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Ⅰ. 서론 14
1. 연구 목적 14
2. 연구의 필요성 20
3. 연구 범위 및 방법 23
가. 연구 범위 23
나. 연구 방법 25
4. 선행 연구 26
Ⅱ. 본론 28
1. 유괴 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분석 28
가. 한국 제작 영화 29
나. 중국 제작 영화 30
2. 유괴 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서사 구조 분석 33
가. 서사 구조 33
나. 서사 방법 39
다. 인물 서사 방법 45
3. 유괴 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캐릭터 특징 55
가. 주인공 캐릭터 이미지 및 특징 56
나. 기타 인물 캐릭터 이미지 및 특징 64
4. 유괴 사건을 주제로 한 영화 영상 스타일 분석 72
가. 연출 스타일 특징 72
나. 촬영 및 조명 스타일 특징 75
다. 후반작업 스타일 특징 79
5. 단편영화 〈이별〉 영화 스타일 분석 및 특징 87
Ⅲ. 결론 89
1. 연구 요약 및 의의 89
가. 연구 요약 89
나. 연구의 의의 90
2. 연구 한계 및 제언 92
참고문헌 94
부록 98
ABSTRACT 125
[그림 1] 영화 〈극비수사〉 포스터 29
[그림 2] 영화 〈디어리스트〉 포스터 32
[그림 3] 영화 〈잃어버린 아이들〉 32
[그림 4] 영화 〈추격자〉 포스터 34
[그림 5] 영화 〈추격자〉 중 범인의 흔적을 찾아낸 장면 34
[그림 6] 영화 〈추격자〉 중 납치된 김미진 장면 35
[그림 7] 영화 〈잃어버린 아이들〉 중 레이저콴이 실종 아동 찾기 광고를 발견한 장면 36
[그림 8] 단편영화 〈이별〉 중 남자 주인공은 어릴 때 여동생을 데리고 놀러갔다가 여동생을 잃는다 37
[그림 9] 단편영화 〈이별〉 중 건달들이 남자 주인공을 데리고 유괴 사건에 가담하는 과정 38
[그림 10] 단편영화 〈이별〉 중 경찰이 남자 주인공을 붙잡았다 39
[그림 11] 영화 〈라쇼몽〉 포스터 40
[그림 12] 단편영화 〈이별〉 중 여동생이 죽었다는 소식에 남자 주인공의 감정이 무너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42
[그림 13] 단편영화 〈이별〉 중 가족사진 43
[그림 14] 단편영화 〈이별〉 중 이는 남자 주인공과 여동생이 물건을 사러 갔다가 남자 주인공이 돌아온 후 여동생이 사라진 장면 44
[그림 15] 영화 〈잃어버린 아이들〉 중 로드무비적 요소를 지닌 장면 45
[그림 16] 영화 〈디어리스트〉 포스터 47
[그림 17] 영화 〈디어리스트〉 중 펭펭에게 복숭아를 먹이지 말라고 말하는 리홍친 48
[그림 18] 영화 〈디어리스트〉 중 펭펭에게 복숭아를 먹이면 안 된다고 말하는 티안웬준 48
[그림 19] 영화 〈추격자〉 중 엄중호의 냉혹하고 폭력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장면 49
[그림 20] 영화 〈추격자〉 중 엄중호의 정의롭고 선한 성격을 보여주는 장면 49
[그림 21] 영화 〈추격자〉 중 김미진의 딸과 엄중호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 50
[그림 22] 영화 〈추격자〉 중 피투성이가 된 김미진 50
[그림 23] 영화 〈추격자〉 중 어항 속 죽은 김미진의 머리를 바라보는 지영민 51
[그림 24] 영화 〈디어리스트〉 중 사회 소외계층의 삶을 보여주는 리훙친 52
[그림 25] 영화 〈디어리스트〉 중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리홍친 53
[그림 26] 단편영화 〈이별〉 중 남자 주인공이 성장 과정 56
[그림 27] 영화 〈잃어버린 아이들〉 중 아들을 찾기 위한 여정 중인 레이저콴 57
[그림 28] 영화 〈잃어버린 아이들〉 중 서로의 다리를 들어 올리는 친근함 58
[그림 29] 단편영화 〈이별〉 중 출소 후 복수를 하였다 62
[그림 30] 단편영화 〈이별〉 중 남자 주인공과 건달의 관계 63
[그림 31] 영화 〈블라인드 마운틴〉 중 마을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수에메이 65
[그림 32] 영화 〈추격자〉 중 지영민의 살인 현장을 보여주는 장면 66
[그림 33] 영화 〈추격자〉 중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나는 지영민 66
[그림 34] 영화 〈추격자〉 중 살해 당한 슈퍼 주인 67
[그림 35] 단편영화 〈이별〉 중 건달 이미지 70
[그림 36] 단편영화 〈이별〉 중 경찰 진군창(秦軍昌)과 준엄붕(嚴峻鵬) 70
[그림 37] 영화 〈디어리스트〉 중 하위계층의 삶을 암시하는 장면 73
[그림 38] 단편영화 〈이별〉중 담배에 불을 붙여 클로즈업하다 74
[그림 39] 단편영화 〈이별〉 중 육교에서 도망치다 75
[그림 40] 영화 〈추격자〉 중 지영민이 살인을 저지르는 주요 공간인 욕실 76
[그림 41] 영화 〈추격자〉 중 사건을 발견하는 번화가 장면 76
[그림 42] 영화 〈추격자〉 중 사건의 배경이 되는 서울 풍경 장면 77
[그림 43] 영화 〈추격자〉 중 사건의 배경이 되는 골목길 장면 77
