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Abstract
List of Abbreviations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3
1.1. Background of the Study 13
1.2. The rationale of the Study 15
1.3. Objectives of the study 17
1.4. Research Question 17
1.5. Research Framework 18
1.6. Significance of the Study 19
Chapter 2. Literature Reviews 20
2.1. Introduction 20
2.2. What are CBD projects? 20
2.3. Concept of Women's empowerment 21
2.4. Women's participation in CBD projects 23
2.5. Review on influencing factors of women's participation in CBD projects 24
2.6. Review of approaches or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to improve the rural women's participation in CBD projects 28
Chapter 3. Research Methodology 30
3.1. Introduction 30
3.2. Research Approach 30
3.3. General Description of Study Area 30
3.4. Target population 31
3.5. Sample size and sample selection 32
3.6. Data collection procedures 32
3.7. Method of data analysis 32
3.8. Limitations of the Study 33
3.9. Ethical considerations 33
3.10. Analytical Framework 34
Chapter 4. Data Analysis and Discussion 36
4.1. Introduction 36
4.2. Socio-econom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36
4.2.1.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status in family 36
4.2.2.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occupation and ethnic group 40
4.2.3.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income level and level of education 41
4.2.4. Participation of the Respondents in the CBD projects 43
4.2.5. The responsibilities in the CBD project committees 45
4.2.6. Challenges or Barriers of women's participation in CBD projects 45
4.3. Factor analysis 48
4.4.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53
4.4.1.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factors affecting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BD projects 53
4.4.2. Significance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variables 54
4.4.3. Goodness-of-fit of the model 55
Chapter 5. Summary and Conclusion 60
5.1. Introduction 60
5.2. Summary 60
5.3. Conclusion 62
5.4. Recommendation 63
References 64
APPENDIX 66
요약 74
Figure 1. Research Framework 18
Figure 2. The dimension of women'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empowerment 22
Figure 3. Locational map of Kham Par Muu, Yay Phyu Kan and Pone Tat villages 31
Figure 4. Analytical Framework 35
Figure 5.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gender 38
Figure 6.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Marital Status 39
Figure 7.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tatus in the family 40
Figure 8.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occupation and ethnic group 41
Figure 9.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level of education 43
Figure 10. The responsibilities in the CBD project committees 45
이 연구의 목표는 여성의 CBD 프로젝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며 미얀마 남부 주 Bawsaing 에서 연구되었다. 미얀마, 그 중에서도 특히 Shan 주 지역에서 농촌 여성들은 정치적 권력은 물론 교육 기회와 거버넌스에 참여할 기회가 없었고, 그 결과 그들의 사회경제적 발전은 뒤처졌다. 농촌 여성은 지역사회 개발 계획에 참여하는데 도시 여성과 동일한 인센티브를 갖지 않음에도 이러한 참여에 관심을 나타내 왔다. 연구의 목적 중 하나는 의사결정 역할에 대한 여성의 참여 또는 참여 기회의 부족을 이해하기 위해 지역사회 개발 활동에 참여하려고 할 때 직면하게 되는 장벽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주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 지역사회 기반 개발 사업에 대한 여성의 참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규명, 2. 지역사회 개발사업이 여성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3. 지역사회 기반 개발 프로젝트에서 여성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장벽과 도전과제 조사. 연구는 131 명의 응답자를 인터뷰하여 수행되었고 자료수집에는 설문조사와 면접방법을 활용하였다. 데이터는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수집되었으며 연구 분야의 설문조사 인터뷰에서 얻은 1 차 데이터와 웹사이트의 정부 간행물 및 기타 관련 논문의 2 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후 정성적 자료는 내용분석, 기술통계법, 요인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정량적 자료는 사회과학 전산 프로그램(SPSS)용 통계패키지를 통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법을 이용하여, 총 4 가지 분석 방법으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에 의해 밝혀진 결과, 연구 영역에서는 여성의 참여가 정상 수준이나 여전히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사 결정에 장애물과 장벽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참여경험과 여성참여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통해 증명되는데, 참여경험 이면에 여성참여의 증진을 저해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책과제에 대한 참여도가 높을수록 여성의 참여도도 높다는 점을 시사함으로써 국책과제 참여도가 여성의 참여에 긍정적으로 관련되고 유의미하여 여성참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밝혔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경험과 국책사업 참여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CBD 사업에 여성의 의미 있는 능동적 참여와 성 인지 사업 계획을 강조하는 법률 제정을 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이러한 정책적 파급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미얀마는 정부 프로그램의 여성참여를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미얀마 정부가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여성 참여를 보장하고 성 인지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여성의 중요한 기여와 관점을 활용하여 보다 포용적이고 공정한 개발 결과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