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23

ABSTRACT 27

Ⅰ. 서론 31

1. 연구의 목적 31

2. 연구방법 및 내용 32

3. 선행연구의 검토 34

1) 문헌적 연구사 검토 34

2) 고고학적 연구사 검토 39

Ⅱ.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의 형태 및 교역품 45

1. 대중국 교역의 형태 45

1) 책봉과 조공을 통한 공적인 형태의 교역 45

2) 해상세력 및 지방호족, 상인 등에 의한 사적인 형태의 교역 53

2. 문헌으로 본 대중국 교역품 67

Ⅲ.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로 및 교역거점 74

1.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로 74

2. 발굴 성과로 본 교역거점 唐城鎭 84

1) 唐城鎭(唐恩浦)의 위치 비정 84

2) 발굴성과로 본 唐城鎭(唐城) 94

3. 발굴 성과로 본 교역거점 淸海鎭 144

1) 淸海鎭의 위치 비정 144

2) 발굴성과로 본 청해진 152

Ⅳ. 신라 하대 중국 窯址 분석 및 국내 출토 중국계 자기 180

1. 越州窯, 邢州窯, 長沙窯 180

1) 越州窯 180

2) 邢州窯 189

3) 長沙窯 195

2. 국내 출토 중국계 자기 203

1) 唐城 및 淸海鎭 출토 자기 204

2) 慶州 출토 중국계 자기 214

Ⅴ.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의 전개 양상 및 의미 221

1.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의 전개 양상 221

1) 공무역에서 사무역 번성으로의 전환 221

2) 청해진과 당성진 설치 후의 대중국 교역 전개 224

3) 청해진 폐진 이후의 교역 및 군소해상세력의 변화 228

4) 해상호족세력의 등장 232

Ⅵ. 결론 236

참고문헌 241

표목차

표 1. 신라의 대중국 수출품 I 69

표 2. 신라의 대중국 수출품 II 70

표 3. 신라의 대당 수입품 I 70

표 4. 당성 발굴조사 현황표 94

표 5. 당성 내부 주요 건물지 115

도면목차

도면 1. 근해항로 범위도 75

도면 2. 황해 중부 시인거리 지도 75

도면 3. 동북아 해류도 75

도면 4. 환황해연근항로 76

도면 5. 황해 중부 사단항로 76

도면 6. 도리기의 항로 77

도면 7. 동중국 사단항로 80

도면 8. 황해 남부 사단항로 80

도면 9. 엔닌의 구법여행 경로 83

도면 10. 서긍의 항로 83

도면 11. 당성 인근 산성 분포도 88

도면 12. 1965년 지도(좌) 및 1898년 지도(우) 90

도면 13. 大東輿地圖 상의 당성의 위치 92

도면 14. 근세지도 상의 당성의 위치 92

도면 15. 당성 위치도(위성사진) 93

도면 16. 당성 위치도(온맵 1:15,000) 93

도면 17. 당성 성벽 위치도 95

도면 18. 당성 1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96

도면 19. 당성 2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97

도면 20. 당성 3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98

도면 21. 당성 4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99

도면 22. 당성 5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100

도면 23. 당성 6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101

도면 24. 당성 성벽보수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102

도면 25. 당성 7차 발굴 범위 및 유구현황 103

도면 26. 2000년 2차 조사 시 성벽 실측도 105

도면 27. 2000년 2차 조사 시 성벽 출토 토기(신라 고배) 106

도면 28. 1차성 북벽 및 건물지 평면도 107

도면 29. 1차성 북벽 단면도 108

도면 30. 1차성 남벽 트렌치 입면도 108

도면 31. 1차성 서남벽 평면도 109

도면 32. 1차성 서남벽 성벽구조 모식도 109

