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Ⅰ. 서론 14

1. 연구 배경 14

2. 연구 목적과 의미 16

1) 연구 목적 16

2) 연구의 의미 18

3. 연구 방법 및 범위 20

1) 연구 방법 20

2) 연구 범위 22

4. 연구 진행 구성도 24

Ⅱ. 문화적 차이가 문화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25

1. 한·중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 과정 25

1)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 과정 25

2) 중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 과정 30

3) 한·중 문화산업 발전 모델 비교 33

2. 지역적 민족 문화 차이가 비주얼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35

1) 중국 황하 유역 관련 문화상품 예시 37

2) 한국 ANYUNG 인사동 문화상품 예시 45

3) 비교·분석 50

3. 전통 심미관이 문화상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51

1) 중국 고궁박물관 문화콘텐츠 상품의 디코딩 분석 53

2)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콘텐츠 상품 디코딩 분석 57

3) 비교·분석 60

Ⅲ. 한·중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미술적 특징에 대한 디자인 분석 비교 63

1. 체계적 설계 63

2. 구성 및 도형 스타일 68

3. 색채 분위기 73

Ⅳ. 한·중 양국 문화 창의 브랜드 소비 영향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76

1. 가치 인식 이론 및 연구 모델의 제시 76

2. 연구 가설 77

1) 이론 기초 78

2) 자기검증과 자기고양 이론 79

3. 연구 개념 모델 83

4. 연구 설계 및 데이터 수집 83

1) 연구 사례 소개 83

2) 척도 측정 항목 설계 84

3) 문항 설계 86

5. 데이터 통계 및 분석 87

1) 사전 조사 연구 기술 통계 분석 87

2) 신뢰도 분석 90

3) 탐색적 요인 분석 91

4) 설문 문항 신뢰도 분석 95

5) 데이터 수집 98

6. 데이터 분석 및 가설 검증 99

1) 공통 방법 편차 99

2) 표본 변수의 기술 분석 100

3)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101

4) 측정 모형 검증 105

5) 구조 모형 및 가설 검증 113

7. 가설 결과 검증 116

Ⅴ. 한·중 양국의 문화콘텐츠 산업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분석이 중국 브랜드 리뉴얼에 주는 시사점 118

1. 브랜드 리뉴얼 관련 이론 기초 118

2. 개성 있는 부호 선택 및 활용 121

1)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혁신 123

2) 디자인 기법과 콘셉트의 차이 126

3. 문화콘텐츠 산업 브랜드 리뉴얼 전략 129

1) 상품의 문화적 가치 인식 131

2) 상품 재포지셔닝 131

3)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132

4. 한·중 문화산업 협력 강화를 위한 제안 134

1) 협력 개발의식 확립 134

2) 동반성장 전략 수립 134

3) 다층적 협업 시스템 구축 135

4) 시장 통합화 136

Ⅵ. 결론 137

참고문헌 141

ABSTRACT 149

부록: 설문 조사 153

〈표 1〉 중국 고궁박물관 문화콘텐츠 상품 디코딩 분석 53

〈표 2〉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콘텐츠 상품 디코딩 분석 58

〈표 3〉 표본의 기술 통계1 87

〈표 4〉 표본의 기술 통계2 89

〈표 5〉 표본의 기술 통계3 89

〈표 6〉 Reliability Statistics (Cronbach Alpha) 90

〈표 7〉 KMO and Bartlett's Test 92

〈표 8〉 Total Variance Explained 93

〈표 9〉 Factor loading (Rotated) 94

〈표 10〉 감정 인식 매트릭스 척도 96

〈표 11〉 성능 인식 매트릭스 척도 96

〈표 12〉 사회 인식 매트릭스 척도 97

〈표 13〉 가격 인식 매트릭스 척도 97

〈표 14〉 가치 인식 매트릭스 척도 97

〈표 15〉 소비 의사 매트릭스 척도 98

〈표 16〉 Descriptive Analysis 100

〈표 17〉 Descriptive Analysis 100

〈표 18〉 요인 부하 계수 표 103

〈표 19〉 모형의 AVE와 CR지표 결과 104

〈표 20〉 모형적합지표 105

〈표 21〉 변별타당도: Pearson관련 AVE 제곱근 107

〈표 22〉 Pearson Correlation 107

〈표 23〉 Parameter Estimates (n=310) 108

〈표 24〉 Parameter Estimates (n=310) 110

〈표 25〉 Parameter Estimates (n=310) 111

〈표 26〉 매개 효과 검증 총 결과 115

〈표 27〉 매개작용 효과 총 결과 115

〈표 28〉 한·중 문화콘텐츠 상품의 브랜드 가치 및 소비 의사에 미치는 영향 실증 결과 116

〈표 29〉 한·중 문화콘텐츠 상품의 브랜드 디자인 및 상품 가치 인식의 실증 결과 117

〈표 30〉 상품 가치 인식이 소비 의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 117

〈표 31〉 브랜드 리뉴얼에 대한 학자의 관점 119

〈그림 1〉 연구 진행 구성도 24

〈그림 2〉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발전 관련 정책 분석 27

〈그림 3〉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후예', '괜찮아, 사랑이야'의 포스터 30

