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7
1. 연구배경 17
2. 연구목적 18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19
1. 연구방법 19
2. 연구범위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5
제1절 세계유산의 이해 25
제2절 문화상품 이론의 이해 29
1. 문화상품의 개념 29
2. 문화상품의 분류 32
3. 문화상품과 일반상품의 차이점 33
제3절 양저(良渚)문화 이론의 이해 34
1. 양저(良渚)문화 34
2. 양저(良渚)문화의 정신적 특징 36
제4절 기호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38
1. 기호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38
2. 문화 기호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 39
3. 양저(良渚)문화 기호학 이론의 이해 40
제5절 브랜드 디자인 이론의 이해 43
제3장 동서양 문화상품의 발전 현황 47
제1절 북경 고궁박물관 사례 47
1. 북경 고궁 박물관 47
2. 고궁 문화상품의 발전 모델 51
3. 고궁 문화 창의 브랜드의 운영 전략 54
제2절 한국 KHmall 사례 56
1. 한국 문화산업과 KHmall 56
2. KHmall의 대표적인 문화상품 57
3. 한국 문화상품의 시사점 63
제3절 영국 박물관(The British Museum) 사례 66
1. 영국 박물관에 대한 소개 66
2. 영국 박물관과 문화상품의 발전 전략 66
제4절 문화상품 사례의 총정리 및 발전 방향 72
1. 문화상품 사례의 총정리 72
2. 문화상품 발전 방향 74
제4장 양저고성 유적 및 문화상품 발전에 대한 검토 76
제1절 양저고성 유적의 문화 자원에 대한 분석 76
1. 양저고성 유적 76
2. 양저 박물관 77
3. 양저문화의 표현 77
4. 양저고성 유적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기물 79
제2절 소비자 조사를 통한 문제 분석 81
1. 소비자 설문지 조사 및 문제 분석 81
2. 양저 문화상품에 대한 현장 조사 83
제3절 양저 문화상품 온라인 스토어에 대한 조사 89
1. Tmall 양저 문화 플래그십 스토어 문화상품 조사 89
2. 양저고성 유적 문화상품의 창의성에 대한 조사 92
제4절 양저 문화상품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93
1. 문화상품 개발 시스템의 미흡 93
2. 문화상품 기호요소 발굴의 부족 94
3. 문화상품 표현의 지역적 특색의 결여 95
4. 문화상품의 활성화 부족 95
제5장 양저고성 유적 문화의 발굴 96
제1절 양저 종교문화 기호의 발굴 96
제2절 도자기 형제(形制) 기호의 발굴 97
1. 양저 도자기 형제의 유형 98
2. 양저 도자기 형상의 특징 100
제3절 양저 옥기의 조형 및 유형 101
1. 양저 옥기의 형제(形制) 101
2. 양저문화 옥기문양의 조각 방식 104
제4절 양저문화 각 문양에 대한 분석 105
1. 양저 기물 문양의 분석 105
2. 양저 신상(神像)문양의 분석 111
3. 양저고성 유적 각화(刻畵) 기호 121
제6장 세계문화유산인 양저고성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129
제1절 세계문화유산 양저고성 유적 브랜드 로고 디자인 129
1.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발전과 특징 129
2. 양저고성 유적 브랜드의 현황 및 브랜드 로고 디자인 130
제2절 문화상품 메인 시각 기호의 디자인 원칙 132
1. 문화상품 메인 시각 기호의 디자인 원칙 133
2. 기호와 색채 추출 133
3. 기본 도형의 추출과 디자인 134
4. 문화상품 창의적인 추출과 디자인 137
제3절 문화상품 디자인 154
1. 가죽 시리즈 154
