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4

제2장 이론적 고찰 16

제1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 16

1.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념과 특성 16

1.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기술 활용 현황 20

1.3.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별 대응전략 25

1.4. 4차 산업혁명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 28

제2절 예술분야의 디지털기술 확산 동향 30

2.1. 디지털화에 따른 문화예술 트렌드의 변화 30

2.2. 주요 국가의 예술 관련 디지털 정책 33

2.3. 해외 예술단체의 인식 변화 36

제3장 KBS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필요성 42

제1절 KBS교향악단 운영 현황 42

1.1. 연혁 및 조직 42

1.2. 주요 공연 활동 45

제2절 디지털시대 도래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 49

제4장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유형 및 분석 52

제1절 사례조사 대상 및 방법 52

제2절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유형 53

2.1. 뉴욕 필하모닉(New York Philharmonic) 53

2.2.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London Symphony Orchestra) 57

2.3.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62

2.4.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Philharmonia Orchestra) 67

2.5.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Houston Symphony Orchestra) 71

2.6.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 75

제3절 사례조사 분석 결과 81

3.1. 디지털기술 활용 목적 81

3.2. 디지털기술 활용 정책 82

3.3. 디지털기술 활용 방식 85

3.4. 디지털기술 활용의 한계 및 시사점 92

제5장 전문가 심층면접 및 분석 94

제1절 심층면접 대상 및 방법 94

1.1. 연구문제 94

1.2. 연구방법 및 대상 95

1.3. 질문구성 96

제2절 심층면접 분석 결과 98

2.1. 응답자 특성 98

2.2. 디지털시대의 도래와 예술 산업의 변화 99

2.3. KBS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필요성 102

2.4. 해외 예술단체의 디지털기술 활용 105

제6장 KBS교향악단을 위한 제언 109

제1절 KBS교향악단 디지털 전략 방향성 확립 109

제2절 디지털기술 활용을 위한 전담조직 구성 110

제3절 방송 교향악단으로서 인프라 활용 증대 110

제4절 클래식 음악 대중화를 위한 체험콘텐츠 구축 112

제5절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확대 112

제6절 기업을 연계한 신규사업모델 접목 113

제7장 결론 115

참고문헌 119

부록 127

A. KBS교향악단 최근 3개년 연주활동 현황(2016~2018년) 127

B. KBS교향악단 최근 5개년 정기연주회 프로그램(2014~2018년) 136

Abstract 142

표목차

〈표 1〉 대선후보 주요 4차 산업·과학기술·벤처 공약 12

〈표 2〉 기술적 혁신, 경제 및 사회 구조에 새로운 규범이 적용되는 전환점 17

〈표 3〉 산업혁명의 발전 단계별 특징 및 4차 산업혁명의 특징 18

〈표 4〉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동인: 5대 핵심기술 21

〈표 5〉 기관별 4차 산업혁명의 추동 기술 정의 22

〈표 6〉 주요국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가치 비교 25

〈표 7〉 기술/환경 분야 영향 요인 및 공연계 영향도 31

〈표 8〉 3차, 4차 산업혁명의 문화상품과 서비스 개발과정에서의 차이 32

〈표 9〉 문화비전 2030 디지털기술 관련 정책 요약 36

〈표 10〉 법인의 정원 : 사무국(개정 2017. 8. 22.) 44

〈표 11〉 업무분장 : 사무국(개정 2018. 1. 1.) 45

〈표 12〉 클래식 전문교육 경험 유무 49

〈표 13〉 클래식을 주로 듣는 장소 49

〈표 14〉 클래식을 주로 듣는 형태 50

〈표 15〉 1, 2차 사례조사 교향악단 (가나다순) 52

〈표 16〉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조직 및 디지털기술 인력 55

〈표 17〉 뉴욕 필하모닉 SNS 활성화 정도(2019.5.1.) 57

〈표 18〉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조직 및 디지털기술 인력 58

〈표 19〉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SNS 활성화 정도(2019.5.1.) 62

〈표 20〉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조직 및 디지털기술 인력 63

〈표 21〉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주요 SNS 활성화 정도(2019.5.1.) 66

〈표 22〉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조직 및 디지털기술 인력 68

〈표 23〉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SNS 사이트 활성화 정도(2019.5.2.) 70

〈표 24〉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사무국 조직 구성 72

〈표 25〉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SNS 활성화 현황(2019.5.2.) 75

