)〉,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1
〈그림160〉 백대양, 〈신방(新放)〉,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1〉 백대양, 〈무(舞)〉,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2〉 백대양, 〈춘운(春韻)〉,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3〉 경취, 〈청향(清香)〉,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4〉 경취. 〈천향(天香)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5〉 전빙천, 〈어락도(魚樂圖)〉, 자연 문양 연리문 도자 114
〈그림166〉 연꽃 116
〈그림167〉 '연꽃' 꽃잎 116
〈그림168〉 〈연(蓮)〉, 축침(祝琛) 116
〈그림169〉 진달래 118
〈그림170〉 〈Undressed Magnolia〉 금속, 도자 118
〈그림171〉 작품 일부 118
〈그림172〉 자기(瓷器) 120
〈그림173〉 잔, 〈중동의 아침 식사〉 120
〈그림174〉 작품 일부 120
〈그림175〉 사과 123
〈그림176〉 지구 자기장 설명도 123
〈그림177〉 사과 123
〈그림178〉 고기떼 125
〈그림179〉 벤젤(Curtis Benzie), 〈바다〉 125
〈그림180〉 작품 일부 125
〈그림181〉 〈훈홍매(熏紅梅)〉, 36.6cmx38.2cm 130
〈그림182〉 입춘대길(立春大吉)〉 34.5cmx36.2cm 130
〈그림183〉 〈제목 없음〉, 40cmx44.8cm 131
〈그림184〉 〈설릉화(雪凌花)〉, 38cmx39.2cm 131
〈그림185〉 〈제목 없음〉, 31.2cmx39.2cm 131
〈그림186〉 〈수중화(水中花)〉, 39.1cmx40cm 131
〈그림187〉 〈열일(烈日)〉, 39.1cmx46.8cm 131
〈그림188〉 〈제목 없음〉, 28.5cmx31.3cm 131
〈그림189〉 사과시리즈 135
〈그림190〉 사과시리즈 콤비네이션 135
〈그림191〉 사과 135
〈그림192〉 사과 135
〈그림193〉 사과 135
〈그림194〉 사과 135
〈그림195〉 〈Mouths To Feed〉 22.2cm x 14cm 139
〈그림196〉 〈Yucca Temple Of The Cool Beauty(Yucca)〉 54cm x 38cm 139
〈그림197〉 〈Alma's Weed〉 14cmx 29cm x 11cm 139
〈그림198〉 〈Brightly Hidden〉 23cmx 22cm x 13cm 139
〈그림199〉 〈Julesvernium(Seaflower)〉 43cmx 20cm x 11.5cm 139
〈그림200〉 〈Heavy With Love〉 14cmx 29cm x 11cm 139
〈그림201〉 Bloom At Night 도자, 금속, 유리 15cmx 9cm x 9cm 140
〈그림202〉 Flourish Rhododendron 도자, 금속, 유리 22cmx 22cm x 18cm 140
〈그림203〉 Undressed Magnolia 도자, 금속 16cmx 22cm x 16cm 140
〈그림204〉 Dream Of Wildflowe 도자, 금속, 유리 11 cmx 13cm x 10cm 140
〈그림205〉 Night Moderne 도자, 금속, 유리 7cm x 10cm x 7cm 140
〈그림206〉 Fire Within 도자, 금속, 유리 9cmx 9cm x 13cm 140
〈그림207〉 나비 시리즈 조합 143
〈그림208〉 화분(火益) 시리즈 조합 143
〈그림209〉 〈나비 그릇〉 19cmx18cmx13cm 144
〈그림210〉 〈깃털 그릇〉 20cmx 12cm x 14cm 144
〈그림211〉 울금향 시리즈 조합 144
〈그림212〉 〈물고기〉 18cmx15cm x16cm 144
〈그림213〉 〈봄〉 26cmx14cm 144
〈그림214〉 〈여름〉 27cmx12cm 144
〈그림215〉 〈가을〉 29cmx15cm 144
〈그림216〉 〈겨울〉 25cmx15cm 144
〈그림217〉 〈제목 없음〉 58.4cmx33cmx15.2cm 147
〈그림218〉 〈제목 없음〉 58.4cmx23cmx17.8cm 147
〈그림219〉 〈제목 없음〉 58.4cmx33cmx15.2cm 148
〈그림220〉 〈제목 없음〉 58.4cmx23cmx17.8cm 148
〈그림221〉 〈제목 없음〉 58.4cmx33cmx15.2cm 148
〈그림222〉 〈제목 없음〉 58.4cmx33cmx15.2cm 148
〈그림223〉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4〉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5〉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6〉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7〉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8〉 토기의 새 시리즈 150
〈그림229〉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0〉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1〉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2〉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3〉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4〉 토기의 새 시리즈 151