도면 33. 2차성 북벽 토축(동벽) 토층도 110

도면 34. 2차성 북벽 토축(서벽) 토층도 111

도면 35. 2차성 서북벽(서벽) 토층도 112

도면 36. 2차성 망해루지 동편 성벽 평·단면도 112

도면 37. 2차성 서북편 성벽 평·단면도 113

도면 38. 망해루 추정 건물지 3D 스캔 도면 116

도면 39. 망해루 추정 건물지 평단면도 117

도면 40. 망해루 추정 건물지 기단렬 평단면도 119

도면 41. 망해루 추정 건물지 온돌구조 평단면도 120

도면 42. 1차성 서쪽부 초석건물지 평단면도 121

도면 43. 2000년 조사 팔각건물지 평단면도 122

도면 44. 1차성 서쪽부 건물지의 연대측정 및 초축 시기 123

도면 45. 망해루 추정 건물지 및 주변 건물지 조성연대 123

도면 46. 집수시설과 주변지역 평면도 126

도면 47. 집수시설 및 주변지역 동-서 층위도 127

도면 48. 집수시설 및 주변지역 남-북 층위도 127

도면 49. 집수시설 입면도 127

도면 50. 집수시설 평단면도 128

도면 51. 연못지 평단면도 129

도면 52. 철기생산 관련 유구 평단면도 130

도면 53. 2차 성벽 동벽 연대측정 결과 131

도면 54. 1차성 출토 장란형토기 135

도면 55. 1차성 출토 원저단경호 135

도면 56. 1차성 출토 골호 및 뚜껑 136

도면 57. 1차성 출토 수막새편 136

도면 58. 2차성 출토 주름무늬병 136

도면 59. 망해루 추정지 접시형 시루 137

도면 60. 1차성 출토 대부완 137

도면 61. 망해루 추정지 '丙'자명 암키와 137

도면 62. 집수지 출토 '大官'명 암키와 138

도면 63. 1차성 출토 '館宅'명 수키와 138

도면 64. 1차 성벽 출토 '唐' 자명 수키와 139

도면 65. 망해루 추정지 암막새 139

도면 66. 1차 성벽 출토 암막새 140

도면 67. 1차성 출토 수막새편 140

도면 68. 집수지 출토 연화문 수막새 140

도면 69. 망해루 추정지 토제마 141

도면 70. 1차성 출토 청동 장식패 141

도면 71. 망해루 추정지 곡옥 142

도면 72. 2차 성벽 출토 석촉 143

도면 73. 1차성 출토 방추차 143

도면 74. 2차성 출토 마제석부 143

도면 75. 대동여지도(1861년) 완도 청해진 위치도 145

도면 76. 지방도(1872년) 상의 완도 진(鎭) 위치도 145

도면 77. 완도 및 장도 청해진 유적 위성 지도 146

도면 78. 완도 청해진의 세력범위도 149

도면 79. 완도 및 장도 근세지도 150

도면 80. 완도 및 장도 청해진 유적 지형도(12,500 : 1 지도, 국토지리정보원) 151

도면 81. 91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54

도면 82. 92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55

도면 83. 93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56

도면 84. 95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57

도면 85. 96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59

도면 86. 97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60

도면 87. 7~8차년도 장도 유적 조사 현황도 161

도면 88. 성곽 서벽 평면도 164

도면 89. 성곽 서벽 단면도 164

도면 90. 서북 雉 외곽 기단석렬 평면도 164

도면 91. 高臺 유구 평면도 165

도면 92. 高臺 유구 입단면도 165

도면 93. 門址 평면도 165

도면 94. 門址 구간 성벽 토층도 165

도면 95. 섬입구 잡목군 평면도 166

도면 96. 섬입구 잡목군 토층도 166

도면 97. 남쪽해안 원목렬 입단면도 167

도면 98. 사당 서당서편 경사면 건물지 평면도 및 입단면도 169

도면 99. 사당 북편 굴립주 건물지 평면도 및 단면도 170

도면 100. 사당남편 굴립주 건물 평면도 및 입단면도 171

도면 101. 매납유구 평면 및 입단면도 172

도면 102. 건물지 출토 육이호 174

도면 103. 수혈유구 출토 호 174

도면 104. 매납유구 출토 대호 174