2. 문구 시리즈 158
3. 홈데코레이션 시리즈 166
4. 패션 시리즈 171
제4절 문화상품 디자인작품 전시 175
제7장 결론 181
참고문헌 185
ABSTRACT 191
부록 194
부록: 국문 설문지 194
부록: 중문 설문지 199
〈표 2-1〉 문화유산의 유형 27
〈표 2-2〉 문화상품의 유형 32
〈표 2-3〉 문화상품과 일반상품의 차이점 34
〈표 2-4〉 양저문화의 정신적 특징 37
〈표 2-5〉 양저문화 기호 41
〈표 3-1〉 북경 고궁 박물관 문화상품의 유형 48
〈표 3-2〉 고궁 박물관 문화상품 Tmall 플래그십 스토어 매출 Top 6 50
〈표 3-3〉 부분 고궁 기업간의 제휴 문화상품 53
〈표 3-4〉 노트 디자인 58
〈표 3-5〉 한국문화유산 재단 인기 문화상품 60
〈표 3-6〉 영국 박물관 문화상품의 분류 67
〈표 3-7〉 로제타(Rosetta) 비석 문화상품 디자인 68
〈표 3-8〉 USB 디자인 70
〈표 3-9〉 더블 IP 문화상품 디자인 71
〈표 4-1〉 양저고성 유적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기물 80
〈표 4-2〉 양저 문화상품 현장조사 결과 84
〈표 4-3〉 양저문화 시리즈 문화상품 공동 디자인 89
〈표 4-4〉 양저왕을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92
〈표 4-5〉 양저옥조를 기반한 문화상품 92
〈표 4-6〉 양저 각부를 기반한 문화상품 93
〈표 5-1〉 양저 묘소의 등급과 기물 97
〈표 5-2〉 양저 도자기 형제 분석표 98
〈표 5-3〉 양저 옥기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제 102
〈표 5-4〉 양저문화 옥기의 문양 방식 104
〈표 5-5〉 양저 기물 문양 분석표 106
〈표 5-6〉 양저 조문(鳥紋) 디자인 분석표 107
〈표 5-7〉 양저 용수문(龍首紋) 디자인 분석표 108
〈표 5-8〉 양저 수면문(獸面紋) 디자인 분석표 109
〈표 5-9〉 양저 신인수면문(神人兽面紋) 디자인 분석표 1 109
〈표 5-10〉 양저 신인수면문(神人兽面紋) 디자인 분석표 2 110
〈표 5-11〉 양저 인면문(人面紋) 디자인 분석표 110
〈표 5-12〉 표준도식 112
〈표 5-13〉 간소화된 도식 113
〈표 5-14〉 성상 복원 도식 114
〈표 5-15〉 신휘(神徽) 하부의 북두저신(北斗猪神)의 3가지 도식 115
〈표 5-16〉 양저 신휘(神徽)의 6가지 표현 형식 116
〈표 5-17〉 문양 구조의 복제 118
〈표 5-18〉 대안북두저신의 복제 119
〈표 5-19〉 소안북두저신의 복제 120
〈표 5-20〉 구상 각화 기호 123
〈표 5-21〉 추상 각화 기호 125
〈표 5-22〉 양저 옥기 면부 기호 126
〈표 5-23〉 양저 옥기형 외관의 기호 127
〈표 5-24〉 양저 흑도기 문양 기호 128
〈표 6-1〉 양저고성 유적 로고의 디자인 방안 132
〈표 6-2〉 〈신인〉 장착 과정 및 이념 138
〈표 6-3〉 〈신휘〉 창작 과정 및 이념 139
〈표 6-4〉 〈수면〉 창작 과정 및 이념 140
〈표 6-5〉 〈수면〉(변용) 창작 과정 및 이념 141
〈표 6-6〉 〈양저옥기〉 창작 과정 및 이념 142
〈표 6-7〉 〈양저토기〉 창작 과정 및 이념 143
〈표 6-8〉 〈양저각화기호〉 창작 과정 및 이념 144
〈표 6-9〉 〈매·돼지·태양〉 창작 과정 및 이념 145
〈표 6-10〉 〈옥조〉 창작 과정 및 이념 146
〈표 6-11〉 〈옥와〉 창작 과정 및 이념 147
〈표 6-12〉 〈옥어〉 창작 과정 및 이념 148
〈표 6-13〉 〈양저조〉 창작 과정 및 이념 149
〈표 6-14〉 〈양저 고양이〉 창작 과정 및 이념 150
〈표 6-15〉 〈하배호차(蝦掰胡扯)〉 창작 과정 및 이념 151
〈표 6-16〉 〈만악지왕(万鳄之王)〉 창작 과정 및 이념 151
〈표 6-17〉 〈레옹〉 창작 과정 및 이념 152
〈표 6-18〉 〈호호생위(虎虎生威)〉 창작 과정 및 이념 152
〈표 6-19〉 〈원주고비(遠走高飛)〉 창작 과정 및 이념 152
