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1

제2절 선행 연구 14

가. 효 개념에 대한 연구 15

나. 효문화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17

다. 드라마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19

제3절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제2장 한국의 효 의미와 교육의 가치 25

제1절 공식적 의미의 효: 『효경』과 『삼강행실도』의 효행담을 중심으로 25

제2절 〈심청전〉을 통해 전승되는 효의 의미 33

제3절 드라마의 특징과 문화교육적 효용 39

제3장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부모·자식 관계 양상 45

제1절 동백과 어머니 조정숙의 부모·자식 관계 46

제2절 동백과 아들 필구의 부모·자식 관계 50

제3절 황용식과 어머니 곽덕순의 부모·자식 관계 54

제4절 필구와 아버지 강종렬의 부모·자식 관계 57

제5절 박흥식과 아버지 박석용의 부모·자식 관계 60

제6절 제시카와 어머니 이화자의 부모·자식 관계 62

제4장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한국의 효문화 전통의 계승과 변이 66

제1절 효문화 전통의 계승 66

제2절 현대적 상황에 적합한 변용 71

가. 황용식의 현대적인 효행 71

나. 필구의 어머니에 대한 현대적인 효행 73

다. 필구의 아버지에 대한 현대적인 효행 75

제3절 효문화의 자기중심적 전유 77

제4절 효문화 전통의 훼손 80

제5절 〈동백꽃 필 무렵〉에서 말하는 효문화에 대한 종합적 정리 83

제5장 〈동백꽃 필 무렵〉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의 내용과 설계 87

제1절 한국의 효문화의 교육 내용 87

가. 문화지식으로서 효에 대한 이해 87

나. 드라마의 부모·자식 관계 분석 88

다. 효문화에 비추어 본 부모-자식 관계의 평가 88

라. 자문화와 한국의 효문화 비교 89

제2절 〈동백꽃 필 무렵〉을 활용한 한국의 효문화교육 설계 90

제6장 결론 105

참고문헌 107

ABSTRACT 112

표목차

〈표 1〉 동백과 조정숙의 인간관계서사 48

〈표 2〉 동백과 필구의 인간관계서사 51

〈표 3〉 황용식과 곽덕순의 인간관계서사 55

〈표 4〉 강필구와과 강종렬의 인간관계서사 58

〈표 5〉 박흥식과 박석용의 인간관계서사 60

〈표 6〉 제시카와 이화자의 인간관계서사 63

〈표 7〉 1차시 수업안 - 전통적 효문화의 이해. 92

〈표 8〉 2차시 수업안 - 〈동백꽃 필 무렵〉 - 1. 95

〈표 9〉 3차시 수업안 - 〈동백꽃 필 무렵〉 - 2. 98

〈표 10〉 4 차시 수업안 - 〈동백꽃 필 무렵〉 - 3. 102

그림목차

〈그림 1〉 정정숙, 동백, 필구의 인간관계도 42

〈그림 2〉 곽덕순과 황용식의 인간관계도 42

〈그림 3〉 강종렬과 강필구의 인간관계도 43

〈그림 4〉 이화자와 제시카의 인간관계도 43

〈그림 5〉 박흥식과 박석용의 인간관계도 43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효문화를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활용하여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효' 문화에 주목하였다. '효'는 한국의 역사와 사회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문화적 개념으로, 부모를 섬기고 어른들을 공경하는 한국인의 정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많은 변모를 겪고 있다. 효문화의 전통과 그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자료로서 이 연구에서는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어능력시험 5급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전통적인 효와 현대적인 효문화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효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인 효문화를 교육하는 데 적절한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교육의 문화적 요소 선정과 영상매체 활용에 대한 연구, 그리고 효문화에 관한 연구를 살펴봤다.

2장에서는 『효경』과 『삼강행실도』를 중심으로 한국의 효의 공식적인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상적인 효를 수행하는 인물들의 효행을 토대로 『삼강행실도』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효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한 〈심청전〉과 같은 효에 대한 이야기를 전승함으로써 한국인들은 효를 추상적인 가치의 형태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삶으로 받아들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심청전〉은 효와 관련된 다양한 견해가 반영된 작품으로 한국의 효에 대한 문화가 역동적이고 논쟁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모·자식 관계를 다룬 〈동백꽃 필 무렵〉과 같은 드라마 역시 한국의 효문화를 역동적이고 논쟁적으로 보여주는 자료가 될 것이다.

3장에서는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나는 부모·자식 관계를 분석하였다.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부모·자식 관계의 다양한 양상을 부모와 자식 간의 인간관계서사를 관계 맺기, 관계 진전과 변화, 관계 귀결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관계 귀결이 비슷한 관계끼리 묶어서 희생적, 호혜적, 자기중심적 부모·자식 관계로 구분하였다. 이처럼 이 드라마는 다양한 관계 양상들을 보여주며 바람직한 부모·자식 관계에 대해 고민하게 하고 판단하게 한다.

4장에서는 전통적인 효문화에 비추어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다양한 부모·자식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효문화 전통을 계승하려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한편, 현대적 상황에 적합한 모습으로 효문화를 변용하려 한 사례도 있었다. 한편,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효문화를 전유하려는 모습도 나타나며, 나아가 효문화 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나 효문화를 훼손하는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은 현대 한국 문화에서 효 가치가 처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5장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한국의 효문화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의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효의 계승과 현대 사회에 적합한 효문화의 변용, 그리고 효를 자기 방식으로 이해하고 실천하는 점과 효문화를 훼손하는 행동들을 바탕으로 문화 수업의 활동 자료를 만들고 이와 관련된 토론의 자료를 마련했다.

6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서술하고 연구 결과를 요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