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9

1.1. 연구 배경 및 목적 9

1.2. 선행연구 검토 12

1) 만화 번역 연구 12

2) 문화소 번역 연구 15

1.3. 연구 대상 및 방법 20

1.3.1. 연구 대상 20

1.3.2. 연구 방법 및 구성 23

2. 이론적 배경 25

2.1. 만화 25

2.1.1. 만화의 정의 및 특징 25

2.1.2. 만화의 번역 방법 29

2.2. 문화소 34

2.2.1. 문화소의 정의 및 분류 34

2.2.2. 문화소의 번역 방법 41

3. 《Suske en Wiske》의 번역 텍스트 46

4. 《Suske en Wiske》의 문화소 번역 전략 분석 116

4.1. 고유명사군 116

① 인명 116

② 지명 123

③ 건물명 125

④ 상품명 126

4.2. 문화 특수어군 127

① 의류 127

② 친척 128

4.3. 사회적 특수어군 130

① 호칭 131

② 비속어 139

③ 언어유희 141

4.4. 관용어군 143

4.5. 기타 156

4.5.1. 음성상징어 156

4.5.2. 감탄사 162

5. 결론 172

참고문헌 176

ABSTRACT 184

표목차

〈표 1〉 심재기(2004)의 문화소 분류 39

〈표 2〉 조재범(2015)의 문화소 분류 39

〈표 3〉 본 연구의 문화소 번역 범주 41

〈표 4〉 Aixelà(1996)의 문화소 번역 전략 42

〈표 5〉 Pedersen(2011)의 문화소 번역 전략 42

〈표 6〉 본 연구의 문화소 번역 방법 45

그림목차

〈그림 1〉 스머프 10

〈그림 2〉 틴틴의 대모험 10

〈그림 3〉 Suske en Wiske, De Maffe Mar kies 22

〈그림 4〉 만화의 주인공 《Suske en Wiske》 22

〈그림 5〉 내레이션(ㄱ) 28

〈그림 6〉 대사(ㄴ), 설명어(ㄹ) 28

〈그림 7〉 효과어(ㄷ) 28

〈그림 8〉 언어적 곁텍스트(ㅁ) 28

〈그림 9〉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 46

〈그림 10〉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 47

〈그림 11〉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4 47

〈그림 12〉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6 48

〈그림 13〉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7 49

〈그림 14〉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8 49

〈그림 15〉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0 50

〈그림 16〉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0 50

〈그림 17〉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2 51

〈그림 18〉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3 52

〈그림 19〉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5 53

〈그림 20〉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8 54

〈그림 21〉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8 55

〈그림 22〉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0 56

〈그림 23〉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4 57

〈그림 24〉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5 58

〈그림 25〉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8 59

〈그림 26〉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29 60

〈그림 27〉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34 62

〈그림 28〉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38 63

〈그림 29〉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40 64

〈그림 30〉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46 65

〈그림 31〉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54 69

〈그림 32〉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58 70

〈그림 33〉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63 73

〈그림 34〉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71 76

〈그림 35〉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75 77

〈그림 36〉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77 78

〈그림 37〉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83 80

〈그림 38〉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84 81

〈그림 39〉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86 81

〈그림 40〉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91 84

〈그림 41〉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05 89

〈그림 42〉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14 92

〈그림 43〉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22 95

〈그림 44〉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35 98

〈그림 45〉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38 99

〈그림 46〉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40 100

〈그림 47〉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42 101

〈그림 48〉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46 103

〈그림 49〉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50 103

〈그림 50〉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55 106

〈그림 51〉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57 107

〈그림 52〉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61 108

〈그림 53〉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63 109

〈그림 54〉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71 112

〈그림 55〉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77 113

〈그림 56〉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80 114

〈그림 57〉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181 114

초록보기

 Taking inspiration from the dynamic comics culture in Belgium, renowed for its cultural heritage, this research aims to break free from the confines of indirect translation by utilizing the comic series Suske en Wiske (Spike and Suzy) as a method for direct translation from Dutch into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that arise when translating Belgian culturemes from Dutch into Korean through a Belgian comic book and to explore the most suitable translation approaches for addressing these challenges.

In Chapter 2, this research first defines the term 'comic' and examines various definitions proposed by researchers, followed by an in-depth analysis of various elements of the comic, categorized into linguistic and pictorial elements. Subsequently, I analyze the key aspects when translating comics and examine the strategies used by Kaindl(1999) for comic translation and by Celotti(2008) for the translation of linguistic paratext. Furthermore, I look at the definitions and translation strategies proposed by different researchers. This research utilizes as a basis the cultureme category defined by Cho Jaebum(2015) and adapts it to analyze the culturemes in the comic. Drawing up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put forth by Aixelá (1996), Celotti (2008), Pedersen (2011), and Cho Jaebum (2015), this study examines culturemes, utilizing these strategies as a framework during the analysis.

Chapter 3 consists of the original Dutch text of the comic Suske en Wiske: De Maffe Markies alongside the Korean translation, execut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 Chapter 4, the culturemes were categorized into distinct groups, including Proper nouns, cultural-specific terms, socially specific terms, idiomatic expressions, and others (onomatopoeia, interjections). A selection of culturemes from each group was identified within the text and subjected to detailed analysis and exa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due to the limited familiarity of Belgian culture and Belgian cultural words in Korea, a predominant approach observ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volved the utilization of substitution translation method. However, in order to preserve the distinct Belgian character of the comic book, particular emphasis was placed on retaining the original proper nouns.

This study aims to fill a gap in the research on Dutch-Korean translation by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Belgian cultural words from a Belgian comic into Korean. By proposing a translation approach tailored to this context, this paper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investigations in the field of Dutch-Korean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