〈표 6-20〉 〈관대지국(冠带之國)〉창작 과정 및 이념 153
〈표 6-21〉 〈네덜란드의 바람(荷蘭的風)〉 창작 과정 및 이념 153
〈표 6-22〉 〈조립고대(鳥立高台)〉 창작 과정 및 이념 153
〈표 6-23〉 가죽 시리즈-열쇠고리 1 155
〈표 6-24〉 가죽 시리즈-열쇠고리 2 156
〈표 6-25〉 가죽 시리즈-마우스 패드 156
〈표 6-26〉 가죽 시리즈-가방과 필통 156
〈표 6-27〉 가죽 시리즈-노트 157
〈표 6-28〉 가죽 시리즈-장식품 157
〈표 6-29〉 문구 시리즈-USB 159
〈표 6-30〉 문구 시리즈-스탬프 160
〈표 6-31〉 문구 시리즈-마우스 패드 160
〈표 6-32〉 문구 시리즈-자와 메모 스티커 160
〈표 6-33〉 문구 시리즈-공책 161
〈표 6-34〉 문구 시리즈-펜, 필통, 펜 수납롤 161
〈표 6-35〉 문구 시리즈-테이프 162
〈표 6-36〉 문구 시리즈-카드 케이스 163
〈표 6-37〉 문구 시리즈-휘장 164
〈표 6-38〉 문구 시리즈-USB 164
〈표 6-39〉 문구 시리즈-우편엽서 165
〈표 6-40〉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컵받침 166
〈표 6-41〉 홈데코레이션 시리즈-다용도 수납 166
〈표 6-42〉 홈데코레이션 시리즈-대나무 냄비받침 167
〈표 6-43〉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젓가락 167
〈표 6-44〉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재떨이 167
〈표 6-45〉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전통 유지산(油紙傘) 168
〈표 6-46〉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에코백과 캐리어 168
〈표 6-47〉 홈데코레이션 시리즈-머그잔 169
〈표 6-48〉 홈데코레이션 시리즈-테이블 램프 169
〈표 6-49〉 홈데코레이션 시리즈-퍼즐 170
〈표 6-50〉 홈데코레이션 시리즈-쿠션 170
〈표 6-51〉 홈데코레이션 시리즈-휴대폰 케이스 171
〈표 6-52〉 패션 시리즈-모자와 T셔츠 172
〈표 6-53〉 패션 시리즈-스카프 173
〈표 6-54〉 패션 시리즈-장화 174
〈표 6-55〉 패션 시리즈-눈가리개 174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24
[그림 4-1] 양저고성 유적-유산 전시 지도 76
[그림 4-2] 양저 박물관 문화상품 현장조사 83
[그림 5-1] 각부도관(刻符陶罐) 121
[그림 6-1] 양저고성 유적의 불명확한 로고 131
[그림 6-2] 양저고성 유적의 고로 131
[그림 6-3] 양저7색 134
[그림 6-4] 양저 문양 및 조합 134
[그림 6-5] 양저 기물 도형 135
[그림 6-6] 양저 눈과 면부 패턴 136
[그림 6-7] 양저 신휘(神徽)도형 창의 136
[그림 6-8] 전시현장 1 175
[그림 6-9] 전시현장 2 176
[그림 6-10] 전시현장 3 176
[그림 6-11] 전시현장 4 177
[그림 6-12] 전시현장 5 177
[그림 6-13] 전시현장 6 178
[그림 6-14] 전시현장 7 178
[그림 6-15] 전시현장 8 179
[그림 6-16] 전시현장 9 179
[그림 6-17] 전시현장 10 180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는 양저고성(良渚古城) 유적을 세계유산 목록에 포함시켰고, 양저고성 유적은 '중국 문명의 5000년 역사를 보여주는 성지(圣地)'로 세계무대에 등장하게 되었다. 양저고성 도시 유적은 중국 문명 발전사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벼농사를 기본적인 경제적 자원으로 하였던 중국 신석기 시대 후기사회 형태를 보여주고 통일된 신앙 체계를 갖춘 초기 지역 국가 형태로써 초기 중국 문명에 대한 세계의 이해를 1000년 이상 앞당겼다.
