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13

Ⅱ. 이론적 배경 14

1. 파라텍스트의 개념과 특성 14

가. 파라텍스트의 개념 14

나. 파라텍스트의 특성 17

2.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의 구성 요소 20

가. 서사 읽기를 위한 이야기 구성 요소의 이해 21

나. 페리텍스트 활동 24

다. 에피텍스트 활동 31

3. 학습자의 읽기 주의력 가치 39

Ⅲ. 연구 방법 43

1. 연구 참여자 43

2. 자료 수집 방법 45

가. 자료수집자 45

나. 자료 수집 과정 45

3. 자료 분석 방법 51

가. 문헌 연구 51

나. 내용 분석 연구 52

Ⅳ. 연구 결과 53

1. 읽기 전 파라텍스트 인식 양상 56

가. 이야기 구성 요소 추측 56

나. 배경지식 활성화 및 읽기 동기 59

다. 상호텍스트성 활용 63

라. 타이포그래피 분석 65

마. 책에 대한 이미지 형성 67

2. 읽기 중 파라텍스트 활용 69

가. 목차 페이지를 활용한 의미 구성 69

나. 작가의 의도 파악 72

다. 이야기 구성 요소에 대한 심층적 이해 74

3. 읽기 후 파라텍스트 학습 경험 효과 78

가. 자기효능감 향상 78

나. 작품 외적 맥락의 교육적 환기 80

다. 자기선택적 독서를 위한 전략의 습득과 활용 82

라. 동료 간 네트워크 형성 84

마. 파라텍스트 재구성 85

Ⅴ. 결론 95

참고 문헌 98

ABSTRACT 106

부록 109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학부모 110

부록 2. 연구 참가 동의서-학생 111

부록 3. 책 밖의 이야기 이해하기 112

부록 4. 표지 이해하기 113

부록 5. 그림 글자 이해하기 114

부록 6. 『꼴뚜기』 밖의 이야기 활동지 116

부록 7. 『나의 린드그렌 선생님』 밖의 이야기 활동지 121

부록 8. 『몬스터차일드』 밖의 이야기 활동지 123

표목차

〈표Ⅱ-1〉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이야기 구성 요소 22

〈표Ⅱ-2〉 타이포그래피에서 인물, 사건, 배경이 두드러진 사례 28

〈표Ⅱ-3〉 『완득이』 책과 영화 '완득이' 포스터 35

〈표Ⅲ-1〉 연구 참여자 특성 요약 44

〈표Ⅲ-2〉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학습 경험 연구 과정 47

〈표Ⅲ-3〉 초등학교 5학년 76명의 학생들이 읽기 전 경험하는 파라텍스트의 종류 47

〈표Ⅲ-4〉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서사 읽기 활동 차시별 내용 49

〈표Ⅳ-1〉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습자의 읽기 학습 경험 코딩 결과 54

〈표Ⅳ-2〉 『마당을 나온 암탉』 책 표지 60

그림목차

[그림 Ⅱ-1] 파라텍스트와 텍스트 관계 15

[그림 Ⅱ-2] 『꿈에서 맛 본 똥파리』 앞 면지(좌), 뒷 면지(우) 16

[그림 Ⅱ-3] 『꿈에서 맛 본 똥파리』 앞 표지(좌), 뒷 표지(우) 16

[그림 Ⅱ-4] 『몬스터 차일드』, 『손도끼를 든 아이』 책표지 25

[그림 Ⅱ-5] 인물 중심으로 제시된『오늘부터 티볼!』 (좌), 『첩자가 된 아이』 (우) 목차 30

[그림 Ⅱ-6] 사건 중심으로 제시된『일투성이 제아』 (좌),『악당이 사는 집』 (우) 목차 30

[그림 Ⅱ-7] 배경 중심으로 제시된 『나의 린드그렌 선생님』 목차 31

[그림 Ⅳ-1] 초등학습자의 파라텍스트 읽기 학습 경험 코딩 과정 53

[그림 Ⅳ-2] 『인어소녀』 (차율이, 2018) 제목 타이포그래피 65

[그림 Ⅳ-3] 『신통방통 홈쇼핑』 (이분희, 2019) 제목 타이포그래피 66

[그림 Ⅳ-4] 『혼자가 되었을 때 보이는 것』 (남찬숙, 2015) 제목 타이포그래피 67

[그림 Ⅳ-5] 학생C상(좌)와 학생J하(우)가 작성한 편지글 76

[그림 Ⅳ-6] 학생G상이 작성한 편지글 77

[그림 Ⅳ-7] 꼴뚜기(진형민, 2013)의 표지(좌)와 학생C상의 재구성 표지 작품(우) 85

[그림 Ⅳ-8] 학생D하(좌)와 학생I상(우)의 재구성 표지 작품 86

[그림 Ⅳ-9] 학생E하(좌)와 학생B중(우)의 재구성 표지 작품 87

[그림 Ⅳ-10] 학생F중(좌)과 학생G상(우)의 재구성 표지 작품 87

[그림 Ⅳ-11] 학생A상(좌)과 학생H중(우)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89

[그림 Ⅳ-12] 학생I상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90

[그림 Ⅳ-13] 학생D하(좌)와 학생F중(우)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90

[그림 Ⅳ-14] 학생G상과 학생F중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91

[그림 Ⅳ-15] 학생B중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92

