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6

1. 연구 범위 16

2. 연구 방법 16

제3절 선행연구 고찰 17

제2장 풍수지리의 사상 및 형식논리 고찰 18

제1절 풍수지리사상 19

1. 천문사상(天文思想) 21

2.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 24

3. 삼신오제사상(三神五帝思想) 26

제2절 풍수지리 논리 고찰 30

1. 간룡법(看龍法) 30

2. 장풍법(藏風法) 33

3. 득수법(得水法) 35

4. 정혈법(定穴法) 39

5. 좌향법(坐向法) 43

6. 비보론(埤補論) 46

제3장 제주올레의 풍수지리적용 고찰 51

제1절 제주올레에 대한 고찰 51

1. 제주 올레의 개관 51

2. 제주 올레의 지리적 특징 57

3. 제주 올레의 코스별 특징 66

제2절 제주 올레의 풍수지리적용 고찰 74

1. 산세(山勢)의 풍수적용 논리 74

2. 지세(地勢)의 풍수지리 적용논리 76

3. 수세(水勢)의 풍수지리 적용논리 78

4. 혈장(穴場)의 풍수지리 적용논리 79

5. 좌향(坐向)의 풍수지리 적용논리 81

6. 비보(椑補) 풍수지리 적용논리 84

제4장 제주 올레 7코스의 풍수지리 분석 90

제1절 제주 올레길 7코스의 현황 90

1. 제주올레 7코스의 일반적 현황 90

2. 제주올레 7코스의 명승경관지 93

제2절 제주 올레 7코스의 입지 및 공간분석 113

1. 칠십리 시공원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15

2. 황우지 선녀탕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18

3. 외돌개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22

4. 법환마을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24

5. 강정천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27

6. 두머니물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32

7. 월평마을의 입지 및 공간 분석 135

제5장 결론 142

참고문헌 146

국문초록 151

Abstract 153

표목차

〈표 1〉 오행의 의미 26

그림목차

〈그림 2-1〉 삼신오제 30

〈그림 2-2〉 용맥도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재조명 33

〈그림 2-3〉 용의 출맥 삼격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재조명 35

〈그림 2-4〉 수구사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재조명 39

〈그림 2-5〉 혈의 종류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재조명 42

〈그림 2-6〉 오행산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재조명 46

〈그림 2-7〉 오수부동격 ; 김문환건축사, 신화건축사사무소, 2023 50

〈그림 3-1〉 제주의 옛모습 53

〈그림 3-2〉 제주 올레 코스별 지도 56

〈그림 3-3〉 제주 올레 코스별 스템프 58

〈그림 3-4〉 제주의 오름분포도 59

〈그림 3-5〉 올레 1코스 지도 68

〈그림 3-6〉 올레7코스 지도 69

〈그림 3-7〉 올레12코스 지도 71

〈그림 3-8〉 올레17코스 지도 73

〈그림 3-9〉 제주도의 용맥도 75

〈그림 3-10〉 제주도 수세형태 79

〈그림 3-11〉 제주도의 절대향 84

〈그림 3-12〉 제주의 비보 86

〈그림 3-13〉 제주의 돌하르방 87

〈그림 3-14〉 제주의 정낭 89

〈그림 4-1〉 제주 올레 돌담길과 감귤꽃 91

〈그림 4-2〉 올레 7코스 지도 93

〈그림 4-3〉 탐라순력도 속 제주풍광 94

〈그림 4-4〉 칠십리 시공원의 전경 97

〈그림 4-5〉 황우지선녀탕의 전경 98

〈그림 4-6〉 외돌개의 전경 100

〈그림 4-7〉 법환마을 용출수의 모습 103

〈그림 4-8〉 법환마을 악근천의 모습 104

〈그림 4-9〉 두머니물 전경 105

〈그림 4-10〉 강정천의 전경 106

〈그림 4-11〉 강정마을과 강정항의 모습 108

〈그림 4-12〉 월평포구의 모습 109

〈그림 4-13〉 월평마을의 모습 112

〈그림 4-14〉 올레7코스의 용맥도 114

〈그림 4-15〉 서귀포앞바다 범섬의 모습 114

〈그림 4-16〉 서귀포앞바다 문섬의 모습 115

〈그림 4-17〉 칠십리 시공원의 입지 118

〈그림 4-18〉 황우지선녀탕의 입지 121

〈그림 4-19〉 황우지선녀탕의 지세 121

〈그림 4-20〉 외돌개의 입지 122

〈그림 4-21〉 법환마을의 입지 127

〈그림 4-22〉 강정마을의 입지 128

〈그림 4-23〉 강정천의 화표 129

〈그림 4-24〉 강정천과 켄싱턴리조트의 사신사 131

〈그림 4-25〉 강정천의 사신사 131

〈그림 4-26〉 두머니물의 입지 133

〈그림 4-27〉 두머니물 앞바다에 있는 작은 두 개의 섬 134

〈그림 4-28〉 월평마을의 입지 136

〈그림 4-29〉 월평마을의 비보 137

〈그림 4-30〉 굿당의 전경 139

〈그림 4-31〉 월평마을 비보림과 설기부분 141

초록보기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대표적 대상인 제주 올레를 대상으로 풍수지리 해석을 통하여 제주 올레의 신 개념적 힐링요소를 정립하고자 시도를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주 올레 중 서귀포 해안을 접해있는 7코스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제주 올레는 우리나라 걷기 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상징적인 길이고, 올레를 시작으로 많은 도보여행길이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 올레 조성과 함께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트렌드를 반영한 걷기 문화가 전국적 열풍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 것이다.

지금까지 제주올레를 찾는 많은 도보 관광객들은 특정코스에 이용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집중현상은 제주 올레에 대한 올바른 인식 부족과 더불어 올레가 갖고 있는 코스별 특화된 정보가 필요한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특정코스를 벗어나 지역별 코스가 갖고 있는 문화적 · 역사적 입지환경에 대해 우리의 전통적 입지관인 풍수지리를 적용한 새로운 페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존하고 있는 올레를 풍수지리적 입지 및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제주 올레의 유형별 특성화된 자원과 연계시킨 도보 관광 및 레저휴양의 선택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역사자원이 살아 숨 쉬는 올레길 스토리텔링의 효과는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하는 걷기 중심의 힐링공간을 창출하고 새로운 제주 올레를 조성하는데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