도면 105. 매납유구 출토 사면편병 175

도면 106. 배수로 출토 사면편병 175

도면 107. 수혈유구 출토 주름무늬병 175

도면 108. 새무늬 평기와 176

도면 109. 인물문(깔깔문) 평기와 176

도면 110. '大十'자문 명문기와 176

도면 111. 연화문 수막새 177

도면 112. 당초문 암막새 177

도면 113. 건물지 출토 청동장식패 177

도면 114. 와적유구 출토 (코)걸이 178

도면 115. 굴립주 건물 철정(鐵鼎) 178

도면 116. 동남치 출토 청동거울 178

도면 117. 매납유구 출토 철정 179

도면 118. 매납유구 출토 철제소반 179

도면 119. 매납유구 출토 청동병 179

도면 120. 당오대 월주요 요장 분포도 184

도면 121. 당대 월요 청자의 중국 내 분포 185

도면 122. 오대 월요 청자의 중국 내 분포 185

도면 123. 당대 형요 유적 분포도 192

도면 124. 장사요 자기의 중국내 유통과 전파 노선도 199

도면 125. 長沙窯國外出土分布圖 202

도면 126. 당성 초석 건물지 출토 형요산 자기 205

도면 127. 당성 연못지 출토 갈유 접시 206

도면 128. 당성 집수지 출토 녹유 호 207

도면 129. 신라 왕성 출토 유물 III 217

도면 130. 황룡사지 출토 유물 I 217

도면 131. 황룡사지 출토 유물 II 218

도면 132. 사천왕사 출토 유물 I 219

도면 133. 사천왕사 출토 유물 II 219

도면 134. 사천왕사 출토 유물 Ⅳ 220

도면 135. 경주 동천동 출토 유물 I 220

도면 136. 경주 동천동 출토 유물 II 220

사진목차

사진 1. 정안산성 위치 65

사진 2. 서북쪽 체성 초축 성벽 외벽면석 65

사진 3. 서북쪽 체성(3차성) 외벽 65

사진 4. 정안산성 출토 명문기와 66

사진 5. 정안산성 출토 명문기와 66

사진 6. 당성 전경(항공사진) 95

사진 7. 2000년 제2차 발굴조사 당시 1차 성벽 105

사진 8. 1차성 북벽 동편 전경 106

사진 9. 1차성 북벽 외성부 토층 106

사진 10. 1차성 북벽 발굴조사 후 전경 107

사진 11. 1차성 북벽 뒤채움부 트렌치 107

사진 12. 1차성 남벽 트렌치 108

사진 13. 1차성 서남벽 전경 108

사진 14. 1차성 서남벽 내벽부 108

사진 15. 2차성 북벽 토축(동벽) 전경 110

사진 16. 2차성 북벽 토축(서벽) 전경 110

사진 17. 2차성 서문지 전경 111

사진 18. 2차성 적석유구 111

사진 19. 성벽 서북벽 석렬 111

사진 20. 성벽 서북벽 와적층 111

사진 21. 외성 트렌치2 전경 113

사진 22. 외성 트렌치5 전경 113

사진 23. 망해루 추정 건물지 전경 117

사진 24. 망해루 추정 건물지 축대부 118

사진 25. 망해루 추정 건물지 계단지 118

사진 26. 망해루 추정 건물지 담장부 118

사진 27. 망해루 추정 건물지 초석 118

사진 28. 망해루 추정 건물지 기단렬 118

사진 29. 망해루 추정 건물지 온돌구조 119

사진 30. 1차성 서쪽부 초석건물지 120

사진 31. 1998년 1차 조사 방형유구 121

사진 32. 2000년 1차 조사 팔각건물지 122

사진 33. 집수시설 전경 128

사진 34. 연못지 전경 129

사진 35. 철기생산 관련 유구 130

사진 36. 원형 미상유구 131

사진 37. 2차 성벽 유구 131

사진 38. 1차성 출토 단각고배 135

사진 39. 1차성 출토 유개호 뚜껑 135

사진 40. 1차성 출토 장란형토기 135

사진 41. 1차성 출토 원저단경호 135

사진 42. 1차성 출토 골호 및 뚜껑 136

사진 43. 1차성 출토 수막새편 136

사진 44. 2차성 출토 주름무늬병 136

사진 45. 망해루 추정지 접시형 시루 137

사진 46. 1차성 출토 대부완 137

사진 47. 망해루 추정지 '丙'자명 암키와 137

사진 48. 집수지 출토 '大官'명 암키와 138

사진 49. 1차성 출토 '館宅'명 수키와 138

사진 50. 1차성 출토 '言'명 명문와 138

사진 51. 외성 출토 '本彼謨'명 명문와 138

사진 52. 1차성 출토 '梁謨'명 명문와 139

사진 53. 1차성 출토 '梁謨'명 명문와 139

사진 54. 1차 성벽 출토 '唐' 자명 수키와 139

사진 55. 망해루 추정지 암막새 139

사진 56. 1차 성벽 출토 암막새 140