〈표 26〉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조직 및 디지털기술 인력 77

〈표 27〉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NS 활성화 정도(2019.5.2.) 80

〈표 28〉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전담부서 현황 82

〈표 29〉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관련 인력 운영 현황 83

〈표 30〉 해외 교향악단의 홈페이지 운영 현황 84

〈표 31〉 해외 교향악단의 SNS 운영 현황(2019.5.1.~5.2. 기준) 85

〈표 32〉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방식 특징 91

〈표 33〉 심층면접 전문가 인적 구성 96

〈표 34〉 심층면접 항목 및 항목별 세부 질문내용 97

〈표 35〉 응답자 특성 답변 요약 99

그림목차

〈그림 1〉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이 말하는 4차 산업혁명이란? 17

〈그림 2〉 미국 성인의 예술 활동 참여율(2012) 37

〈그림 3〉 영국 예술기관의 디지털콘텐츠 형태 및 영상 포맷 조사 38

〈그림 4〉 영국 예술기관의 디지털콘텐츠 제공 플랫폼 조사 39

〈그림 5〉 영국 예술기관의 디지털콘텐츠 생산 이유 조사 40

〈그림 6〉 영국 예술기관의 디지털콘텐츠 관람 희망대상 조사 40

〈그림 7〉 재단법인 KBS교향악단 조직도 44

〈그림 8〉 2016년~2018년 KBS교향악단 공연실적 48

〈그림 9〉 뉴욕 필하모닉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56

〈그림 10〉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61

〈그림 11〉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66

〈그림 12〉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69

〈그림 13〉 휴스턴 심포니 무대의 디지털기술 접목 73

〈그림 14〉 휴스턴 심포니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74

〈그림 15〉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디지털기술 접목 79

〈그림 16〉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주요 이미지 79

초록보기

 2016년 처음 등장한 '4차 산업혁명'은 불과 3년 만에 산업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문화예술 산업에서도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클래식 음악을 생산하는 단체, 특히 교향악단은 공연 실황 및 녹음, 음반발매, 방송중계 등 1차적 공연생산물에 역량을 집중해왔으나 SNS를 비롯한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선진 교향악단의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후발주자들에게 상당한 자극과 위협이 되고 있다. 2019년 창단 63주년을 맞는 KBS교향악단은 국립교향악단 및 공영방송 교향악단의 역할을 통해 국민의 사랑을 받아왔으나, 디지털시대를 맞아 세계 최정상의 교향악단들과 경쟁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전략을 준비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사례조사를 통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심층면접을 통한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여 KBS교향악단에게 접목할 수 있는 디지털기술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로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성, 디지털기술의 활용 현황, 국가별 대응전략, 디지털화에 따른 문화예술 트렌드 변화와 해외 예술단체의 인식 변화 등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로 KBS교향악단의 조직과 주요 공연 활동을 분석하여 디지털시대의 도래에 따른 KBS교향악단 변화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셋째로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디지털기술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6개의 교향악단을 선정한 후 각각의 현황을 '개요', '사무국 조직 운영', '디지털 기술 활용' 등 3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심층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해외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 활용과 관련한 정책적 특징과 활용방식적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넷째로 문화, 예술, 미디어산업에 종사하며 클래식 음악에 관심이 많고, KBS교향악단의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디지털기술 활용에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 6인을 선정하여 디지털기술의 발전이 문화예술 관련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고, 디지털기술 활용의 차원에서 KBS교향악단 운영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해외의 선진 교향악단이 다양한 디지털기술을 운영에 접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세 가지 연구주제로 나누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KBS교향악단의 운영에 디지털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여섯 가지로 도출하였는데, 첫째 KBS교향악단의 중장기 사업전략 수립 시 디지털기술 활용방안을 병행하여 확립하고, 둘째 해외의 선진 교향악단처럼 조직에 디지털기술 운용의 허브가 될 수 있는 전담조직을 두며, 셋째 방송 교향악단으로서 확보할 수 있는 유무형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차별성을 확보하고, 넷째 공영방송 교향악단으로서 공익적 역할 수행을 위한 도구로 디지털기술 활용하며, 다섯째 디지털콘텐츠의 아카이빙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창출하고, 마지막으로 기업과 연계한 신규사업모델로서 교향악단의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KBS교향악단이 IT 강국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향악단으로서 디지털기술의 활용을 선도하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융합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구축하여 국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세계적 교향악단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