〈그림235〉 해바라기문양 항아리 153
〈그림236〉 벚꽃문양 항아리 153
〈그림237〉 공작문양 항아리 153
〈그림238〉 앵무새 문양 항아리 153
〈그림239〉 꽃문양 항아리 153
〈그림240〉 단풍문양 병 153
〈그림241〉 앵무새 문양 접시 154
〈그림242〉 앵무새 문양 접시 154
〈그림243〉 앵무새 문양 주전자 154
〈그림244〉 벚꽃문양 주기 154
〈그림245〉 벚꽃문양 주기 154
〈그림246〉 플라밍고 술잔 154
〈그림247〉 〈조망(眺望)〉 30cmX25cm 158
〈그림248〉 〈여휘(餘暉)〉 30cmX25cm 158
〈그림249〉 〈층만첩장(層巒疊嶂)〉 30cmx25cm 158
〈그림250〉 〈군산준령(群山峻嶺)〉 30cmx25cm 158
〈그림251〉 〈광야(曠野)〉 40cmx30cm 159
〈그림252〉 〈등정(洞庭)〉 40cmx35cm 159
〈그림253〉 〈봄(春)〉 20cmx18cm 159
〈그림254〉 〈여름(夏)〉 20cmx18cm 160
〈그림255〉 〈가을(秋)〉 18cmx15cm 160
〈그림256〉 〈겨울(冬)〉 20cmx18cm 160
〈그림257〉 〈입천〉, 30criK20cm 161
〈그림258〉 〈금수강산(锦绣河山)〉, 25cm 161
현대도예의 관점에서 본다면, 연리문 도자는 다양한 문양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상당히 흥미롭고 도전적인 도자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리얼리즘은 19세기 중반에 나타난 유럽의 예술 양식이며, 전통예술의 낭만주의와 이상주의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물과 현실 생활의 진실한 모습에 대한 묘사를 추구한다. 더욱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리얼리즘 예술 양식은 현실 세계에 대한 예술가의 관찰과 묘사를 강조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예술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감정을 더욱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오늘날까지고 현대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리얼리즘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연리문 도자에 나타난 리얼리즘 표현을 탐구하여 현대도예의 발전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연리문 도자 예술가의 작품과 실제 사례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식물과 풍경을 주관적 내면 표현으로 담아낸 마츠이 코세이, 꽃의 형상을 디자인화하여 문양으로 표현한 이토 세키스이 연리문 도자 작품에 많은 리얼리즘 표현의 특징이 담겨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형식적인 표현에서 창작의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와 자연에 대한 배려를 표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은 연리문 도자에 나타난 리얼리즘 표현에 관한 연구이며, 제2장에서 연리문 도자와 리얼리즘의 개념 및 발전 배경을 정리하였고, 비교와 분석을 통해 리얼리즘 형성 전후에 나타났던 미술운동의 특징을 정리하여 논문 주제의 기반으로 삼았다. 게다가 현대도예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여 현대도예의 리얼리즘에 표현된 현대성, 사회성, 지역성 등 3가지 특징을 고찰하였고, 리얼리즘 표현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표현의 객관성, 물상성, 실험성, 시사성, 우의성 등과 같은 특징을 분류하였다. 우선 전통적인 공예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심미관과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한다는 현대성을 지녔고, 다음으로는 현지 문화의 특색과 생활 방식에 대한 인지와 반영을 나타내는 지역성을 지녔다. 이외에도 창작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객관성과 물상성을 지녔고, 도예가의 새로운 도예 분야를 개척함으로써 도예에 대한 사람들의 흥미와 열정을 끌어내는 실험성과 시사성을 지녔다. 마지막으로는 작품에서 전달하는 메시지와 감정을 통해 사회와 자연에 대한 배려와 의미를 지녔다. 리얼리즘 표현에 사용된 연리문 도자 연구를 탐구하고 널리 보급하는 것은 한편으로 도예 작품의 심미 가치와 실용성을 높이고 사람들의 심미 시야와 문화적 체험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도예 기술과 심미적 발전 기반을 다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대 도예가들이 사회현실과 진실에 관한 문제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에 관심을 갖도록 하며, 도예가들의 사회참여를 진정으로 호소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