사진 57. 1차성 출토 수막새편 140

사진 58. 집수지 출토 연화문 수막새 140

사진 59. 망해루 추정지 토제마 141

사진 60. 1차성 출토 청동 장식패 141

사진 61. 당성 출토 청동 장식패 141

사진 62. 청해진 출토 청동 장식패 141

사진 63. 1차성 출토 '梁謨'명 명문와 142

사진 64. 1차성 출토 '梁謨'명 명문와 142

사진 65. 1차성 출토 청동 초두 142

사진 66. 1차성 출토 철제 솥편 142

사진 67. 망해루 추정지 곡옥 142

사진 68. 2차 성벽 출토 석촉 143

사진 69. 1차성 출토 방추차 143

사진 70. 2차성 출토 마제석부 143

사진 71. 성곽 서벽 전경 163

사진 72. 성곽 서벽 경계석렬 163

사진 73. 성곽 서벽 기단 석렬 163

사진 74. 성곽 서벽 판축층 163

사진 75. 서북 雉 외곽 기단석렬 164

사진 76. 高臺 전경 164

사진 77. 高臺 서쪽 남벽 토층 164

사진 78. 門址 석렬 165

사진 79. 門址 구간 성벽 토층 165

사진 80. 섬입구 원목열 및 잔목군 166

사진 81. 門址 구간 성벽 토층 166

사진 82. 남쪽해안 원목열 세부 166

사진 83. 남쪽해안 원목열 세부 166

사진 84. 남쪽해안 원목렬 세부 167

사진 85. 건물지 전경 169

사진 86. 건물지 기단석렬 정면 169

사진 87. 건물지 기단석렬 측면 170

사진 88. 건물지 내부 연도 170

사진 89. 사당북편 굴립주 건물지 전경 171

사진 90. 사당북편 굴립주 건물지 옆 수혈유구 171

사진 91. 사당남편 굴립주 건물지 전경 172

사진 92. 사당남편 굴립주 세부 172

사진 93. 매납유구 전경 173

사진 94. 매납유구 세부 173

사진 95. 건물지 출토 육이호 174

사진 96. 수혈유구 출토 호 174

사진 97. 매납유구 출토 대호 174

사진 98. 매납유구 출토 사면편병 175

사진 99. 배수로 출토 사면편병 175

사진 100. 수혈유구 출토 주름무늬병 175

사진 101. 새무늬 평기와 176

사진 102. 인물문(깔깔문) 평기와 176

사진 103. '大十'자문 명문기와 176

사진 104. 연화문 수막새 177

사진 105. 당초문 암막새 177

사진 106. 건물지 출토 청동장식패 177

사진 107. 와적유구 출토 (코)걸이 178

사진 108. 굴립주 건물 철정(鐵鼎) 178

사진 109. 동남치 출토 청동거울 178

사진 110. 매납유구 출토 철정 179

사진 111. 매납유구 출토 철제소반 179

사진 112. 매납유구 출토 청동병 179

사진 113. 당성 초석 건물지 출토 형요산 자기 205

사진 114. 당성 연못지 출토 갈유 접시 206

사진 115. 당성 집수지 출토 녹유 호 207

사진 116. 당성 7차 발굴 수습 백자(형요, 정요), 해무리굽 청자(월주요) 207

사진 117. 장도유적 중국계 자기 일괄 I 210

사진 118. 장도유적 중국계 자기 일괄 II 211

사진 119. 장도유적 중국계 자기 일괄 III 212

사진 120. 장도유적 중국계 자기 일괄 IV 213

사진 121. 신라 왕성 출토 유물 I 216

사진 122. 신라 왕성 출토 유물 II 216

사진 123. 신라 왕성 출토 유물 III 217

사진 124. 신라 왕성 출토 유물 IV 217

사진 125. '官'자형 명문 유물 IV 217

사진 126. 황룡사지 출토 유물 I 217

사진 127. 황룡사지 출토 유물 II 218

사진 128. 안압지 출토 유물 I 218

사진 129. 안압지 출토 유물 II 218

사진 130. 불국사 출토 유물 I 218

사진 131. 불국사 출토 유물 II 218

사진 132. 불국사 출토 유물 III 219

사진 133. 불국사 출토 유물 IV 219

사진 134. 사천왕사 출토 유물 I 219

사진 135. 사천왕사 출토 유물 II 219

사진 136. 사천왕사 출토 유물 IV 220

사진 137. 경주 동천동 출토 유물 I 220

사진 138. 경주 동천동 출토 유물 II 220

초록보기

