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ABSTRACT 7

1. 서론 8

2. 결과 및 고찰 19

2.1. TPMA 리간드 기반의 오스뮴 착물 합성 19

2.2. 폴리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 기반의 산화환원고분자 24

2.3. 폴리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와 1-(3-아미노프로필)이미다졸 이용한 고분자 기반의 산화환원고분자 27

2.4. N, N-다이아크릴아마이드 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기반의 산화환원 고분자 31

3. 결론 41

4. 실험 43

4.1. 시약 및 시료 43

4.2. 장비 44

4.3. 합성 45

4.4. 전기화학적 실험 89

초록보기

 연속혈당측정시스템(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이 적용된 혈당센서 내에서 효율적인 포도당 감지를 위한 산화환원고분자는 필수적이다. 산화환원 고분자는 포도당 산화 시 생성되는 전자를 전극까지 전달해주는 전자전달체와 그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산화환원 고분자는 -0.2 ~ 0 V (Ag/AgCl)에 인접한 산화환원전위를 가져야 하며 포도당에 대한 감응이 좋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트리스-2-피리딜메틸아민(tris(2-pyridylmethyl)amine; TPMA)을 리간드로 가진 오스뮴 착물과 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 기반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합성하였다. 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는 아민 작용기와 반응성이 좋고, 19F NMR을 통해 반응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 혈당 센서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아야 하기에 여러 고분자 매트릭스 중 N, N-다이아크릴아마이드 펜타플루오로페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산화환원고분자가 가장 이상적이다. 합성한 산화환원고분자 적절한 산화환원전위를 가지고 포도당에 대한 감응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