본 연구는 기호학과 양저(良渚) 문화이론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양저고성 유적의 대표적인 기호 주체(主体), 객체(客体) 및 의의(意義)를 탐구하였다. 브랜드디자인 이론과 문화상품 이론을 결합하여 양저고성 유적지의 문화상품 디자인에 적합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낸 후 혁신적인 디자인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 기관과 문화유적지의 문화상품과 산업을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문화유산 및 문화상품에 대하여 현장 조사법을 통해 자료 및 여러 문헌 등을 수집하였으며 네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하여 소비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는데 이는 논문 작성을 위한 조사 데이터 및 이론 데이터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 양저고성 유적의 체계적인 식별 부족, 혼란스러운 문화상품 개발, 체계화의 부족, 문화기호 응용의 디자인 감각 부족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양저고성 유적을 하나의 브랜드로 간주하여 양저고성 유적의 대표적인 상징과 문화를 발굴해야 할 것으로 본다. 즉 디자인의 차원에서 기술, 형식, 의미 및 표현 등을 검토하고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체계적인 문화상품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일반인도 양저 문화를 가까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양저문화를 전파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양저문화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 실무 측면에서 양저고성을 대상으로 브랜드 로고 디자인을 진행하고, 양저문화 기호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주요한 시각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문화상품디자인 및 창작은 다음의 두 가지 방향을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하나는 양저문화 비상형(非象形)부호, 상형(象形)부호, 표의성(表意性)부호, 조합각화(組合刻畵)부호 중 전형적인 형상을 선택하여 문양, 도형, 색채, 문자 등을 재창작하고 표현하는데, 주로 디자인 요소의 추출과 재설계를 포함하며, 기초도형을 보조로 하고, 대표 기호를 중심으로 양저 7색을 주색으로 하는 시각적 창작 표현 패턴을 형성하였다. 두 번째는 양저문화의 대표적인 기물(器物) 기호와 장식에서 창작한 것으로 종(琮), 벽(璧), 황(璜), 탁(鐲) 등과 같은 다양한 법기(法器)와 옥어(玉魚), 옥선(玉蟬), 옥와(玉蛙), 옥저(玉猪) 등 다양한 조형물을 포함한다. 이 모든 기물의 형태, 장식 등은 기호 추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13세트의 메인 시각기호 이미지 포스터를 완성하였다. 또한, 양저고성 유적의 구상각부(具象刻符)도형을 기반으로 인터넷 용어, 사자성어, 영화 제목 등을 테마로 디자인하여 8세트의 포스터 작품도 창작하였다. 동시에 메인 시각기호와 다양한 보조 그래픽을 결합해 문방구 시리즈, 케이터링 시리즈, 홈데코레이션 시리즈, 의류 시리즈, 핸드메이드 가죽제품 시리즈 등 100여 점의 문화상품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디자인을 통해 양저문화의 가치를 전파하고, 양주고성 유적의 대표적인 기호와 문화를 활용하여 신구(新旧) 요소의 접목을 통해 일반 대중들이 양저문화를 면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저고성 유적 문화상품의 설계를 중심으로 양저문화의 각종 기호를 해체 및 재구성함으로써 기호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체계적인 문화상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 정체성을 가진 문화상품을 강화하고 일반 대중들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사용하여 양저고성 유적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중국 문화를 전파하고자 한다. 실제로 양저고성 유적의 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인데, 예를 들어 양저문화의 발굴과 분류의 심화, 문화기호의 발굴에 대한 체계화, 문화상품의 유형화, 문화상품 및 매개의 매칭 측면에서 아직 미흡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양저고성 유적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개발 및 연구를 수행하여, 양저고성 유적이 하나의 문화상품으로써 잘 정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