 본 연구는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古代史에서 가장 교역이 활발했던 시기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1차적으로는 7세기 이후 재편된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에서 8~10세기 교역의 전성시대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고찰을 하고, 아울러 文獻史 위주의 교역연구를 벗어나 현재 종합적인 교역에 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고고학적인 유적과 유물을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를 통해 다각도의 시각으로 國際關係史 및 交易史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법은 주로 고고학적인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논제를 진행하고, 병행하여 史料 및 文獻을 참고하여 얼개를 덧붙여 가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라 하대에 해당하는 9~10세기 동북아시아 사회는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고, 地方豪族 및 商人集團들의 권력이 강해지면서 기존의 주류를 이루던 朝貢과 冊封이라는 형태의 公貿易 이외에 해상세력과 상인집단에 의한 사적인 교역형태 즉 私貿易이 성행하게 된다.

또한 貴族의 奢侈와 享樂의 문화도 이러한 사적인 교역의 행태를 더욱 부채질 하였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인하여 漢代에 만들어진 西域과의 육상 실크로드는 더욱 번성하고, 다양한 해상 교역로가 개척되면서 이른바 '交易의 全盛時代'가 도래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및 내용 그리고 연구사 검토를 통해 본 고의 방향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아울러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현재까지 본 고의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신라 하대의 대중국 교역의 형태 및 교역품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1절과 2절에서는 공무역인 책봉과 조공을 통한 공적인 형태의 교역과 해상세력 및 지방호족, 상인집단 등에 의한 사적인 형태의 교역의 성격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지하듯이 9세기의 동북아시아의 교역의 형태는 공무역보다는 사무역의 편중현상이 심하였고, 그것은 지방호족세력 및 상인집단의 성장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지방분권이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아울러서 2장의 3절에서는 『三國史記』, 『冊府元龜』, 『唐會要』 등의 사료를 분석하여 대중국 교역품의 종류와 그 원산지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당시는 서역과 유럽,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諸國과의 교역이 번성하였던 만큼 매우 다양한 물품들이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교역로를 통해서 오고갔고, 그 대부분은 귀족층의 향락을 위한 사치품에 해당하였다.

3장에서는 당시 대중국 해상교역로로 쓰였던 루트를 기존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하였고, 아울러서 당대 교역의 양대 거점이었던 唐城鎭(唐城)과 淸海鎭(將島遺蹟)의 발굴성과를 통해 양 진의 위치비정과 성격에 대해서 검토를 하였다. 당성과 장도유적 모두 8차에 걸쳐 학술발굴이 진행되었는데 당성에서는 돌로 쌓은 테뫼식 산성(1차성)과 판축을 통해 흙으로 쌓은 포곡식 산성(2차성)이 조사되었고, 내부에서도 망해루지 및 문지, 건물지, 집수지 등의 유구가 발굴되었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발굴 조사된 당성이 신라 하대 설진된 당성진임을 확실히 하였고, 당성진의 성격은 주로 사신과 공적인 교류의 창구였음을 밝혀내었다. 아울러 당성(진)의 주요 포구가 화량만의 은수포임을 입증하였다.

