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16

3. 연구의 범위 20

4. 선행 연구 20

5. 연구의 제한점 34

Ⅱ. 이론적 배경 36

2. 공연 예술 36

2-1. 공연 예술의 개념 36

2-2. 공연 예술의 특성 37

3.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39

3-1.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의 개념 39

3-2.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시장의 현황 및 분석 42

4.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시장의 특성 44

4-1.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시장의 소비자 특성 44

4-2.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시장의 구매요인 특성 46

4-3. 공연 예술로서 무용 공연 시장의 기획 요인 47

5. 온라인 무용 공연 49

5-1. 온라인 무용 공연의 개념 49

5-2. 온라인 무용 공연의 현황 52

5-3. 온라인 무용 공연 서비스의 특성 53

6. 코로나19 시대의 무용 공연 시장 55

6-1. 코로나19 시대의 무용 공연 시장의 변화 55

6-2. 코로나19 시대의 무용 공연 시장의 트렌드 57

7. 빅데이터와 무용 공연 시장 60

7-1. 빅데이터의 개요 60

7-2. 무용 공연 시장과 빅데이터 활용 사례 61

Ⅲ. 연구 설계 65

3. 연구 모형 설계 65

3-1. 연구 모형 및 분석 과정 65

4. 빅데이터 분석 연구 설계 68

4-1. 빅데이터 수집 대상 및 범위 68

4-2. 텍스트 마이닝 69

5. 델파이 분석 연구 설계 73

5-1. 델파이 분석의 개요 73

5-2. 델파이 분석 설계 75

5-3. 델파이 자료 수집 방법 77

Ⅳ. 연구 결과 79

4. 빅데이터 분석 결과 79

4-1. 단어 빈도수 분석 결과 79

4-2. N-gram 분석 결과 85

4-3. 네트워크 분석 결과 89

4-4.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92

5. 델파이 분석 결과 94

5-1. 델파이 1차 분석 결과 96

5-2. 델파이 2차 내용 타당도 CVR 분석 결과 117

Ⅴ. 결론 및 제언 122

참고문헌 129

ABSTRACT 133

부록 136

표목차

〈표1〉 연구의 흐름 19

〈표2〉 무용 공연 현황에 관한 선행 연구 21

〈표3〉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무용 공연 시장에 관한 선행 연구 23

〈표4〉 무용 공연 기획에 관한 선행 연구 26

〈표5〉 빅데이터와 델파이 분석 모형에 대한 선행 연구 29

〈표6〉 공연 예술의 특성 38

〈표7〉 무용 공연의 특성별 의미 41

〈표8〉 2010 - 2019년 한국 무용 공연 (공연 횟수, 공연 건수) 43

〈표9〉 서비스 유형에 따른 온라인 분류표 51

〈표10〉 2020년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도입률 62

〈표11〉 빅데이터 분석방법 68

〈표12〉 델파이 분석 설계 77

〈표13〉 델파이 연구 기간 78

〈표14〉 코로나19 이전 단어빈도 79

〈표15〉 코로나19 이후 단어 빈도 82

〈표16〉 코로나19 이전의 N-gram 분석 결과 85

〈표17〉 코로나19 이후의 N-gram 분석 결과 86

〈표18〉 코로나19 이전의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92

〈표19〉 코로나19 이후의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93

〈표20〉 델파이 1차 조사 전문가 집단 95

〈표21〉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무용 공연의 환경과 그 원인 96

〈표22〉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무용 공연 환경이 무용 공연 시장에 미친 영향 101

〈표23〉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무용 공연의 환경이 무용 공연 기획에 미친 영향 104

〈표24〉 무용 공연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공연 기획의 미래 방향 108

〈표25〉 델파이 2차 전문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17

〈표26〉 델파이 2차 조사 설문지 중요도 분석표 119

〈표27〉 온라인 무용 공연 기획 요인에 대한 CVR 분석 결과 120

그림목차

〈그림1〉 온라인 공연 「댄스 필름 댄스」 53

〈그림2〉 본 연구의 연구 모형과 주요 분석 결과 66

〈그림3〉 본 연구의 분석 과정 67

〈그림4〉 코로나19 이전의 주요 키워드들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81

〈그림5〉 코로나19 이후의 주요 키워드들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83

〈그림6〉 코로나19 이전의 매트릭스와 네트워크 분석 결과 89

〈그림7〉 코로나19 이후의 매트릭스와 네트워크 분석 결과 91

초록보기

 본 연구는 빅데이터와 델파이 분석을 활용하여 무용 공연시장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무용 공연 시장의 발전 방향과 활용 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무용'과 '공연'의 키워드로 국내 무용 공연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무용 공연 시장의 발전 방향성의 객관성을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의 '무용 공연'과 관련된 온라인 댓글과 뉴스, SNS 등을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인 토픽 모델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코로나19 전후의 무용 공연 예술에 대한 공연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 및 태도 변화의 주요 요인을 유형화하였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무용 공연 예술의 경영 활동에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에 무용 공연의 발전 방향성을 도출하고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무용 공연 시장의 변화의 주요한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에는 '클래식', '배우', '가요', '합창', '역사' 등과 같이 코로나19 이전에 찾아 볼 수 없는 단어들이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에 새로운 공간으로 관객을 유인하는 공연 형태가 나타났으며, 융·복합 공연이 코로나 이후 더 활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분석은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시하였고 현장에 있는 실무 전문가를 선별하여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델파이 1차와 2차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진행하였고 2차에서는 CVR 중요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에서 작품 및 출연진 항목의 융·복합 무용 공연 장르의 활성화와 창작 작품의 제작이 높게 나타났다. 광고 프로모션 항목에서는 SNS, 유튜브 등 온라인 매체의 활용 증가, 영상제작을 통한 온라인 홍보 활동, 온라인을 활용한 글로벌 홍보, 고객층 확보를 위한 다양한 매체활용 등이 0.9 이상의 높은 타당도를 보이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공연 환경에 따라 앞으로 발전 가능한 무용 공연의 전략적 기획 요인은 광고 프로모션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SNS 등을 통한 온라인 홍보 활동과 유튜브 등의 동영상 프로모션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공연 기획 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무용 공연의 발전 전략으로 융·복합 무용 공연 장르의 다양성을 늘리고 온라인 공연 플랫폼을 활용하면 온라인 공연 콘텐츠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양한 관객층을 확대시킬 수 있는 무용 공연의 기획 전략을 활용하여 새로운 무용 공연의 장르를 개발하면 무용 공연 시장을 대중화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