〈그림 4〉 고궁 '천리강산' 시리즈, 타이완 국영박물관 '국영박물관 다이어리' 시리즈 문화콘텐츠 상품 32

〈그림 5〉 중국 문화콘텐츠 산업발전 관련 정책 분석 33

〈그림 6〉 섬서성 진(秦) 요소 38

〈그림 7〉 도로 요소의 변천 39

〈그림 8〉 건축물 요소 40

〈그림 9〉 '황하' 요소 40

〈그림 10〉 연황공로(沿黃公路)를 따라 표시된 표지 및 밑줄 그림 41

〈그림 11〉 표지의 배합 색상 방안 42

〈그림 12〉 표지 디자인 효과 그림 44

〈그림 13〉 표지 디자인 효과 그림 45

〈그림 14〉 선형 한글 요소 46

〈그림 15〉 선화 디자인 47

〈그림 16〉 배색 방안 47

〈그림 17〉 캐릭터 48

〈그림 18〉 디자인 응용 효과도 50

〈그림 19〉 고궁 문화상품 선물 57

〈그림 20〉 고궁 문화상품 문구 세트 57

〈그림 21〉 인상·유삼저의 문화콘텐츠 디자인(로고와 포스터) 66

〈그림 22〉 이화동 거리벽화 및 조각품 67

〈그림 23〉 Bing Dwen Dwen IP 이미지 69

〈그림 24〉 카카오프렌즈 IP 이미지 70

〈그림 25〉 카카오프렌즈 홈키트 시리즈 71

〈그림 26〉 대어해당 포스터 74

〈그림 27〉 한국판 및 중국판 유랑지구 포스터 75

〈그림 28〉 연구 개념 모델 83

〈그림 29〉 척도 설계 흐름도 85

〈그림 30〉 최종 척도 요인 분석 석쇄도 95

〈그림 31〉 매개효과 검증 114

〈그림 32〉 De Dexuan 브랜드 로고 122

〈그림 33〉 한국 서울 강남구 로고 123

〈그림 34〉 끊임 없는 - 중국 십이지 창의 디자인 125

〈그림 35〉 She said that 127

〈그림 36〉 TUKATA 128

〈그림 37〉 문화콘텐츠 산업 브랜드 리뉴얼 전략 130

〈그림 38〉 뽀로로 134

초록보기

 본 연구는 먼저 한·중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을 문헌 조사하여 한국 문화산업 발전사를 분석하고 이를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 현황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문화산업 발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양국 문화산업 발전의 차이를 분석하여 중국 문화산업 발전모델을 개선하고 빠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국 문화산업 법률 법규를 분석해보면, 전반적인 거시 문화정책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전략 계획 수립, 정책의 추진, 문화 소비 흐름에 따른 문화 산업의 경기 호전, 문화 상품의 소비 동기, 소비 의사, 영향 요인 등의 연구가 점차 중시되고 있다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국내외 문화콘텐츠 상품의 디자인 방법과 이론을 결합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한·중 양국의 문화콘텐츠 상품의 시각 디자인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문화콘텐츠상품 디자인의 방법과 이념을 모색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유명 문화콘텐츠 상품을 찾아보고 특징을 분석하여 색상, 도형, 질감적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공통점을 찾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상품의 함의와 문화적 가치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디자인을 위한 소재와 아이디어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의 시각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상에 서로 다른 문화 시스템적 시각적 미학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중국은 역사적 배경, 문화 환경, 지역 문화, 생활 습관이 다르며 이로 인해 전통적 미의식에도 차이가 나타나 시각적 브랜드 아이덴티티에도 서로 다른 영향을 미쳤다.

문화 소비와 가치인식론에 기초하여, 감정, 성능, 사회, 성능 가치 인식을 변수로 하여, 문화콘텐츠 소비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이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즉, 감정인식, 사회인식, 성능인식, 가격인식을 근간으로 소비 의사와 유용성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8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또한 유용성 인식은 소비 의사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고 하는 가설을 설정 하였다.인식 모델을 통하여 서로 다른 집단이 갖는 문화콘텐츠 소비에 대한 영향 요인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설문 조사 연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와 AMOS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한·중 양국 국민에 대해 진행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로 중국에서는 유효 설문지 총 1231건을, 한국에서는 총 342건을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검증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 상품의 가치 인식은 소비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중, 문화 인식은 성능 가치 인식에 속하며, 성능 가치 인식은 문화콘텐츠 상품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긍정적인 요인이다. 문화콘텐츠 상품은 홍보 상품의 현대적인 가치와 세계적인 의미로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문화적 요소 이면에 있는 공동의 가치와 현대적 가치, 세계적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국 국민에게 사랑받고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었다.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를 통하여 창출되는 문화콘텐츠는 한·중 양국 국민에게 사랑받고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의 분석을 활용한다면 분석을 통해 상품성과 구매자의 심리를 고려한 문화콘텐츠상품을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 상품의 디자인을 잘 계승하여, 문화콘텐츠 상품이 전파상품으로서의 현대적 가치와 세계적인 의미를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화콘텐츠 상품의 개성 있는 부호의 선택 및 선용, 전통문화에 뿌리를 둔 혁신, 중국 문화콘텐츠 상품의 브랜드 리뉴얼, 한·중 문화산업 협력의 심화 등의 측면에서 중국 브랜드 리뉴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한·중 양국은 바다를 사이에 둔 가까운 국가로서 비슷한 문화와 높은 경제적 의존도를 갖고 있다. 디자인 정책, 무역, 행사, 인재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갖고 있다. 현대 디자인의 발전은 100여 년 이상 서방 국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새로운 역사적 기점 앞에서, 본 연구자는 한·중 디자인 협력이 양국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추진할 뿐 아니라, '아시아 디자인'의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고 세계무대에서 '아시아 디자인'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