장도 유적의 경우는 판축을 통한 연장 약 890m의 토성이 조사되었고, 아울러서 高臺, 석축 건물지, 굴립주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또한 섬의 입구인 해안가 남서쪽~남쪽에 방어시설 또는 접안시설로 추정되는 약 300m의 원목렬이 확인되었고, 성 내부에서는 매납유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통하여 장도 유적이 청해진의 본진이라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결론과는 달리 매납유구의 존재와 『三國史記』의 本紀와 雜志 祭祀條에서 靑海가 본기에서는 莞島로 제사조에서는 助音島로 나뉘는 것, 장도의 면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도는 청해진에 속해있는 방어진지 및 제례용도의 섬이었고 청해진의 본진은 완도이고, 청해진의 세력범위는 완도를 중심으로 진도 해남, 장흥, 고흥의 여러 섬과 해안가를 포함한 내륙으로 약 40km 범위라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4장의 1절에서는 당대에 가장 유행했던 자기 생산 시설로 越州窯, 邢州窯, 長沙窯의 성격과 위치 등에 대해서 중국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월주요는 중국 남방을 대표하는 가마로서 주로 초기 형태의 靑瓷를 생산하여 신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 수출을 하였는데, 월주요에서 생산된 청자는 후대에 고려청자의 시원이 되기도 하였다.

반면 형주요는 중국의 북방을 대표하는 가마로서 주로 白瓷를 생산하였던 가마였다. 본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 역시 신라에서 매우 유행하였고 주로 다완 등으로 경주의 왕족 및 귀족과 사찰을 중심으로 飮茶用으로 수입되었다.

장사요는 중국 남방인 장사, 양주, 계림 등이 핵심 분포지로 주로 청자를 생산한 가마였다. 안사의 난 이후 북방 실크로드가 막히고 남방 해상 도자 루트가 점차 발달하여 8세기 중후기에 번성하였고, 10세기를 전후해서 쇠퇴하였다. 장사요에서 생산된 자기는 신라, 일본 등 동북아시아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유럽, 멀리는 아프리카까지 수출되었다.

4장의 2절에서는 당성 및 장도유적에서 나온 중국계 자기를, 3절에서는 당시 왕경이었던 경주에서 출토된 자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해상루트를 통해 들어온 당시 월주요, 형주요, 장사요, 정요 등의 다양한 유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5장에서는 신라 하대 대중국 교역의 전개 양상과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는데,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이른바 '교역의 전성시대'인 신라 하대에 대중국 교역은 기존의 공무역에만 의존하였던 시대를 넘어서 지방호족과 상인집단에 의한 사무역이 성행하였고, 이것으로 인해 지방분권의 시대가 도래하게 되는 원인과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당성진은 沙飡이라는 6두품의 관리가 파견되어 주로 사신과 관리의 출입국 업무와 공적인 형태의 교역에 중점을 둔 반면에, 청해진은 해도인 장보고를 통해 군소해상세력(해적)들을 제도권 내로 규합하고, 장보고가 가지고 있던 재당신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로 왕족과 귀족의 사치품 및 물자를 조달하는 사무역에 역점을 두었음을 밝혔다.

하지만 이 公私 두 트랙으로 움직이던 교역형태는 장보고의 반란에 의한 청해진의 폐지와 신라 말 혼란기에 당성진(이외 혈구진과 패강진까지)의 기능이 상실되면서 양진에서 차지하고 있던 利權과 統制力이 지역 해상세력에게로 넘어가고, 거대해상호족세력이 등장하는 배경으로 작동하였다. 이후 이러한 배경으로 성장한 호족세력 중 하나인 왕건에 의해서 후삼국의 혼란은 종식되고 한반도는 고려시대로 나아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