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제1장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8

1. NFT 18

1) NFT의 개념 18

2) NFT에 관한 선행연구 18

2. 스포츠 NFT 21

1) 해외 스포츠 NFT 제작 사례 21

2) 국내 스포츠 NFT 제작 사례 25

3. IP 30

1) IP의 개념 30

제3장 연구방법 32

1. 연구참여자의 구성과 선정 32

1) 연구참여자의 구성과 선정 32

2. 연구진행 방법(자료수집 방법) 33

1) 심층인터뷰 및 인터뷰 질문지 구성 33

3. 자료 정리 및 분석 35

제4장 연구결과 38

1. NFT 가치 탐구 41

1) 실무자 41

2) 참여자(스포츠 선수) 45

3) 소비자 47

2. NFT 제작/참여/구매 동기 50

1) 실무자 50

2) 참여자(스포츠 선수) 52

3) 소비자 54

3. NFT 제작/참여/구매 시 방해요소(장애물) 56

1) 실무자 56

2) 참여자(스포츠 선수) 58

3) 소비자 59

4. NFT 제작/참여/구매 시 개선사항 61

1) 실무자 61

2) 참여자(스포츠 선수) 64

3) 소비자 65

제5장 논의 67

1. 실무자/소비자/참여자(선수) 각 각의 관점에서 스포츠 NFT 특성 파악 67

1) 스포츠 NFT 가치 67

2) 스포츠 NFT 제작/참여/구매 동기 69

3) 스포츠 NFT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 71

2. 스포츠 NFT 제작 및 발행 시사점 73

3.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연구 75

제6장 결론 76

1. 연구 결과의 요약 76

참고문헌 80

ABSTRACT 87

표목차

〈표 1〉 심층 인터뷰 참여자들의 구성 32

〈표 2〉 심층 인터뷰 주요 질문항목 35

〈표 3〉 내용 분석 방법에 따른 자료 분석 예시 37

〈표 4〉 연구문제에 따른 심층 인터뷰 핵심 문장 및 핵심 키워드 38

그림목차

〈그림 1〉 NBA TOPSHOT 22

〈그림 2〉 타이거 우즈 오토그래프 NFT 23

〈그림 2〉 소레어(Sorare) 리버풀 FC NFT 24

〈그림 3〉 소레어(Sorare) NFT 24

〈그림 4〉 피파 플러스 콜렉트 25

〈그림 5〉 크볼렉트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NFT 26

〈그림 6〉 두버스(DOOVERSE) 허경민 NFT 27

〈그림 7〉 SSG 랜더스 통합 우승 기념 NFT 27

〈그림 8〉 K 리그 NFT 'ELVN' 대구 FC 세징야 28

〈그림 9〉 2021 신한동해오픈 NFT 29

〈그림 10〉 갤럭시아 SM 박현경, 임희정 NFT 29

초록보기

 본 논문은 4 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기술 발전,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새롭게 주목 받은 NFT 의 스포츠 산업에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에 주목 받기 시작한 NFT 에 대한 실제 현장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 로 볼 수 있는 스포츠 선수, NFT 제작자로 볼 수 있는 실무자, NFT 구매자로 볼 수 있는 팬(소비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각 각의 관점에서 NFT 가치 비교 분석, NFT 구매 동기, NFT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NFT 의 특성을 이해하는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실무적으로는 추후 스포츠 NFT 제작 및 발행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던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스포츠 기업 실무자와 참여자(선수)는 스포츠 NFT 를 통해 스포츠 산업에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산업의 규모를 키울 수 있으며 새로운 수익 창출 방법으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익 확장은 스포츠 산업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에 긍정적인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을 기대한다. 소비자는 NFT 라는 상품을 통해 선수와의 접점 확대를 기대하였으며 스포츠 카드 역사를 통해 NFT 를 통한 투자 성과를 기대하였다. 실무자, 참여자(선수), 소비자 각 각의 관점에서 확인한 NFT 가 스포츠 산업에 효과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개선해야 할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무자 입장에서 NFT 제작 시 방해요소(장애물)는 NFT 발행이 동일한 IP 가 여러 주체와 플랫폼을 통해서 다양하게 발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양한 IP 를 활용하여 NFT 를 제작할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NFT 와 멤버십의 결합 등을 통하여 상품 다각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수 입장에서 NFT 참여 시 개선사항으로 NFT 수익 분배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다. 최근 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NFT 상품이 선수 초상권을 활용한 상품인데 반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점이 있었다. 따라서 선수 입장 개선사항은 무엇보다 초상권 활용에 따른 수익 분배의 제도적 안전장치의 확보이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관점에서 스포츠 NFT 구매 시 방해요소(장애물)는 동일한 IP 를 활용한 NFT 제작과 NFT 발행 플랫폼의 신뢰성이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발행된 NFT 상품은 동일한 선수 IP 가 다양한 주체와 플랫폼을 통해 발행되었다. 소비자는 NFT 플랫폼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상품 희소성 역시 떨어졌다. 따라서 스포츠 산업에서 NFT 상품 활성화를 위해 연맹 또는 협회가 주도하는 통합 플랫폼 개설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