[그림 44] 영화 〈디어리스트〉 중 루샤오주안이 심리치료실에서 상담을 받는 장면 78
[그림 45] 단편영화 〈이별〉 중 수갑 79
[그림 46] 영화 〈추격자〉 중 오프닝 장면 80
[그림 47] 영화 〈디어리스트〉 속 물에 빠진 티안웬준 82
[그림 48] 영화 〈디어리스트〉 중 물에 빠진 티안웬준 83
[그림 49] 영화 〈디어리스트〉 중 부두로 돌아간 티안웬준 83
[그림 50] 단편영화 〈이별〉 성인이 된 남자 주인공이 있는 취조실의 어두운 공간 84
[그림 51] 단편영화 〈이별〉어린 남자 주인공이 등장하는 밝은 공간 사이 84
[그림 52] 단편영화 〈이별〉경찰에 잡힌 밤 85
[그림 53] 단편영화 〈이별〉경찰이 햇볕을 쬐다 85
[그림 54] 단편영화 〈이별〉 폐쇄 공간 87
영화는 1985년 탄생하여 현재까지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 발전에 따른 영화에 대한 관점과 철학은 각 시대의 문제의식과 연결되며 다양하게 등장했다.
최근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가 자주 나타나면서 이에 따른 실화 영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실화 영화 중 유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는 실화를 일부 각색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유괴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로는 나홍진(羅泓軫)의 〈추격자 (追擊者, The Chaser)〉(2008), 진자신(陳可辛)의 〈디어리스트(親愛的, Dearest)〉(2014), 팽삼원(馮三元)의 〈잃어버린 아이들 (失孤, Lost and Love)〉(2021), 뤼러(呂樂)의 〈조도니 (找到你, Lost, Found)〉(2018)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화 영화 중 유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유괴 사건과 관련된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세부 분야로 분류 할 수 있다. 이러한 영화는 현실의 논리를 반영하면서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대상인 단편영화 〈이별〉은 실제 유괴 사건을 각색한 영화이다. 한국과 중국의 실화 영화와 〈이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작품의 서사구조, 인물, 스타일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문제를 반영한 실화 영화를 제작한 과정과 그 경험을 토대로 연구된 내용을 논의한다.
본 논문은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 배경과 연구의 의의를 소개한다. 제2장은 본론으로 한중 양국의 유괴 관련 영화의 주제를 분석한다. 중국의 유괴 관련 영화의 대부분은 사건을 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진자신 감독의 작품 〈디어리스트〉는 기존의 유괴 관련 영화의 틀을 벗어나 스토리와 인물 설정에서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추격자〉의 경우 인물 간 갈등과 충돌을 통해 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이와 같은 영화들을 참조하여 〈이별〉 또한 선형적 서사와 비선형적 서사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이중구조 서사를 구성하였고, 효과적인 인물의 심리 묘사를 하기 위해 클로즈업, 패닝 쇼트 등의 다양한 카메라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작품 속 공간 디자인을 통해 현실감 있는 생활환경을 제작하였다. 제3장은 결론으로 앞서 논의한 내용과 더불어 〈이별〉의 제작 과정을 간단히 정리한 후 본 논문의 한계점 및 추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글을 마무리한다.
현대 사회가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영화의 장르도 다양해지고 있다. 영화는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시대에 따라 사회적 영향을 받는다. 최근 몇 년 동안 영화 산업 시장에서 실화 영화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실화 영화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이해를 쌓고자 한다. 이 논문을 통해 유괴 사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기를 기대하며, 한국과 중국 내 실화 영화의 발전에 미미한 도움이 되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