[그림 Ⅳ-16] 학생C상(좌)과 학생J하(우)의 타이포그래피 재구성 작품 9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등학습자들의 읽기 주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구안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현재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문학 텍스트 읽기 교육은 텍스트의 의미 파악에 집중되어 있으며, 텍스트가 생산된 맥락이나 작가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의미 해석 활동은 빈약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짧은 텍스트를 읽고, 그 안에 있는 단서들을 활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텍스트 내적 이해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학 텍스트는 진공 상태에서 탄생한 것이 아니다. 작가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안에서 자신의 경험이나 문제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쓰고, 이야기를 통해 독자와 소통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심도 있는 텍스트 해석과 감상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내적 단서에 집중한 읽기뿐만 아니라 텍스트 외적 요인을 참조하면서 적극적으로 읽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의 외적 요인을 탐색할 수 있는 기제로서 '파라텍스트(Para-texte)' 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파라텍스트(Para-texte)란 책 속에 있는 본문 텍스트 이외의 관련 텍스트를 말한다. 파라텍스트에는 본문 텍스트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책표지, 타이포그래피 등과 같은 페리텍스트(Peritext)와 본문 텍스트와 밀접한 관련은 없지만 책에 영향을 미치는 서평, 작가의 인터뷰 등과 같은 에피텍스트(Epitext)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초등학습자들이 문학작품을 읽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파라텍스트를 참조하도록 하여, 그들이 파라텍스트를 인식하는 양상과 독서 경험에 미치는 변화 등을 관찰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습자는 문학 작품의 파라텍스트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초등학습자는 문학 작품의 파라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셋째, 초등학습자의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라텍스트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야기 구성 요소(인물, 사건, 배경)와 연관시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파라텍스트의 교육적 활동들을 탐구하고,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구안하여 학생들과 수행하였다. 이렇게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텍스트 읽기 활동 결과는 교사의 참여 관찰 일지,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사후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읽기 활동 실행 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긴 책 읽기를 두려워하던 학생들이 책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파라텍스트 요소들을 읽기 전, 중, 후에 적절히 사용하며 읽기 동기를 가지고 읽기 흥미를 가지게 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파라텍스트 탐색을 통해 책의 내용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었다. 진공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책이 아닌 책 밖의 이야기가 버무려져 한 권의 책을 만들게 되는 배경에 대해 이해하게 되며 이야기 구성 요소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셋째, 책 밖의 이야기를 통해 자기주도적 독서가 가능하게 되었다. 책 선택에 있어서 표지, 타이포그래피, 목차 페이지 등을 살피며 파라텍스트 요소를 기반으로 스스로 책을 선택하여 읽는 형태의 독서가 활성화되었다.

넷째, 책에 대한 친구들 간의 공유가 활발해졌다. 이야기 구성 요소를 넘어 파라텍스트에 대해 서로 공유하며 의문을 가지기도 하고 자연스러운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학작품을 읽을 때 문학작품의 파라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은 문학 텍스트를 긴 호흡으로 읽을 수 있는 읽기 주의력을 신장시키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