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목적 및 배경 10

제2절 선행 연구 고찰 12

제3절 연구 대상 및 방법 14

제2장 조선 왕실 기록물의 제작 17

제1절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편찬 17

제2절 《실록청의궤(實錄廳儀軌)》의 체제 및 구성 19

제3장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장책과 장황 28

제1절 장책 도구 및 장황 재료 28

1.1. 장책 도구 28

1.2. 장황 재료 36

1.3. 도침 도구 및 재료 52

제2절 물품 및 재료의 조달처 59

제3절 실록 간행 참여 장인 분석 68

1.1. 책장(冊匠)의 직명과 역할 68

1.2. 책장(冊匠)의 소속과 활동 73

제4장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장황 양상 고찰 76

제1절 실록 별 사용된 장황 재료 검토 76

1.1. 표지 76

1.2. 능화지 79

1.3. 책사 79

제2절 기록과 유물의 비교 81

제5장 결론 88

참고 문헌 92

Abstract 97

부록 1. 17~20세기 기록물에 나타난 책장 목록 99

표목차

표 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실록청의궤》 현황 15

표 2. 17~19세기 《실록청의궤》의 내용 구성 25

표 3. 《실록청의궤》에서 확인된 장책 도구 29

표 4. 전판 제작에 사용된 재료 31

표 5. 배판 1개 제작 시 소요되는 물품 32

표 6. 《조선왕조실록》 장황 형태 변화 37

표 7. 《실록청의궤》에서 확인된 실록 장황 재료 37

표 8. 기록에 나타난 초주지와 저주지의 가격 및 규격 43

표 9. 조선왕조실록봉모당본 제작 연도 및 명칭 45

표 10. 의궤에 기록된 어람부록 장황 재료 46

표 11. 《인조실록》의 장황 및 도침 공정 일정 53

표 12. 도침 공정 도구 및 재료 56

표 13. 중앙관청 조달 물품 내역 60

표 14. 契의 종류와 조달 물품 내역 62

표 15. 廛의 종류와 조달 물품 내역 63

표 16. 실록정본지 조달 내역 64

표 17. 17~19세기 《실록청의궤》에 기록된 책장 69

표 18. 기록에서 확인된 김수구(金壽耇)의 활동 내역 70

표 19. 《조선왕조실록》 표지 제작 재료 76

표 20. 기록에서 확인된 《조선왕조실록》 편결에 사용된 책사 79

표 21. 《조선왕조실록》 장황 재료 내역 80

표 22. 17~19세기 《조선왕조실록》 표지 능화문 82

표 23. 각 국왕 별 실록 표지 능화문 84

표 24. 《조선왕조실록》 책사 색상 85

표 25. 유물에서 확인된 책사의 색상 및 재질 87

그림목차

그림 1. 《광해군일기》 중초본 01권 18

그림 2. 『효종대왕실록찬수청의궤』 109면 22

그림 3. 『효종대왕실록찬수청의궤』 좌 108면 우 107면 22

그림 4. 《태조실록》 06책 정족산본 37

그림 5. 《성종실록》 01책 태백산본 37

그림 6. 《정조실록》 04책 정족산본 37

그림 7. 《선조실록》35권 앞표지 뒷면 면지가 탈락된 모습 38

그림 8. 『철종대왕실록청의궤』 앞표지 뒷면 면지가 부착된 모습 38

그림 9.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조선왕조실록봉모당본 6책 45

그림 10. ①표지 龜甲紋繫地蓮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1. ②표지 / 세로 斜格子雷紋繋地菊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2. ③표지/가로 斜格子雷紋繋地菊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3. ④표지 菊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4. ⑤표지 龜甲紋繫地蓮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5. ⑥표지 蓮花紋黃色表紙. 82

그림 16. ⑦표지 小形蓮花紋淡黃色表紙 83

그림 17. ⑧표지 卍字紋繫地菊花紋黃色表紙. 83

그림 18. ⑨표지 龜甲紋繫地蓮寶相花紋黃色表紙 83

그림 19. ⑩표지 蓮花紋黃色表紙 83

그림 20. ⑪표지 大形卍字紋黃色表紙 83

그림 21. ⑫표지 小形卍字紋黃色表紙 83

그림 22. 《경종수정실록》 01권 87

그림 23. 《영조실록》 01권 87

그림 24. 《경종실록》 09권 87

그림 25. 단종부록 87

그림 26. 《인조실록》 10권 87

그림 27. 《인조실록》 20권 87

그림 28. 《헌종실록》 01권 87

초록보기

 본 논문은 17~19세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장황(粧潢) 공정 시 소요된 물품의 종류 및 명칭을 《실록청의궤(實錄廳儀軌)》 기록을 통하여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공정 시 사용된 도구의 구체적인 용도를 현대 보존처리 공정과 비교하여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장책 및 장황 공정을 담당한 장인의 신원 및 활동 전모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제작에 소요된 물품은 인출된 실록 정본지를 한데 모아 엮는 장책(粧冊) 공정과 표지등의 외형을 꾸미는 장황공정으로 구분되어 의궤에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각 공정에 소요된 재료 및 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구체적인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의궤 내에 수록된 공문서 및 비슷한 시기 작성된 다양한 기록물들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단판(椴板), 전판(剪板)등의 구체적인 용도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현재는 단절된 귀얄(歸也)의 제작 재료를 발견하였다. 실록의 장황 재료에 대해서는 시대별 사용된 재료의 변화 양상을 위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재료의 조달 방법 및 공급처등을 포함하여 폭넓게 살펴보고자 했으며 그 결과 실록의 표지 장황에 사용된 종이의 품질 및 생산주체에 변화가 있었음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된 재료의 내역을 통해 실록 장황의 원형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현전하는 실록의 장황 형태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록과 다른 장황 재료가 사용된 예를 발견하였으며 이는 실록의 개장 여부 판단의 근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록의 장책 및 장황 공정을 담당한 장인은 법전에 의거하면 경공장 소속으로만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나 각종 사료들을 참고 검토한 결과 지방의 사장 및 외공장으로도 존재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의 장황 공정에 사용된 도구 및 재료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물이다. 이후 본 연구물이 단절된 전통 장황 문화의 역사성 확인 및《조선왕조실록》의 원형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