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의 목적 9

Ⅱ. 이론적 배경 12

1. 검사과정 14

가. 준비 14

나. 증폭 14

다. 변성 / 중화 15

라. 교잡/워싱 16

마. 라벨링 16

2. 습도로 인한 검사결과의 영향과 관련된 선행논문 18

Ⅲ. 연구 방법 19

1. 연구 설계 19

2. 자료 수집 20

3. 연구모형 및 가설 21

4. 변수의 측정 21

5. 분석방법 22

Ⅳ. 연구결과 22

1. 검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cut-off 수정여부에 대한 빈도분석 22

2. 습도에 대한 기술통계 23

3. cut-off 수정 여부와 검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관계 24

4. cut-off 수정 여부와 습도와의 관계 25

5.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26

Ⅴ. 결론 및 고찰 28

참고문헌 34

Abstract 38

표목차

〈Table 1〉 Amplification Mixture 14

〈Table 2〉 LABType™ SSO PCR program 15

〈Table 3〉 검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cut-off 수정여부에 대한 빈도분석 23

〈Table 4〉 사용한 변수의 기술통계 23

〈Table 5〉 cut-off 수정여부와 성별 및 장기별 구분에 대한 교차분석 24

〈Table 6〉 cut-off 수정여부에 따른 습도, 연령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 25

〈Table 7〉 cut-off 수정여부에 따른 로지스틱 회귀분석 27

〈Table 8〉 SSO DR (low resolution)과 SBT (high-resolution) 결과비교 29

그림목차

〈그림 1〉 Fusion software 분석화면 10

〈그림 2〉 연구모형 21

초록보기

 서울대학교병원 세포면역검사실에서는 장기이식과 연관된 조직적합성 검사로서 신장, 간, 심장 그리고 폐 등의 고형장기이식을 준비하기 위한 수혜자와 기증자의 HLA 형별검사를 시행 시에 One Lambda의 LABType를 가지고 HLA typing을 실시하고 있다. One Lambda LABType 시약 도입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마친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고형장기이식을 준비하는 수혜자와 기증자의 저해상도 HLA Typing을 위한 결과 산출 중 HLA-DR 검사시행 건수 총 611건 중 Lot 20의 시약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위양성과 위음성으로 의심되는 특이 bead (#087, #051, #006) 반응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특이 bead의 cut-off를 수정해주어야만 G1 값을 산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cut-off 수정을 하지 않은 검사결과 533건과 특이 bead의 cut-off 수정을 한 뒤 결과 산출을 한 78건의 사례들을 가지고 위양성 또는 위음성이 의심되어 cut-off 수정을 야기시키는 요인을 여러 변수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용한 변수로는 해당 DNA의 농도로 인한 문제인지, 또는 이식하는 장기에 따른 수혜자 또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기증자들이라는 공통적 특징이 있는지,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을 추적하였고, 추가적으로 검사일의 습도에 따른 cut-off 수정사례 건수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검사일의 습도와 해당 검사일의 cut-off 수정사례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습도 수준에 따른 cut-off 수정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해당 DNA 검체 대상자들의 나이, 성별을 포함한 통제변수를 고려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사실의 습도가 높을수록 cut-off 수정사례는 0.986배 감소한다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습도가 낮아질 때 cut-off 수정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사실의 습도 또한 HLA typing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시사하였고, HLA typing을 시행할 때 검사실의 습도 또한 고려해야 할 요인 중의 하나임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